고사성어

일자천금(一字千金)

eorks 2010. 4. 14. 21:17
故 事 成 語


일자천금(一字千金)


一:
한 일, 字:글자 자, 千:일천 천, 金:시 금

한 글자엔 천금의 가치가 있다는 뜻으로,                                  
아주 빼어난 글자나 시문(時文)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                


     전국 시대 말엽,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과 조(趙)나라 평원군(平原君)은 각
     수천 명, 초(楚)나라 춘신군(春申君) 과 위(魏)나라 신릉군(信陵君)은 각 3000
     여 명의 식객(食 客)을 거느리며 저마다 유능한 식객이 많음을 자랑하고 있었
     다. 한편 이들에게 질세라 식객을 모아들인 사람이 있었다.

     일개 상인 출신으로 당시 최강국인 진(秦)나라의 상국 (相國:宰相)이 되어, 어
     린(13세) 왕 정(政:훗날의 시황제) 으로부터 중부(仲父)라 불리며 위세를 떨친
     문신후(文信 侯) 여불위(呂不韋:?∼B.C.235, 정의 친아버지라는 설도 있음)
     바로 그 사람이다.

     정의 아버지인 장양왕(莊襄王) 자초(子楚)가 태자가 되기 전 인질로 조나라에
     있을 때 '기화 기거(奇貨可居)'라며 천 금을 아낌없이 투자하여 오늘날의 영화
     를 거둔 여불위였다.

     그는 막대한 사제(私財)를 풀어 3000여 명의 식객을 모아 들였다.

     이 무렵, 각국에서는 많은 책을 펴내고 있었는데 특히 순자 (荀子)가 수만어
     (語)의 저서를 내었다는 소식을 듣자 여불 위는 당장 식객들을 시켜 30여만 어
     에 이르는 대작(大作)을 만들었다.

     이 책은 천지만물(天地萬物), 고금(古今)의 일이 모두 적혀 있는 오늘날의 백과
     사전과 같은 것이었다.

     '이런 대작은 나 말고 누가 감히 만들 수 있단 말인가!' 의기양양해진 여불위는
     이 책을 자기가 편찬한 양《여씨춘 추(呂氏春秋)》라 이름 지었다.

     그리고 이《여씨춘추》를 도읍인 함양(咸陽)의 성문 앞에 진열시킨 다음 그 위
     에 천금 을 매달아 놓고 방문(榜文)을 써 붙였다.

     "누구든지 이 책에서 한 자라도 덧붙이거나 빼는 사람에게는 천금을 주리라."

     이는 상혼(商魂)이 왕성한 여불위의 우수 식객 유치책에 다름 아니었던 것이
     다.


     [출 전]《史記》<呂不韋列傳>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패도지(一敗塗地)  (0) 2010.04.15
일전쌍조(一箭雙雕)  (0) 2010.04.15
일의대수(一衣帶水)  (0) 2010.04.14
一日如三秋(일일여삼추)  (0) 2010.04.14
일이관지(一以貫之)  (0) 2010.0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