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좌 우 명(座右銘)

eorks 2010. 5. 3. 06:31
故 事 成 語


좌 우 명(座右銘)


座:
자리 좌. 右:오른쪽 우. 銘:새길 명.

항상 옆에 두고 반성의 자료로 삼는 격언이나 경구.


     座右銘(좌우명)이란 자리 오른쪽에 붙여 놓고 반성의 자료 로 삼는 格言
     (격언)이나 警句(경구)를 말한다.

     그러나 원래 는 文章이 아니라 술독을 사용했다고 한다.

     齊(제)나라는 春秋五覇(춘추오패)의 하나였던 桓公(환공)이 죽자 廟堂
     (묘당)을 세우고 각종 祭器(제기)를 진열해 놓았는데 그 중 하나가 이상
     한 술독이었다.

     텅 비어있을 때는 기울어져 있 다가도 술을 반쯤 담으면 바로 섰다가 가
     득 채우면 다시 엎 어지는 술독이었다.

     하루는 孔子가 제자들과 함께 그 廟堂을 찾았는데 博識(박식)했던 孔子
     도 그 술독만은 알아볼 수 없 었다.

     담당 관리에게 듣고 나서 그는 무릎을 쳤다.

     『아! 저것이 그 옛날 齊桓公(제환공)이 의자 오른쪽에 두 고 가득 차는
     것을 경계했던 바로 그 술독이로구나!』

     그는 弟子들에게 물을 길어와 그 술독을 채워보도록 했다.

     과연 비스듬히 세워져 있던 술독이 물이 차오름에 따라 바로 서더니만
     나중에는 다시 쓰러지는 것이 아닌가. 孔子가 말했 다.

     『공부도 이와 같은 것이다. 다 배웠다고(가득 찼다고) 교만 을 부리는 자
     는 반드시 화를 당하게 되는 법이니라. 』

     집에 돌아온 그는 똑같은 술독을 만들어 의자 오른쪽에 두고 는 스스로
     를 가다듬었다고 한다.


     [출 전]《孔子家語》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 마 등(走馬燈)  (0) 2010.05.05
주공삼태(周公三笞)  (0) 2010.05.04
좌 단(左袒)  (0) 2010.05.02
종용유상(從容有常)  (0) 2010.05.01
종선여류(從善如流)  (0) 2010.04.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