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주 마 등(走馬燈)

eorks 2010. 5. 5. 07:40
故 事 成 語
주 마 등(走馬燈)

走:
달릴 주. 馬:말 마. 燈:등잔 등.

사물이 덧없이 빨리 돌아감.


     中國 사람들만큼 등(燈)을 즐기는 민족도 드물 것이다.
     戰國時代(전국시대)부터 燈을 달았다고 하니 무려 2천5백 년의 역사가
     되는 셈이다.

     명절이나 행사가 있을 때면 으레 길거리에 등불부터 내건다.

     대표적인 것이 정월 대보름의 觀燈(관등) 행사다.

     中國은 周(주)나라 때부터 야간통금을 실시했다.

     그러다 보니 백성들이 겪는 불편이 많았다.

     그래 서 통치자들은 백성들의 억압된 심리도 풀어주고 또 태평 성대를 과
     시하기 위해 명절만큼은 通禁(통금)을 해제하고 휘황찬란한 燈을 宮城(궁
     성)
주위에 내걸게 했다.

     이때부터 차츰 燈을 거는 기간도 늘어나 明 太祖 朱元璋 (주원장) 10
     간이나 걸게 했으며, 지금은 설부터 대보름 까지 무려 15일간을 걸어둔다.

     이 날 등장하는 燈의 모양도 각양각색이다. 각종 과일과 꽃· 물고기등…….

     그 중 대표적인 것을 들자면 역시 走馬燈 (주마등)이 아닐까 싶다.

     燈 위에 둥근 原盤(원반)을 올려놓 고 原盤의 가장자리를 따라 말이 달리는
     그림을 붙여 늘어 뜨린다.

     마치 영화의 필름처럼 연속동작의 그림을 붙여 놓는 것이다.
   
     밑에서 촛불을 밝히면 燈 내부의 공기가 對流 現狀 (대류현상)을 일으켜 원
     반을 돌게 한다.

     촛불의 밝기에 따라 회전속도도 빨라짐은 물론이다.

     원반이 돌아가면 마치 만화 영화를 보는 듯한 착각에 빠지게 된다.

     말이 疾走(질주)하는 모습이 연속동작으로 눈에 들어오게 된다.

     그것이 走馬燈이다. 워낙 빨리 돌았으므로 走馬燈은 세월의 빠름이나 어떤
     사물이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것을 형용하기 도 한다.

     「마치 走馬燈처럼 스쳐 지나갔다」는 표현이 있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마고우(竹馬故友)  (0) 2010.05.07
주지육림(酒池肉林)  (0) 2010.05.06
주공삼태(周公三笞)  (0) 2010.05.04
좌 우 명(座右銘)  (0) 2010.05.03
좌 단(左袒)  (0) 2010.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