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주지육림(酒池肉林)

eorks 2010. 5. 6. 06:58
故 事 成 語


주지육림(酒池肉林)


酒:
술 주, 池:연목 지, 肉:고기 육, 林:수풀 림

술로 못[池]을 이루고 고기로 숲을 이룬다는 뜻으로,     
극히 호사스럽고 방탕한 주연(酒宴)을 말함.                 


     고대 중국의 하(夏)나라 걸왕(桀王)과 은(殷)나라 주왕 (紂王)은 원래 지
     용(智勇)을 겸비한 현주(賢主)였으나 그들 은 각기 매희(妹喜), 달기라는
     희대의 요녀독부(妖女毒婦) 에게 빠져 사치와 주색에 탐닉하다가 결국
     폭군음주(暴君淫 主)라는 낙인이 찍힌 채 나라를 망치고 말았다.

     하나라 걸왕은 자신이 정복한 오랑캐의 유시씨국(有施氏國) 에서 공물로
     바친 희대의 요녀 매희에게 반해서 보석과 상아 로 장식한 궁전을 짓고
     옥으로 만든 침대에서 밤마다 일락 (逸樂)에 빠졌다.

     걸왕은 그녀의 소망에 따라 전국에서 선발 한 3000명의 미소녀(美少女)
     들에게 오색 찬란한 옷을 입혀 날마다 무악(舞樂)을 베풀기도 했다.

     또 무악에 싫증이 난 매희의 요구에 따라 궁정(宮庭) 한 모 퉁이에 큰 못
     을 판 다음 바닥에 새하얀 모래를 깔고 향기로 운 미주(美酒)를 가득 채
     웠다.

     그리고 뭇 둘레에는 고기로 동산을 쌓고 포육(脯肉)으로 숲을 만들었다.

     걸왕과 매희는 그 못에 호화선은 띄우고, 못 둘레에서 춤을 추던 3000
     의 미소녀들이 신호의 북이 울리면 일제히 못의 미주를 마시고 숲의 포
     육을 탐식(貪食)하는 광경을 바라보며 마냥 즐거워 했다.

     이 같은 사치음일(奢侈淫佚)의 나날이 계속되는 가운데 국 력은 피폐하
     고 백성의 원성은 하늘에 닿았다.

     이리하여 걸 왕은 하나라에 복속(服屬)했던 은나라 탕왕(湯王)에게 주벌
     (誅伐)당하고 말았다.

     또한 은나라 마지막 군주인 주왕(탕왕으로부터 28대째)의 마음을 사로
     잡은 달기는 주왕이 정벌한 오랑캐의 유소씨국 (有蘇氏國)에서 공물로
     보내 온 희대의 독부였다.

     주왕은 그녀의 끝없는 욕망을 만족시키기 의해 가렴주구를 일삼았 다.

     그래서 창고에는 백성들로부터 수탈한 전백(錢帛)과 곡 식이 산처럼 쌓
     였고, 국내의 온갖 진수기물(珍獸奇物)은 속 속 궁중으로 징발되었다.

     또 국력을 기울여 호화 찬란한 궁 정을 짓고 미주와 포육으로 '주지육
     림'
을 만들었다.

     그 못 둘레에서 실오라기 하나 걸치지 않은 젊은 남녀의 한 무리가 음란
     한 북리무악(北里舞樂)에 맞추어 광란의 춤을 추면 주왕의 가슴에 안긴
     달기는 몰아(沒我)의 황홀경 (惶惚境)에서 음탕한 미소를 짓곤 했다.

     또 때로는 낮에도 장막을 드리운 방에서 촛불을 밝히고 벌이는 광연(狂
     宴)
이 주야장천(晝夜長川) 120일간이나 계속되기도 했는데 은나라 사람
     들은 이를 장야지음(長夜之飮)이라 일컬었다.

     이같이 상궤(常軌)를 벗어난 광태(狂態)를 보다못해 충신들 이 간하면 주
     왕은 도리어 그들을 제왕의 행동을 비방하는 불충자로 몰아 가차없이 포
     락지형(暑烙之刑)에 처하곤 했다.

     포락지형이란 기름칠한 구리 기둥[銅柱]을 숯불 위에 걸쳐 놓고 죄인을
     그 위로 건너가게 하는 일종의 잔인 무도한 사형 방법인데, 미끄러운 구
     리 기둥에서 숯불 속으로 떨어져 타 죽 은 희생자들의 아비규환(阿鼻叫
     喚)
의 모습까지도 잔인한 달 기의 음욕(淫慾)을 돋우는 재료가 되었다.

     이렇듯 폭군 음주 로 악명을 떨치던 주왕도 결국 걸왕의 전철을 밟아 주
     (周)나라 시조인 무왕(武王)에게 멸망하고 말았다.


     [출 전]《史記》〈殷本紀〉,《帝王世紀》,《十八史略》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조절충(樽俎折衝)  (0) 2010.05.08
죽마고우(竹馬故友)  (0) 2010.05.07
주 마 등(走馬燈)  (0) 2010.05.05
주공삼태(周公三笞)  (0) 2010.05.04
좌 우 명(座右銘)  (0) 2010.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