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중석몰촉(中石沒鏃)

eorks 2010. 5. 11. 06:30
故 事 成 語


중석몰촉(中石沒鏃)


中:
가운데 중. 石:돌 석. 沒:잠길 몰. 鏃:화살 촉

쏜 화살이 돌에 깊이 박혔다는 뜻으로,                                
정신을 집중해서 전력을 다하면 어떤 일에도 성공할 수 있음을
         이르는 말.                                                                                 


     ① 전한(前漢)의 이광(李廣)은 영맹한 흉노족의 땅에 인접 한 농서
          [ 西:감숙성(甘肅省)] 지방의 무장 대가(武將大家) 출신으로, 특히
          궁술(弓術)과 기마술이 뛰어난 용장이었다.
          문제(文帝) 14(B.C. 166), 이광은 숙관(肅關)을 침범한 흉노를
          크게 무찌를 공으로 시종 무관이 되었다.
          또 그는 황제를 호위하여 사냥을 나갔다가 혼자서 큰 호랑이를 때
          려 잡아 천하에 용명(勇名)을 떨치기도 했다.
          그 후 이광은 숙 원이었던 수비 대장으로 전임되자 변경의 성새(城
          塞)
를 전 전하면서 흉노를 토벌했는데 그때도 늘 이겨 상승(常勝)
          장 군으로 통했다.
          그래서 흉노는 그를 '한나라의 비장군(飛將 軍)'이라 부르며 감히
          성해를 넘보지 못했다.
          어느 날, 그는 황혼 녘에 초원을 지나다가 어둠 속에 몸을 웅크리
          고 있는 호랑이를 발견하고 일발필살(一發必殺)의 신념으로 활을
          당겼다.
          화살은 명중했다.
          그런데 호랑이가 꼼짝 않는다.
          가까이 다가가 보니 그것은 화살이 깊이 박혀 있는 큰 돌이었다.
          그는 제자리로 돌아와서 다시 쏘았으나 화살은 돌에 명중하는 순
          간 튀어 올랐다.
          정신을 한데 모으 지 않았기 때문이다.

     ②《한시외전(韓詩外專)》에도 초(楚)나라의 웅거자(熊渠 子)란 사람
          이 역시 호랑이인 줄 알고 쏜 화살이 화살 깃까지 묻힐 정도로 돌
          에 깊이 박혔다[射石飮羽]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원 말] 석중석몰촉(射中石沒鏃).

     [유사어]정신일도하사불성(精神一到何事不成).

     [출 전]《史記》〈李將軍專〉,《韓詩外專》〈卷六>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취독성(衆醉獨醒)  (0) 2010.05.13
중원축록(中原逐鹿)  (0) 2010.05.12
중구난방(衆口難防)  (0) 2010.05.10
중과부적(衆寡不敵)  (0) 2010.05.09
준조절충(樽俎折衝)  (0) 2010.0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