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징전비후(懲前毖後) 懲:징계할 징. 前:앞 전. 毖:삼갈 비. 後:뒤 후
지난날을 징계하고 앞날을 삼가다. 이전에 저지른 과오(過誤)에서 교훈을 얻어 뒷날에는 일을 신중하게 한다는 뜻.
周나라 武王이 세상을 떠난 뒤 그의 아들 成王 이 왕위를 계 승했다.
그러나 성왕은 아직 나이가 어려 그의 숙부 周公이 攝政을 하게 되었다.
주공은 무왕이 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세우는데 크게 기여한 인 물이다.
그러자 무왕의 사촌형인 管叔과 蔡叔은 주공을 시기한 나머지 주공이 성왕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한기 위해 역적 모의를 하고 있다고 헛소 문을 퍼뜨렸다.
그리고는 은나 라의 마지막 왕인 紂王의 아들 武庚과 손잡고 반 란을 일으켜 성왕을 몰아내려 했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성왕은 시 한 수를 지어 이 반란을 기어코 평정하겠다 는 뜻을 다졌다.
이 시가 바로 '시경'에 수록된 '周頌(주송)'중 '小毖篇(소비편)' 으로 그 첫구 절이 '予其懲而毖後患(여기징이비후환)'으로 되어 있다.
지난날의 과오를 뼈아프게 새기면서 앞으로 다시는 다른 환난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한다는 뜻.
'지난날의 과오'란 한때 성왕이 간신들의 모함하는 말을 믿고 주공을 멀리했 던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懲前毖後는 이 시 구절을 따서 후세 사람이 만든 것. 반란은 주공 의 노력으로 진압되고 무경과 관숙은 처형당하고 채숙은 멀리 유배의 길을 떠났다.
임진왜란이 끝난 뒤 西厓 柳成龍이 전쟁을 회고 하면서 쓴 '懲毖錄(징비록)'은 바로 懲前毖後에서 따서 붙인 제 목. 왜란을 교훈으로 삼 아 스스로 힘써 다시는 그런 前轍 을 밟지 말자는 뜻이다.
[출 전]《詩經》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