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차래지식(嗟來之食)

eorks 2010. 5. 24. 00:03
故 事 成 語


차래지식(嗟來之食)


嗟:
탄식할 차, 來:올 래, 之:어조사 지, 食:밥 식

  야! 하고 부르면 와서 먹는 음식.                                             
남을 업신여겨 무례한 태도로 주는 음식.                                
 嗟는 감탄사로 '야!' '자!' '옛다'의 뜻.                                      
상대를 아주 업신 여겨 아무렇게나 던져 주는 음식을 뜻한다.    


     춘추시대의 어느 해 제나라에 큰 기근이 들었다.
     많은 사람 들이 草根木皮로 연명을 하거나 그것도 못하는 사람은 주린 배
     를 움켜잡고 죽음을 기다리는 수 밖에 없었다.

     이를 보다 못한 검오라는 부자가 음식을 해다가 길가에 벌여놓고 굶주 린
     사람들에게 나누어 주고 있었다.

     어느날 얼마나 굶었는지 걸음도 제대로 옮기지 못하는 어떤 남자가 다 해
     어진 옷소매 로 얼굴을 가리고 짚신을 질질 끌면서 걸어오고 있었다.

     그 초라하고 기진맥진한 모습을 바라보고 있던 검오는 왼손에 음식을, 오
     른손엔 마실 것을 들고 말했다.

     "야! 이리 와서 먹어(嗟來食)"

     검오는 당연히 그 남자가 허겁지겁 다가와서 음식물을 움켜 쥘 줄 알았
     다. 그러나 그 남자의 태도는 너무나 뜻밖이었다.

     그는 눈을 치켜 뜨고 한참 동안 검오를 쳐다보더니 입을 열 었다.

     "나는 지금까지 이따위 남을 업신여기며 던져주는 음식을 먹지 않았기 때
     문에 이 꼴이 되었소(予不食嗟來之食 以至於斯 也). 당신의 이같은 적선
     은 받아들일 수가 없소."

     검오는 머리를 한대 얻어맞은 기분이었다. 한방 쏘아주고는 뒤도 돌아보
     지 않고 걸어가는 그 남자를 검오는 쫒아 가서 무례를 사과하고 음식을
     받아주기를 간청했다.

     그러나 그는 끝내 음식 받기를 거절하면서 몇 걸음 더 걷다가 쓰러 지고
     말았다.

     주려 죽은들 嗟來之食은 받아 먹을 수 없었기 에 그는 마침내 허기져 죽
     은 것이다.

     嗟來之食은 음식말고도 모욕적인 성금이나 의연금품 (義捐金品)을 일컫
     기도 한다.




     [출 전]《禮記》<檀弓篇>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창해일속(滄海一粟)  (0) 2010.05.26
차재두량(車載斗量)  (0) 2010.05.25
징전비후(懲前毖後)  (0) 2010.05.23
징갱취제(懲羹吹제)  (0) 2010.05.23
질풍경초(疾風勁草)  (0) 2010.05.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