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천 리 안(千里眼)

eorks 2010. 5. 29. 00:14
故 事 成 語


천 리 안(千里眼)


千:
일천 천, 里:마을 리, 眼:눈 안,

천리 밖의 먼 곳까지 볼 수 있는 눈. 곧 먼 곳이나 미래의 일을 꿰뚫어
      보는 능력                                                                                            


     남북조시대의 북위(北魏) 말엽 양일(楊逸)이 광주(光州) 태수로 부임해왔다.

     명문출신으로 당시 29세인 그는 조금도 교만하지 않고 청년다운 순수한 마
     음으로 주를 다스리는데 심혈을 기울였다.

     병사들이 출정(出征)을 할 때에는 찬바람이 불거나 눈 비가 내리거나 아랑곳
     하지 않고 반드시 전송을 했다.

     그만큼 백 성을 사랑하고 위하는 마음이 대단했던 것이다. 그 대신 법 지키기
     를 엄정하게 했기 때문에 죄를 범하는 자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흉년으로 굶어죽는 사람이 속출했다. 이를 보다 못한 양일
     은 국가의 창고를 열어 백성들에게 식량을 나 누어 주려고 했다.

     그러자 창고담당관리가 중앙의 허가가 없 이는 안된다고 말렸다. 사람들이
     죽어가는데 마냥 중앙읜 결 정을 기다리고 있을 수는 없었다. 양일은 말했다.

     "나라의 기본은 백성인데 백성들을 굶주리게 해서는 안된다. 창고를 활짝 열
     고 식량을 골고루 나누어 주어라. 책임은 내가 진다."


     양일은 관리가 법을 무시하고 백성들을 괴롭히거나 뇌물 받는 것을 무척 싫
     어했다.

     이렇게 되니 관리가 출장을 갈 때에는 도 시락을 싸가지고 갔고 출장지에서
     마련한 술자리에도 참석하 려 하지 않았다.

     향응과 뇌물을 받았다는 혐의를 받을 것이 두 려웠기 때문이다. 양일은 관리
     나 군인들이 권력을 배경으로 전횡을 후두르는 것을 용서치 않았다.

     주내의 곳곳에 정보원을 두어 관과 군인의 동태를 주시해왔다. 그러나보니
     먼곳의 일까 지 알아낸다는 말이 돌았다. 관리들은 이렇게 말했다.

     "양태수께서는 천리를 내다보는 눈(千里眼)을 가지고 계시오. 도저히 속일
     수가 없소이다"





     [출 전]《魏書》의 <양일전>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애해각(天涯海角)  (0) 2010.05.31
천도시비(天道是非)  (0) 2010.05.30
천려일실(千慮一失)  (2) 2010.05.28
천금매소(千金買笑)  (0) 2010.05.27
천고마비(天高馬肥)  (0) 2010.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