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천려일실(千慮一失) 千:일천 천. 慮:생각 려. 一:한 일. 失:잃을 실
천 가지 생각 가운데 한 가지 실책이란 뜻으로,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면 하나쯤은 실책이 있을 수 있다는 말.
한나라 고조의 명에 따라 대군을 이끌고 조나라로 쳐들 어간 한 신은 결전을 앞두고 '적장 이좌거(李左車)를 사로잡는 장병에 게는 천금을 주겠다'고 공언했다.
지덕 을 겸비한 그를 살리고 싶었기 때문이다. 결전 결과 조나 라는 괴멸했고, 이좌거는 포로가 되어 한신 앞에 끌려 나왔다.
한신은 손수 포박을 풀어 준 뒤 상석에 앉히고 주연을 베풀어 위로했 다. 그리고 한나라의 천하 통일에 마지막 걸림돌로 남 아 있는 연 제에 대한 공략책을 물었다.
그러나 이좌 거는 '패한 장수는 병법을 논하지 않는 법[敗軍將 兵不 語]'이 라며 입을 굳게 다물었다.
한신이 재삼 정중히 청하자 그는 이 렇게 말했다.
"패장이 듣기로는 '지혜로운 사람이라도 많은 생각을 하다 보 면 반드 시 하나쯤은 실책이 있다[智者千慮 必有一得]고 했습 니다. 그러니, 패장의 생각 가운데 하나라도 득책이 있으면 이만 다행이 없을까 합 니다."
그 후 이좌거는 한신의 참모가 되어 크게 공헌했다고 한다.
싸우면 반드시 이기고, 공격하면 반드시 쟁취했던 한신도 후 에 고조 의 황후인 여후의 꾐에 빠져, 결국 모반을 이유로 허 무하게 죽고 말 았다.
이것도 지혜로운 자의 천려일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원 말] 지자천려 필유일실(智者千慮必有一失)
[반의어]천려일득(千廬一得).
[출 전]《史記》〈淮陰侯列傳〉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