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이 높고 말이 살찐다는 뜻. 곧 ① 하늘이 맑고 오곡 백과(五穀百果)가 무르익는 가을을 형용하는 말. ② 활동하기 좋은 계절을 이르는 말.
은(殷)나라 초기에 중국 북방에서 일어난 흉노는 주(周) 진 (秦) 한(漢)의 삼 왕조(三王朝)를 거쳐 육조(六朝)에 이르는 근 2000년 동안 북방 변경의 농 경지대를 끊임없이 침범 약 탈해 온 표한(剽悍)한 유목 민족이었다.
그들은 바람처럼 쳐들어와 노략질을 하고는 바람처럼 사라 졌다. 흉노의 근거지는 중국 북쪽의 광대한 초원이었고 방목 (放牧)과 수렵이 주요한 생 업이었다.
대초원의 교통기관은 말이었다. 그들은 당연히 말타기, 활쏘기, 창던지기 에 능할 수밖에 없었다.
말은 봄부터 여름에 걸쳐 풀을 배불리 먹기 때문에 가을에는 살이 잔뜩 찐 다. 그러나 곧 겨울이 닥쳐 흉 노는 혹한을 견디면서 몇 개월을 버텨야 한 다.
말도 얼마간 마련해둔 풀로 버티지만 봄이 될 무렵에는 살이 다 빠진다. 힘든 겨우살이에 대비해서 흉노는 가을에 양식을 구하러 남 쪽으로 쳐들어 간다.
그래서 고대 중국의 군주들은 흉노의 침입을 막기 위해 늘 고심했는데 전 국시대에는 연(燕) 조(趙) 진(秦)나라의 북방 변경에 성벽을 쌓았고, 천하를 통일한 진시황(秦始皇)은 기 존의 성벽을 수축(修築)하는 한편, 증축 연결 (增築連結)하여 만리장성(萬里長城)을 완성하기도 했다.
그러나 흉노의 침입은 끊이지 않았다. 북방의 초원에서 방 목과 수렵으로 살아가는 흉노에게 우선 초원이 얼어붙는 긴 겨울을 살아야 할 양식이 필 요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북방 변경의 중국인들은 '하늘이 높고 말이 살지는[天高馬肥]' 가을 만 되면 언제 흉노가 쳐들어올지 몰라 전전긍긍(戰戰 兢兢)했다고 한다.
두보(杜甫)의 할아버지 두심언(杜審言)은 북쪽 변방으로 출정하는 친구에 게 시 한편을 써주었다. 거기에 이런 대목 이 보인다.
"구름 깨끗이 개니 불길한 별 떨어지고 가을 하늘 높으니 요새의 말이 살찌 네(秋高塞馬肥·추고색마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