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eorks 2010. 6. 12. 00:37
故 事 成 語


축록자불견산(逐鹿者不見山)


逐:
쫓을 축.鹿:사슴 록.者:놈 자.不:아닐 불.見:볼 견.山:뫼 산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한다는 뜻.                                        
곧 ① 명예와 이욕(利慾)에 미혹(迷惑)된 사람은 도리도 저버림.           
       ② 이욕에 눈이 먼 사람은 눈앞의 위험도 돌보지 않음. 또는 보지 못함.
  ③ 한 가지 일에 마음을 빼앗기는 사람은 다른 일을 생각하지 않음.


    전한(前漢) 7대 황제인 무제(武帝) 때 중앙 정권에 대항적 인 입장을 취했
    던 왕족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은 문하 (門下) 식객(食客)의 도움을 받
    아 많은 서책을 저술했는데, 그 중 특히 도가(道家)사상을 중심으로 엮은
    《회남자(淮南 子)》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실려 있다.

    [逐鹿者 不見山(축록자 불견산)] 사슴을 쫓는 사람은 산을 보지 못하고
    [攫金者 不見人(확금자 불견인)] 돈을 움키는 사람은 사람을 보지 못한다.




    [출 전]《淮南子》〈說林訓篇〉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출이반이(出爾反爾)  (0) 2010.06.14
春秋筆法(춘추필법)  (0) 2010.06.13
春來不似春(춘래불사춘)  (0) 2010.06.11
촌철살인(寸鐵殺人)  (0) 2010.06.10
초미지급(焦眉之急)  (0) 2010.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