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한 발(旱魃) 旱:가물 한. 魃:가물귀신 발,
가뭄. 가뭄을 몰고 오는 신화 속의 여신.
삼황이란, 복희·신농·황제를 말한다.
특히 황제 헌원씨 때에는 사람이 움집이 아닌 집을 만들고 삼베로 옷짜 는 것을 고안했다.
약초를 조사하고 의료술을 개발하는 등의 업적을 쌓 은 황제가 산동성 의 태산으로 행차한 적이 있었다.
큰 코끼리가 이끄 는 보차를 타고 온갖 신들을 거느린 이 행렬을 못마땅히 여긴 것은 호랑이와 이리떼를 대동한 치우였다.
그는 바람이 신 과 비의 신을 거느린 괴이한 난폭자였다.
치우는 자기와 같은 몸집을 한 괴신 72명과 힘을 합쳐 불평을 일 삼던 풍백·우사를 불러 반기를 들었다.
황제는 치우의 모반 소식을 듣고 판천에서 맞서 기세를 꺾은 다음 탁록에서 두 번째 결전 을 벌였다.
황제의 군사는 사방의 신들을 무장으로 삼아, 곰·큰곰·호랑이 등을 훈련 시켜 치우의 군대를 대적케 했다.
싸움이 시작되자 치우의 군대는 풍백과 우사의 활동으로 큰 바람을 일 으켜 폭우를 뿌렸다.
짙은 안개를 흩트려 놓고 동머리에 쇠 이 마를 지닌 괴인 군과 도깨 비.허깨비. 요괴 군들이 안개 속을 헤집으며 신출귀몰하여 날뛰었다.
황제 헌원은 그들과 8전8패의 수모를 당해야 했다. 그러나 헌원은 안개 속을 헤집으며 적을 공격하는 지남차를 발 견하여 적과 맞섰으며, 천상 에 있는 딸 발이라는 여신을 불러내 풍백·우사가 일으킨 풍우와 농 무를 흩뜨려 버렸다.
결국 치우는 힘이 소진되어 황제 군에게 항복하고 말았다. 그런데 발이 라는 여신은 용모도 추했지만 대머리였다.
싸움이 끝나자 온 힘을 다해 치우의 군대와 맞섰기 때문에 힘이 빠져 하 늘에 올라갈 수가 없었다. 그녀가 땅 위에 있자 가뭄이 찾아왔다.
그녀가 있는 곳엔 비 한 방울이 내리지 않는 메마른 날씨가 계속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녀를 한발이란 부르며 원망하게 되었다.
[출 전]《三黃五帝》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 .....白頭大幹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