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한우충동(汗牛充棟) 汗:땀 한. 牛:소 우, 充:가득할 충, 棟:마룻대 동 소가 땀을 흘릴만큼 실은 무게와 용마루에 받힐 만큼 쌓인 양이라는 뜻 책이 매우 많음을 이름.
당(唐)나라의 명문장가로 알려진 유종원(柳宗元)이 같은 시대의 역 사학 자 육문통(陸文通)을 위해 쓴 묘표(墓表)에 있는 말이다.
묘표란 죽은 사람의 사적과 덕행을 기리는 문장으로 돌에 새겨 무덤 앞에 세 우는 것이다.
"공자《춘추》의 해석을 둘러싸고 1000명의 학자가 온갖 주석을 하고 있지 만, 비뚤어진 해석이나 다른 학파에 대한 비난·공격만이 눈에 띈다.
더욱이 그런 패거리들의 저작만이 세상에 횡행하고 其爲書 處則充棟宇 出則汗牛馬(기위서 처즉충동우 출즉한우마) 그 저서나 장서의 엄청남이 란, 소장하면 건물을 꽉 메우고 꺼내어 운반하면 수레를 끄는 마소도 그 무게에 땀을 흘릴 정도다. 라는 상태다. 한편 공자의 본뜻에 합치한 학설 은 세상에 묻힌 채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