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꼭 한 번은 써먹을 수 있는 몰라도 좋고 알면 더 좋은
유머 상식 깔 깔 깔 |
매니큐어는 신분을 상징하는 것이었다
아무리 아름답게 치장한 여인이라도 손끝의 매니큐어를
손질하지 않아 얼룩덜룰하다면 그 매력은 반감된다. 오늘
날 매니큐어란 일반적으로 손톱에 색을 칠하는 것을 말하
는데 엄밀하게는 손톱을 정리하는 것을 뜻한다.
매니큐어의 시작에 관한 유래는 조금씩 다르지만 이미
5,000년 전부터 사용되어졌다고 한다.
매니큐어는 라틴어로 `Manus`와`Cure`의 합성어인데 기
원전 3,000년의 고대 이집트와 중국에서 손톱관리 기록을
볼 수 있었다. 고대 이집트에서는 손톱의 색깔이 신분을
나타내는 중요한 기준으로 관목에서 추출한 헤나로 손톱
을 물들였다고 한다.
왕족은 진한 적색을 칠했고 계급이 낮을수록 옅은 색상
을 칠했다고 한다. 중국에서도 만찬가지로 특권층의 신분
을 나타내는 수단으로 밀납, 계란의 흰자위, 아교, 아라비
아고무를 섞어서 손톱에 색상을 칠했다는 기록이 있다. 기
원전 600년에 중국 왕실에서는 금색옷을 입고 손에 은색
을 칠했으며 15세기의 명나라 왕조의 지배자들은 손톱에
빨강과 검은 색을 칠했다.
고대 문명 초기부터 손톱은 건강미의 상징이었고 붉고
선홍색을 띤 길고 아름다운 손톱은 여성에게는 미용의 포
인트로 남성에게는 젊고 힘찬 용맹의 상징이었다.
그러나 우리나라 여성들이 손톱에 붉은 봉선화 꽃물을
들이는 풍습은 서양의 신분과는 다른 의미가 있다.
고대문헌에 따르면 `봉선화 꽃이 붉어지면 그 잎을 쪼아
명반을 섞어 손톱에 싸고 사나흘 밤만 지나면 선홍빛이 든
다`고 했는데 이것은 예쁘게 보이려는 뜻보다 병마를 막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백두대간^^........白頭大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