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는 괴력난신(怪力亂神), 즉 괴이(怪異)와 무용(武勇)과 세 상의 어지러움과 신(神)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고 했듯, 괴 (怪)와 신이라는 초월자에 대해서는 순종하는 태도 이외에는 취하지 않았다. 더구나 공자는 이러한 태도야말로 지(知)라고 확신하고 있었다.
번지문지(樊遲問知) 자왈(子曰) 무민지의 경귀신이원지 가위지의(務民之義 敬鬼神而遠之 可謂知矣)
제자 번지(樊遲)가 지(知)에 대하여 물었다. 공자가 말하기를, "나 자신이 해야 할 일에 대해서만 노력하고, 귀(鬼)와 신(神)은 공경하며 멀리 할 것이라. 이렇게 하면 지(知)라 할 것이니라." `공경하여 이를 멀리 한다`함은 공경하여 버릇없이 지나치게 친하지 않는 일,요컨대 신에게 의지하는 등의 일을 하지 말 것 을 의미한다. 여기서 공자의 초월자에 대한 객관적인 공정성이 엿보인다. 오늘날 `경원(敬遠)`이란 말이 `꺼려해서 피한다`는 뜻으로까지 쓰이는 것을 공자가 알면 탄식해 마지않을 일이다. <논어(論語)> `술이편(述而篇)`, `옹야평(雍也篇)` 등에 보이는 말이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