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
조금만 더하면 목적을 이룰 수 있는데 그만 중단했기 때문에 지금까지 애썼던 것이 모두 헛된 일이 되고 마는 것을 `공휴일궤`라고 한다. 쉽게 말해서 `고지가 바로 저긴데 예서 말아 버리는`격이랄 수 있다. <서경>의 `여오편(旅獒篇)`에 위산구인 공휴일궤(爲山九刃 功虧一簣)_아홉 길 산을 쌓는데 공이 한꺼번에 무너진다_라고 한 데서 비롯된 말이다. 주(周) 무왕이 은의 주왕을 무너뜨리고 새 왕조를 열었다. 이 때 서쪽 오랑캐인 여(旅)나라에서 오(獒)라는 명견(名犬)을 선물로 보내왔다. `오`는 송아지처럼 큰 개인데 사람의 말을 잘 듣고 사냥을 잘해서 무왕은 애지중지했다. 이를 본 무왕의 동생 소공(召公)은 혹시 무왕이 `오`에 너무 빠져 정치를 소흘리 하지 않을까 해서 다음과 같은 말로 경각심을 일깨웠다. "임금 된 자는 아침부터 밤까지 잠시도 게을러서는 안 되는법, 지극히 사소한 일이라도 조심하지 않으면 큰 덕을 해치기에 이른다. 흙을 쌓아 산을 만드나니, 이제 조금만 노력하면 아홉 길 산이 쌓이는데 이제 다 되었다고 하면서 한 삼태기_궤(簣)_의 흙을 운반하지 않으면 이제까지의 모든 공이 헛된 일이 되고 만다." 이 말을 들은 무왕은 잠시 자신을 부끄러워한 뒤 정사(政事)에 힘을 썼다. |
......^^백두대간^^........白頭大幹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