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古典) 이야기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
우마차에 실으면 소가 땀을 흘릴 정도이고, 쌓아 올리면 대들보에 닿을 정도로 책이 많다는 것을 비유한 말이다. 이 말의 출전은 유종원의 <육문통묘표(陸文通墓表)>다. "공자가 <춘추>를 짓고 1천5백 년이 지났다. 이름이 전해지는 사람이 다섯 있는데 지금 그 셋을 쓴다. 죽간(竹簡)을 잡고 생각을 초조하게 하여 읽고 주석을 지은 자가 백천이나 되는 학자들이 있다. 그들의 성품이 뒤틀리고 굽은 사람들로 말로 서로 공격하고 숨은 일을 들추어내는 자들이었다. 그들이 지은 책들은 집에 두면 창고에 가득하고 옆으로 옮기려면 소와 말이 땀을 흘린 정도였다. 공자의 뜻에 맞는 책이 숨겨지고 혹은 어긋나는 책이 세상에 드러나기도 했다. 후세의 학자들은 늙어 힘이 다할 때까지 왼쪽 오른쪽을 돌아보아도 그 근본을 얻지 못한다." 원문은 함부로 남을 헐뜯고 자신을 좋다고 여기는 무익한 책들이 세상에 많이 남아 있음을 슬퍼한 내용이다. 그런 것이 후대에 오면서 많은 책을 비유하는 뜻으로 사용되었다. 지금으로 보면 아무것도 아닌 양이지만 인쇄술이 발달하지 못하고 주로 손으로 직접 필사했던 시절을 생각한다면 그 정도의 장서는 일급에 속한다고 할 만하다. |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1565B4494FE9530736)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