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 이야기

사람의 됨됨이를 보는 법

eorks 2014. 12. 4. 07:44
고전(古典) 이야기 ~리더를 위한 고전읽기 책략편~

사람의 됨됨이를 보는 법

시기소이 관기소유 찰기소안(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인언수재 인언수재(人焉瘦哉 人焉瘦哉)

그가 하는 바를 보고, 그로 말미암은 바를 널리 보며, 그 편안히 여기는 바를 두루 살펴보면, 사람이 어찌 자신을 숨길 수 있으리오. 어찌 자신을 숨길 수 있으리오.

공자가 사람의 행동을 통하여 그의 사람됨을 평가 분석하는 방법에 대하여 한 말이다. <논어> `위정`편에 나온다. 여기서 `소이(所以)`는 `지금 하고 있는 것`이니 현재의 행동이나 자세를 뜻한다. `소유(所由)`는 `말미암은 것`이니 현재의 상태에 이르게 된 동기, 이유, 원인을 가리킨다. 과거의 행적, 사고(思考), 전력(前歷)을 뜻한다. `소안(所安)`은 `편안히 여기는 바`이니 하고 싶은 것, 갖고 싶은것, 지향하는 것을 가리킨다. 즉 앞으로 어떻게 나아갈 것인가를 뜻한다. 이 세 가지를 어우르면 과거와 현재와 미래가 된다. 어떤 사람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알면 그 사람이 과연 어떤 사람인가를 한눈에 다 알게 된다. 그러나 숨길 수가 없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시(視)`, `관(觀)`, `찰(察)`의 세 단어가 그 사람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살피는 정도를 나타낸다. 시-관-찰은 그 농도가 더욱 짙어짐을 뜻한다. 그냥 보는 것과 널리 보는 것과 살펴보는 것은 분명 다르다. 현재는 그냥 보면 되고, 과거는 널리 보면 알 수 있고, 미래는 잘 살펴야 볼 수 있다. 이렇게 꼼꼼하게 보는데 어찌 자신을 숨길 수 있단 말인가? 소인들이야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심히 자신을 숨기려고 애쓰겠지만 말이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전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면초가(四面楚歌)  (0) 2014.12.06
사랑의 힘  (0) 2014.12.05
사람을 쓰는 도리  (0) 2014.12.03
사대부(士大夫)  (0) 2014.12.02
사당(祠堂)  (0) 2014.1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