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野史

세 유기장수의 죽음

eorks 2015. 5. 10. 00:16
韓國野史 이야기(夜談)

세 유기장수의 죽음
    옛날에 으슥한 산기슭에 주막집을 차리고 사는 두 부부가 있었 다. 그런데 슬하에 자식도 없이 근근히 가난한 살림을 꾸러거던 두 내외는, 어느 날 갑자기 논밭을 사고 큰 기와집도 사고 하여 마 을에서 이름난 부자가 되었다. 두 내외는 부자가 된지 얼마 지나지 않아 이번에는 그 동안 없 었던 자식을 해마다 낳아 슬하에 세 아들을 두게 되었다. 두 내외는 금이야 옥이야 귀엽게 키운 세 아들을 서당에 보내 어 글공부도 시켰다. 천자문을 떼고 사자소학을 배우고 동문선습, 명심보감을 외우 고, 또 높은 글을 배우고 난 세 아들은 과거시험을 보기 위해 서 울로 길을 떠났는데 그들은 과거에도 모두 한꺼번에 붙었다. 두 내외의 기쁨은 이루 다 말할 수가 없었다. 과거에 급제한 세 아들이 서울에서 돌아오는 날, 두 내외는 마 당에 잔칫상을 차리고 풍악을 울리면서 세 아들을 기다렸다. 그런데 말을 탄 세 아들은 풍악이 울리고 잔치상이 차려진 마 당에 들어서 내리려다 잘못하여 말에서 떨어져 그 자리에서 모두 다 죽고 말았다. 잔치상이 차려지고 풍악이 울리던 마당은 통곡소리가 가득 찬 초상집으로 변하고 말았다. 갑작스레 세 아들의 장사를 치른 두 내외는 하도 억울하고 분 해서 원님한데 찾아갔다. "원님! 이 원수를 갚아 주십시오. 과거에 급제한 우리 세 아들 의 목숨을 빼앗아 간 그 못된 귀신에게 원님께서 원수를 갚아 주 십시오." 원님은 어처구니가 없는 얼굴로 두 내외의 얼굴을 내려다보았 다. "자네들 아들 셋을 한꺼번에 잃더니 실성을 한 것이 아닌가. 나는 이 고을 사람들을 다스리는 사람이지 염라 대왕이나 귀신을 다스리고 있는 것이 아니야!" 두 내외는 힘없이 원님 앞에서 물러나왔다. 두 내외가 울고불고 하며 나가는 것을 보니 원님은 측은한 생 각이 들었다. "어디 귀신을 한 번 불러서 물어 보기라도 해야겠다." 그리고는 이방을 불러들여, "너는 오늘 쌀을 일곱 번 일고 일곱 번 씻어서 밥을 지어 밥상 셋을 방죽 옆 다리에다 차려 놓거라." 하고는 먹을 갈아 글발 하나를 써서 이번에는 담이 큰 사령에게 주면서 말했다. "이 글을 오늘 밤 자정이 되면 방죽 옆 다리 위에서 밥상을 받 고 있는 늙은이가 있을 테니 그에게 보여 드려라." 원님이 말한 대로 정성스레 밥을 지어 방죽 옆의 다리 위에다 갖다 놓은 다음 자정이 되자 담이 큰 사령이 원님이 쓴 글발을 가지고 다리로 갔다. 다리에는 과연 원님이 말한 대로 밥상을 앞에 놓은 늙은이 셋 이 앉아 있었다. 세 늙은이는 글발을 읽고 나더니, "시장하던 김에 대접도 잘 받았고, 우리가 아무리 염라 대왕이 지만 남의 마을에 왔으니 이 마을의 원님을 만나 보고 가는 것도 괜찮은 일이겠지!" 하고 중얼거리더니 사령의 뒤를 따라 원님에게로 왔다. 원님은 한밤중에 염라대왕을 방 안에 모시게 되었다. 그리고는 다짜고짜 물었다. "아무리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염라 대왕이지만 과거에 금방 급제한 젊은 목숨 셋을, 그것도 한꺼번에 빼앗는 것은 사람의 목 숨을 너무나 함부로 다루는 처사가 아닙니까?" "허허, 원님! 우리가 함부로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것 같아 보 일지 모르지만 분명히 제 명이 된 사람만을 데리고 가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주막집 두 내외의 세 아들의 명도 다 되었다는 말씀 입니까?" "아무럼요!" "아니 어떻게 세 아들이 과거에 급제하고 나서 똑같이 명이 되 도록 되어 있습니까? 원 세상에 희한한 일도." "허허 원님! 아직 모르시군! 주막집 내외의 죽은 세 아들은 사실은 주막집 내외에게 원수를 갚으려고 환생한 세 유기장수였 답니다. "전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자, 그럼 우리가 알려 드리지요. 20여 년 전에 있었던 일입니 다. 유기장수 셋이 그 두 내외의 주막에 든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 두 내외는 밤중에 유기장수들을 죽이고 돈을 빼앗은 뒤에 그 시체를 마굿간에다 묻었지요. 원통하게 죽은 유기장수 셋은 원수 를 갚기 위하여 주막집 내외의 아들로 태어나서 귀여운 자식으로 서 기쁨을 주다가 갑자기 죽음으로써 두 내외의 가슴에 슬픔의 칼을 꽂은 것입니다." 그 말을 마치지마자 세 늙은이는 자취를 감추었다. 이튼날 원님은 사령을 보내어 산 기슭 주막집의 마굿간 밑을 파헤쳐 보게 했다. 그랬더니 과연 염라대왕이 말한 대로 유기장 수 셋의 시신이 썩지도 않은 채 그대로 있었다. 원님은 곧 주막집 두 내외를 잡아들여 벌을 내렸다.

......^^백두대간^^........白頭大幹

'韓國野史'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혜 갚은 구렁이  (0) 2015.05.12
뱀의 보은  (0) 2015.05.11
처절한 원한 때문에(4)  (0) 2015.05.09
처절한 원한 때문에(3)  (0) 2015.05.08
처절한 원한 때문에(2)  (0) 201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