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왕은 그 글을 중원의 황제에게 보냈는데 황제는 그 시
를 읽고 나서,
"그 속에 든 것이 달걀이란 것은 옳으나 지시함정미토음(知時
含情未吐音)이란 말은 틀렸다."
라고 했다. 때문에 곧 상자를 쪼개어 보니 과연 그 동안에 달결
이 까이어 병아리가 되어 있었다. 때문에 중원의 황제는 크게 놀
라며 감탄했다. 그리고 황제의 신하들은 입을 모아 말했다.
"신라와 같은 조그만 나라에 이와 같이 모든 것을 아는 기막힌
사람이 있으니, 그들이 장차 우리 나라를 엿볼 조짐이 있사오니
다. 그 선비를 불러다가 하루 바삐 목을 배어야 될 것이라고 생
각하나이다."
황제는 동감의 뜻을 표시했으며 신라 왕에게,
"즉시 글 지은 선비를 보내라."
하고 명령했다.
때문에 신라 왕이 나 승상을 보고
"그대의 사위가 비록 글을 제대로 지었으나 이제 중국 천자가
글 지은 선비를 보내라고 하니 경이 중원으로 가야 하겠소."
하고 명했다.
나 승상은 집에 돌아와서 장차 중원으로 들어갈 것을 크게 근
심 걱정하고 있었다. 한데 치원은 벌써 그같은 사정을 알고.
"이번 일에는 장인께서 가시는 것보다 제가 가는 것이 좋겠습
니다."
하고 말했다. 나 승상이 마지못해 왕에게 그 일을 주달하자, 신라
의 왕도 또한 치원의 높은 재주를 알고 있었는지라, 그렇게 하라
고 윤허했다.
신라 왕은 최치원을 불러 놓고
"그대가 떠나더라도 처갓집 일을 모두 내가 맡아 보살펴 줄 것
이니 마음 놓고 다녀오라. 만일 가는 데 소용되는 것이 필요하면
말하라. 내가 마땅히 그것을 부담해 주리라."
고 말했다. 그러자 치원은 왕에게 사례하고
"아무것도 필요한 것은 없사오나 다만 한 가지 오십 자 가량
되는 모자 한 개를 마련해 주시옵소서."
하고 청했다. 왕이 만들어 준 오십 자가 되는 모자를 가지고 최
치원은 스스로
"신라 문장 최치원(新羅文章崔致遠)"
이라고 칭하며 서해 바닷가에서 이별을 서러워하는 그의 아내와
해어져 먼 뱃길에 올랐다.
[내일 계속......]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