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베트남 /공 문화 공간(13)

eorks 2019. 6. 13. 01:22

세계무형유산 /베트남 /공 문화 공간
[Space of gong culture]

Space of gong culture(공 문화 공간)

Space of gong culture(공 문화 공간)

Space of gong culture(공 문화 공간)

Space of gong culture(공 문화 공간)

Space of gong culture(공 문화 공간)

Space of gong culture(공 문화 공간)

    국가 : 베트남(Vietnam)
    등재연도 : 2008년
    본문 :
    베트남 중부 고원 지대에 걸쳐 있는 ‘공 문화 공간(Space of gong culture)’은 여러 지방과 17개의 오스트로아시아(Austro-Asian) 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Austronesian) 어족을 포함한다. 이들의 신앙 체계는 일상생활 및 계절 주기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으며 공(한국의 징과 같은 모양의 악기)이 사람, 신, 초자연적인 세계를 잇는 특별한 언어를 만든다는 신비주의적 세계관과 관계있다. 사람들은 모든 공에는 신 또는 여신이 깃들어 있고, 공이 오래될수록 신의 힘이 강력해진다고 믿는다. 모든 가정에서 공을 적어도 1개는 가지고 있다. 공은 가족의 부·권위·명성을 나타내고, 가족을 보호하는 것으로 여긴다. 놋쇠로 만든 여러 악기가 다양한 행사에서 사용되지만, 공은 지역사회 생활의 모든 의식에 나타나며 중심이 되는 의례용 악기이다.

    베트남에서 공을 연주하는 방식은 마을마다 다르다. 연주자는 지름이 25cm~80cm에 이르는 여러 가지 공을 가져온다. 마을 연주단은 남성이나 여성으로 구성되어 3개~12개의 공을 연주한다. 수송아지를 바치는 희생제, 쌀을 축복하는 의식, 애도 의식 등 의례의 종류에 따라 다른 편곡과 리듬을 사용하여 공을 연주한다. 이 지역의 공은 이웃 나라에서 들여온 후 용도에 맞게 조율하여 쓴다.

    경제적·사회적 변화로 인해 이들 지역사회의 전통적인 삶의 방식이 급격하게 영향을 받았으며, 공 문화가 형성된 원래의 환경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지난 세기 수십 년에 걸쳐 전쟁을 치르면서 이전의 삶의 방식·지식·노하우를 전승하는 일은 심하게 타격을 입었다. 오늘날, 나이든 장인들이 죽고, 젊은이들은 서구 문화에 관심이 커지면서 이러한 현상은 더욱 악화되었다. 공은 신성한 의미를 상실했고, 재활용품으로 팔리거나 다른 물품과 교환하기도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공 문화 공간 [Space of gong culture]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