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코트디부아르 /코모에 국립공원
[Comoé National Park]
요약 : 서아프리카(West Africa)에서 가장 규모가 큰 보호구역 중 하나인 이 국립공원은 식물의 다양성이 매우 높은 점이 큰 특징이다. 열대우림이나 관목 사바나(shrub savannahs)같이 훨씬 더 남쪽 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들이 코모에(Comoé) 강 덕분에 이 지역에 자라고 있다.
코모에 국립공원
코모에 국립공원
코모에 국립공원
코모에 국립공원
국가 : 코트디부아르(Côte d'Ivoire)
위치 : 부나, 콩, 나시앙, 테앵 소구(Bouna, Kong, Nassian and Tehin sub-prefectures), 부나와 페르케세두구 현(Bouna and Ferkessedougou prefectures), 북동부 지역(Northeast region)
좌표 : N9 0 0,W4 0 0
등재연도 : 1983년(2003년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 등재)
탁월한 보편적 가치 :
코트디부아르 북동부에 있는 코모에 국립공원(Comoé National Park)은 총 면적이 1,149,450㏊로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규모가 큰 보호구역이다. 이곳은 식물의 다양성이 매우 높은 점이 큰 특징이다. 공원을 가로지르는 코모에 강 덕분에 열대우림이나 관목 사바나같이 훨씬 더 남쪽 지역에서만 발견할 수 있는 식물들이 이 지역에 자생한다. 그래서 이 유산은 사바나와 열대우림 사이 전이지대 서식지의 독특한 사례들로 가득하다. 서식지의 유형이 다채로워, 이 지역에 다양하고 폭넓은 종의 야생동물이 분포할 수 있었다.
완전성 :
코모에 국립공원은 서아프리카에서 생태의 완전성을 유지하고 있는 희귀한 지역 중 하나이다. 이 유산은 불법 행위만 근절한다면, 이곳에 서식하고 있는 동식물이 갖춘 생물학의 완전성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 그 규모가 광범위하다. 당국에서는 국립공원 지역 전체에 생태계와 분수령을 포함해 넣기 위해 경계 범위를 분명하게 설정하였다. 그러나 코끼리에게 안정된 서식 환경을 제공해 주는 동시에 다른 희귀종을 보호하는 고로위 산(Mount Gorohoui)과 콩골리 산(Mount Kongoli)을 경계 범위에 포함시켰다면 이 유산이 갖는 생태학 가치는 아마도 더욱 높아졌을 것이다. 그래서 세계유산위원회에서는 남서부 지역으로 경계 범위를 확대하여 고로위 산과 콩골리 산을 국립공원에 포함해 넣자는 내용을 당국에 제안하였다.
본문 :
서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보호구역 중 하나인 이 공원은 식물의 다양성이 매우 높은 점이 큰 특징이다. 이 공원은 서식하는 동식물들의 생태적 완전성을 보장할 수 있을 만큼 규모가 방대한 아프리카에 얼마 남지 않은 자연보호구역 중 하나이다.
코모에 강과 볼타(Volta) 강 사이의 육지에 형성된 국립공원에는 평균 고도 250~300m의 산등성이가 줄을 잇고 있으며 600m 높이의 화강암 도상구릉(잔구)이 우뚝 솟아 있다. 국립공원의 주된 배수지는 코모에 강과 그 지류들로 구성된다. 230㎞에 달하는 코모에 강은 국립공원을 관통한다. 수많은 수로도 동쪽의 볼타 강 쪽으로 향한다. 영구수와 반영구수(Permanent and semi-permanent water)들이 여기저기서 샘솟는다. 일부 지역은 토양이 비옥하지 않아 농경지로 활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공원은 사바나 지대, 두터운 열대우림 지대 그리고 강기슭의 초원 지대를 비롯하여 다양한 서식지를 포함한다. 이곳에서 발견할 수 있는 식생은 훨씬 더 남쪽 지역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다. 이는 삼림 지대에서 사바나 지대로의 점진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전이지역 서식지에서 두드러지는 양상이다. 국립공원은 사바나에 나타나는 모든 유형의 서식지를 포함하고 있다. 삼림 지대는 많은 콩과의 교목이 우점하고 있다. 하천을 따라 형성된 삼림 지대는 콩과의 교목인 사이노메트라 보겔리(Cynometra vogelii) 나무가 주를 이룬다. 울창한 건조림에는 이소베를리니아 도카(Isoberlinia doka), 아노게이수스 레이카르푸스(Anogeissus leiocarpus), 콜라 코르디폴리아(Cola cordifolia), 안티아리스 아프리카난(Antiaris africanan) 등이 자생하며, 국가 차원에서 멸종이 우려되는 클로로포라 에크셀스(Chlorophora excels)도 자란다. 식용 가능한 아키(akee, Blighia sapida, 무환자나무과의 열대성 나무)도 이곳에 자생하고 있으며, 범람원에는 하이파르헤니아 루파(Hyparrhenia rufa)가 자라고 있다.
수생 서식지와 암반으로 된 도상 구릉에는 특별한 식생지대가 들어서 있다. 코모에 강 유역은 노란등다이커(yellow-backed duiker, Cephalophus silvicultor)와 봉고(bongo) 등 일부 야생동물의 북방 한계선을 형성한다.
아누비스개코원숭이(anubis baboon, Papio anubis), 사바나원숭이(green monkey, Chlorocebus sabaeus), 다이애나원숭이(diana monkey, Cercopithecus diana), 모나원숭이(mona monkey, Cercopithecus mona), 작은흰코게논(lesser white-nosed monkey, Cercopithecus petaurista), 칼라망가베이(white collared mangabey, Cercocebus torquatus), 흑백콜로부스(black and white colobus), 침팬지 등 11종의 원숭이와 많은 포유류가 이곳에 서식하고 있다. 사자, 표범, 큰천산갑(giant pangolin, Manis gigantea), 땅돼지(aardvark), 바위너구리(rock hyrax, Procavia capensis) 등 17종의 육식동물도 서식하고 있다.
그리고 덤불멧돼지(bush pig, Potamochoerus porcus), 혹멧돼지(warthog, Phacochoerus africanus), 하마(hippopotamus, Hippopotamus amphibius), 부시벅(bush buck), 늪영양(sitatunga, Tragelaphus spekii), 버펄로(buffalo), 붉은겨드랑다이커영양(red-flanked duiker, Cephalophus rufilatus), 물영양(waterbuc, Kobus ellipsiprymnusk), 코부스 코브(kob, Kobus kob), 론영양(roan antelope, Hippotragus equinus), 오리비영양(oribi, Ourebia ourebii) 등 21종의 우제류(artiodactyl)도 서식하고 있다.
왜가리(heron), 오리, 맹금류(raptors), 물떼새(plover), 자고(francolin), 망치머리해오라기(hammerkop, Scopus umbretta), 장다리물떼새(black-winged stilt, Himantopus himantopus) 등을 비롯한 10종의 조류, 4~6종에 이르는 서아프리카 왜가리(stork), 5~6종의 서아프리카 독수리(vulture)도 서식하고 있다.
1968년 2월 8일 칙령 No. 68-81. 1926년부터 기본적인 보호정책은 있었지만, 1953년 3월 4일 칙령 No. 1605호에 따라 ‘부나-코모에 동물생태 보존지구(reserve de faune de Bouna-Komoe)’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코모에 국립공원은 1983년에 세계유산과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으로 인정받았다.
보존 및 관리체계 :
이 유산은 잠재된 사회 불만의 영향과 통제 불능 상태로 늘어난 불법 행위 때문에 대형 포유동물의 개체 수가 급속하게 줄어들자, 효과적인 관리 체계의 부재 등을 이유로 들어 2003년 위험에 처한 세계유산목록에 등재되었다. 이 유산은 법률에 의해 다각도로 보호를 받고 있다. 불법 행위 근절, 거주지 및 농경지로 사용하려는 주민들의 압력 방지, 불충분한 관리 강화와 접근 통제 등이 이 유산의 주된 관리 과제에 포함된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산 지역 전체에 걸친 효과적 감시 체계와 지역민이 참여하는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유산 주변 거주지 관리와 그와 연관된 영향 및 압력을 줄이는 방안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이들 대책에 유산 전반의 관리 구조를 반영해야 한다. 유산의 장기 관리를 뒷받침할 인적 자원과 재정 자원을 보장하기 위해 후원 기금의 지속된 조성 전략도 없어서는 안 될 사항이다.
등재기준 :
기준 (ⅸ) : 지리적 위치와 천연자원 보전을 위해서 설정된 광대한 면적 덕분에 이 유산은 생태학 측면에서도 특히 중요한 곳이다. 국립공원의 지형은 코모에 강과 그 지류인 바베(Bavé), 이링구(Iringou), 콩고(Kongo) 강에 의해 깊이 깎인 능선과 광활한 평야 지대이다. 북쪽에는 습한 식물이 자라며, 삼림 지대는 야생동물이 서식하기에 알맞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공원의 남북 노선을 따라 녹지가 조성된 도상 구릉은 암반으로 덮여 있고, 북부와 중심부에는 암벽 능선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따로 떨어진 산괴에 해발 500~600m 높이의 작은 산들이 줄을 잇는다.
코모에 국립공원에는 다양한 서식지가 수없이 분포해 있는데 특히 사바나 지대, 나무가 우거진 사바나 지대, 하천을 따라 형성된 삼림 지대(하변림), 하천에 형성된 삼림 지대와 강기슭의 초원 지대 등이 있다. 이는 삼림 지대에서 사바나 지대로 변천하는 서식지에 주로 나타나는 유형들이다. 현재 이 국립공원은 서아프리카의 다양한 생물들을 보호하기 위한 희귀한 보존지역 중 하나이다.
기준 (ⅹ) : 식물지리학적 위치와 이 공원을 흐르는 총 길이 230㎞에 달하는 코모에 강 덕분에 코모에 국립공원에는 엄청나게 다양한 동식물이 넘쳐난다. 공원은 이런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 서아프리카의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로 혼재하는 교차 지대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 공원에는 약 620종의 식물상과 135종의 포유류(11종의 영장류, 11종의 육식동물, 21종의 우제류를 포함한다), 35종의 양서류, 500여 종의 조류(아프리카 대륙 사이를 이동하는 철새의 20%와 구북구(舊北區) 지역 철새의 대략 5%에 해당)가 서식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국제적인 보호의 혜택을 누리고 있는 조류로는 특히 던햄느시(Denham's Bustard, Neotis denhami), 노랑투구볼망태코뿔새(Yellow-casqued Wattled Hornbill, Ceratogymna elata), 갈색뺨코뿔새(Brown-cheeked Hornbill, Bycanistes cylindricus) 등이 있다. 또한 이 지역에는 수단-기니 사바나지대 생물군계(biome of the Sudano - Guinean savanna)에 속하는 야생동물도 36~38종 서식하고 있다. 이는 실제 서식하고 있는 개체 수로 국가 목록에 포함되어 있다.
희귀종인 안장부리황새(saddle-billed stork/ Jabiru d'Afrique, Ephippiorhynchus senegalensis)도 특히 서아프리카 지역에서 발견되었다. 60여 종에 달하는 어류가 코모에 강과 다른 하천에 서식하고 있다. 파충류로는 난쟁이악어(dwarf crocodile, Osteolaemus tetraspis)를 비롯한 3종의 악어가 이 국립공원에서 더 발견되었다. 난쟁이악어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의 멸종 위기에 처한 동식물 보고서(적색목록집, Red List)에 포함되어 있다. 이 공원에는 멸종이 우려되는 침팬지와 리카온(아프리카들개, African wild dog, Lycaon pictus)과 아프리카코끼리(African elephant, Loxodonta africana) 등의 포유류 3종도 서식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코모에 국립공원 [Comoé National Park]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