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말리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Cultural Space of the Yaaral and Degal]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국가 : 말리(Mali)
등재연도 : 2008년
본문 :
야루알(Yaaral)과 데갈(Degal)의 문화 공간은 내 니제르 삼각지(inner Niger Delta) 페울(Peul) 지역의 광대한 초원을 배경으로 한다. 야루알과 데갈 축제는 가축들의 계절적 이동 방목을 위해 강을 건너는 시기에 열린다. 1년에 2번 소떼들은 사헬(Sahel)의 건조한 지대와 내 니제르 강의 범람원을 가로질러 건너간다. 축제는 항상 페울(풀라니(Fulani))인들이 길일이라 믿는 토요일에 개최되며, 정확한 날짜는 초원과 강의 상태에 따라 정해진다.
축제기간 중에는 가축의 몸에 여러 가지 장식이나 그림으로 꾸미고, 장식한 가축을 뽐내는 대회를 여는 등 다양화된 문화 표현을 볼 수 있다. 유목민들은 기나긴 여정 동안 그들의 모험과 관련된 목가적 시를 낭송하며, 젊은 여인들은 보석으로 치장하고 더없이 아름다운 옷을 입으며 노래 속에 등장하는 목자의 이야기에 찬사를 보낸다. 페울인의 생활방식의 핵심을 표현하고 있는 이 두 가지 행사는 이들이 최초로 정착한 14세기경부터 유래되었다. 페울인이 목초지를 관리하기 위한 계절적 이동 방목과 또 이동방목의 경로 중에 특정 지점에서 집결하면서, 페울인들은 이곳에서 주요 행사를 열게 되었으며 이는 대규모 목가적 축제로 확장되었다.
이 삼각주 지역에는 유목민인 페울인을 비롯해 쌀농사를 하는 마카(Marka)인과 노노(Nono)인, 수수를 경작하는 밤바라(Bambara)인과 어부인 보조(Bozo)인 등 다양한 직업을 가진 모든 부족들이 모여든다.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한자리에서 축제를 즐기게 되므로 야루알과 데갈 축제는 공동체의 결속과 사회통합을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축제와 관련된 공동체 사이의 강한 애착은 이 지역 전통의 연속성을 보전하고 있긴 하지만 오늘날 젊은이들은 도시로 떠나고 있으며, 목초지와 가축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 가뭄이 반복되고 있어서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전통의 연속성이 약화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야루알과 데갈의 문화 공간 [Cultural Space of the Yaaral and Degal]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