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자연유산

세계자연유산 /우간다 /브윈디 천연 국립공원(92)

eorks 2019. 9. 3. 00:56

세계자연유산 /우간다 /브윈디 천연 국립공원
[Bwindi Impenetrable National Park]
요약 : 면적 32,092㏊의 브윈디 천연 국립공원(Bwindi Impenetrable National Park)은 우간다 남서부의 평원과 산지 삼림의 접점 지역에 있다. 생물다양성이 뛰어나 160종 이상의 교목과 100종 이상의 양치식물이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산고릴라(mountain gorilla, Gorilla beringei beringei) 등 위기종(Endangered, EN)뿐만 아니라 많은 종류의 조류와 나비도 발견된다.

브윈디 천연 국립공원

    국가 : 우간다(Uganda)
    위치 : 카발레(Kabale), 키소로(Kisoro), 루쿵기리(Rukungiri), 구역(Districts)
    좌표 : S1 4 50,E29 39 41
    등재연도 : 1994년
    탁월한 보편적 가치 :
    면적 32,092㏊의 브윈디 천연 국립공원은 아프리카 산지(Afromontane) 저지대 삼림이 산지 삼림 지대 안까지 뻗어 들어가는 지역으로서는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편에 속한다. 알버틴 지구대(Albertine rift valley) 동쪽 가장자리에 이 브윈디 국립공원은 플라이스토세에 피난처(refugium, 다른 곳에서는 멸종된 것이 살아 있는 지역)로 기능했다고 생각되며, 고도가 높은데도 불구하고 동아프리카에서 수종이 가장 많은 생물다양성 핵심지역(hotspot)이다. 아울러 다양한 토착 나비종 등 풍부한 동물상을 자랑하며, 아프리카에서 포유동물이 가장 많은 곳들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열대지역에서 농촌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곳 중 하나로 농촌 경관으로 둘러싸인 이 유산에는 전 세계 산고릴라의 거의 절반이 서식하며, 생물학적 풍부함이 두드러진 고립된 삼림으로서 보전의 최전선임을 보여 준다. 지역 공동체가 산고릴라 및 그 밖의 생태관광(ecotourism)으로부터 수익을 얻는다는 사실은 이 독특한 유산의 장래 보존에 있어 유일한 희망이 될 것이다.

    완전성 :
    이 유산은 우간다에서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당 350명 이상) 농촌 지역 안에 자리 잡은 ‘숲의 오아시스(oasis of forest)’이다. 따라서 이곳 지역민들이 유산보호를 위해 기증한 국립공원 남쪽 끝부분의 4㎢ 지역의 완충지역 외에, 삼림 주변에 따로 완충지역을 설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현재 유산의 면적이 축소되었다는 사실과, 경계지역의 비율이 높아 공원과 인가가 접하는 부분에 대해 집중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알맞은 경계 형태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공원의 각 구획들 간에는 좁은 통로가 몇 군데 형성되어 있는데, 야생동물들의 이동에는 어려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인간의 개입과 식생의 제거 등의 제약으로 유산의 면적을 확장할 방법이 거의 없는 상황이다.

    국립공원은 강으로 둘러싸여 있지 않은 부분의 경우, 경계의 표시로 심은 나무와 콘크리트 기둥들에 의해 명확히 경계가 구분된다. 이러한 경계선으로 인해 지역주민들에 의한 침범은 대부분 저지되었으나, 인구가 증가됨에 따라 농업 활동을 위한 침입의 위협이 아직 남아 있다. 그러나 공동체 참여 프로그램을 통해 인근 지역 주민들은 생태 관광(ecotourism)과 제한된 식물자원의 이용으로부터 여러 가지 이득을 얻을 수 있었고, 그들의 삶이 크게 향상되었다.

    유산 내에서 행하여지는 상업 활동은 앞서 말한 생태관광이 유일하다. 브윈디 국립공원은 면적이 작은(약 900㏊) 콩고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Congo)의 사람브웨 삼림(Sarambwe forest) 보호지역과 맞닿아 있어서, 브윈디의 고릴라 같은 종들이 이따금 그 안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이러한 현상은 개체 분산과 유전자 확산(gene flow) 및 위기종 동식물을 위한 국제적 협력 방안의 기회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문 :
    우간다 남서쪽 키게지 고원(Kigezi Highlands)에 있는 브윈디 국립공원은 콩고민주공화국의 국경과 맞닿아 있으며, 북쪽과 서쪽으로부터 남서쪽 모퉁이를 향해 기울어진 가파른 산비탈과 좁은 계곡들이 특징이다. 이 공원은 인구 밀도가 높은 주변의 농지에 물을 공급하는 집수역(water catchment)이며, 동아프리카에서 저지대 식생과 산지 식생이 공존하는 삼림으로서는 드물게 면적이 큰 편이다. 이샤샤 강(lshasha River)의 주요 지류 세 개는 북쪽의 에드워드 호(Lake Edward)로 흘러 들어가며, 응데고(Ndego) 강, 카냠와보(Kanyamwabo) 강, 숑기(Shongi) 강은 남쪽의 무탄다 호를 향해 흐르고 있다.

    지질학적으로 이 지역은 서부 단층 계곡(western rift valley)의 곡륭(曲隆, upwarping)과 관련이 있으며, 아래의 암반은 천매암(千枚岩, phyllite)과 혈암(shale) 및 석영(quartz), 규암(quartzite), 화강암 노두(露頭)로 구성되어 있다. 토양은 주로 부식성 적색 양토(humic red loam)이다. 산비탈이 가파르기 때문에, 나무가 없는 부분의 토양은 침식에 매우 취약하다. 이곳은 홍적세에 피난처(refugia)로 기능했으리라 여겨지며 삼림의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다.

    브윈디 국립공원은 동아프리카에서 교목(163종 이상)과 양치식물(104종 이상) 등 식물이 가장 다양한 삼림 지역이다. 16종은 우간다 남서부에서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킬리만자로마호가니(Lovoa swynnertonii)는 전 세계적으로 멸종이 우려되는 식물종이다. 초본식물, 덩굴, 관목이 계곡의 바닥을 조밀하게 뒤덮으며 서식하는 이곳의 삼림에는 ‘관통할 수 없는(impenetrable)’이라는 형용사가 붙는다.

    브윈디 국립공원은 214종 이상의 삼림 조류, 주행성 영장류 7종, 포유동물 120종, 나비 202종 등 동아프리카에서 가장 풍부한 동물군집이 형성되어 있는 곳 중 하나이다. 또한 중요한 것은, 전 세계 산고릴라의 거의 절반이 이곳에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브윈디는 또한 아프리카 산지(afromontane) 동물군, 특히 서부 단층 계곡(western rift valley)의 산악 지역의 토착종 보존에 있어서 중요한 장소이다.

    종합적으로 보면 이곳에 서식하는 세계적으로 멸종이 우려되는 동물종인 산고릴라, 침팬지, 로에스트긴꼬리원숭이(l'Hoest's monkey, Cercopithecus l'hoesti), 그리고 아프리카코끼리, 아프리카푸른넓적부리(African Green Broadbill, Pseudocalyptomena graueri), 그라우어골풀솔새(Grauer’s rush warbler, Graueria vittata), 차핀딱새(Chapin’s flycatcher, Muscicapa lendu), 아프리카큰호랑나비(Giant African Swallowtail, Papilio antimachus), 크림띠호랑나비(Cream-banded swallowtail, Papilio leucotaenia) 등의 위기종(Endangered, EN)이 있다. 1960년대 후반에는 버펄로가, 더 최근에는 표범이 밀렵으로 인해 멸종(Extinct, EX)되었다.

    브윈디 국립공원에서 고고학 유적이 발견된 적은 없지만, 더욱 넓은 키게티 지역(Kigeti region)에는 37,000년 전부터 인간이 거주했을 가능성이 있다. 가장 오래된 벌목의 흔적은 4,8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아마 식생에 불을 사용한 바트와족(수렵 채집민)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아프리카 열대지역에서 가장 오래된 경작의 흔적으로 여겨진다. 이것은 아프리카 적도 지역에서는 최초의 경작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증거이다.

    브윈디 국립공원은 삼림 주변 이곳저곳에 소재하는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농촌 지역들 중 한 곳에 위치한다. 반투족(Bantu)에 속하는 바치가(Bachiga), 바품비라(Bafumbira), 바르완다(Barwanda) 등의 약 10,000가구들이 국립공원 바로 인근의 토지를 경작하고 있다. 바위투성이의 험한 지형으로 인하여 상업적인 벌목이 행해진 적은 없다.

    현재 브윈디 국립공원 삼림의 북쪽과 남쪽 구역에 해당하는 부분은 1932년에 면적 합계가 20,700㏊에 달하는 카사토라 및 카욘자 삼림보호구역(Kasatora and Kayonza Crown Forest Reserves)으로 각각 지정된 바 있다. 1948년에 이 보호구역들은 중앙천연삼림보호구역(Impenetrable Central Crown Forest Reserve)으로 합쳐져 면적이 29,800㏊로 확장되었다(1947년에 제정되고 1964년에 개정된 삼림법에 의거).

    1961년에는 두 군데의 지역 삼림보호구역들이 추가로 통합되어 총 면적이 32,080㏊로 확장되었다. 같은 해에 산고릴라를 보호할 추가적 조치의 노력으로, 보호구역 전체가 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다(1959년에 제정되고 1964년에 개정된 수렵금지 및 통제법에 의거). 1991년에는 마침내 우간다의 국립공원으로 승격되었고(1992년 시행령 3호 및 1952년 국립공원법에 의거), 이와 더불어 르웬조리 산지 국립공원 및 음가힝가 고릴라 국립공원 등 2개의 국립공원이 추가로 설치되었다. 이러한 최종적인 변화에는 음부아 지역(Mbwa tract)의 면적 1,000㏊가 통합되는 조치가 포함되었다.

    보존 및 관리체계 :
    우간다 야생생물국(UWA, 등재 당시 이 유산의 관리를 담당하던 우간다국립공원[UNP]을 대체하였다)의 관리를 받는 브윈디 국립공원은 다양한 국가법들을 통해 보호를 받는다. 이러한 법에는 헌법(1995), 우간다야생생물법[(Uganda Wildlife Act) 제200장(2000)], 환경법(National Environment Act, 2000), 지방행정법(Local Government Act, 1997), 토지법(1998), 삼림 및 식수법(Forest and Tree Planting Act, 2003), 우간다야생생물정책(Uganda Wildlife Policy, 1999). 여기 나열된 법들은 세계 유산으로 등재될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지만 우간다국립공원법(Uganda National Parks Act, 1952), 수렵법(Game Act) 등이 국립공원의 설치 근거가 되었다.

    그리고 생물 다양성 협약(1992), 위기 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onvention on International Trade in Endangered Species) 등의 국제협약, 람사르 협약(Ramsar convention, 1971), 세계유산협약(World Heritage Convention, 1972) 등이 있다.

    이 유산은 현재 승인된 관리 계획의 적용을 받고 있으며, 지역 공동체들로부터 보전지역으로서의 존중과 지원을 받고 있다. 또 여러 국내외 NGO(비정부 기구)들로부터의 실질적인 지원도 이끌어내고 있다. 또한 유산 내에 상설 연구 기관이 설립되어 있어 유산의 보존을 위한 연구와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과 더불어 강력한 정책적 지원이 이 유산의 장기적인 보호와 보전을 보장하고 있다. 유산의 관리에는 지역 공동체의 삶을 지원하기 위한 생태관광의 개발이 포함되었다. 생태관광은 지역공동체가 이 유산을 지지하게 된 주요한 동기가 되었다.

    브윈디 국립공원은 지역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자원 관리(sustainable resource management)에 대한 모델로서, 우간다뿐만 아니라 동아프리카 지역 전체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새끼 산고릴라라든가 침팬지의 밀매가 새로 나타나는 상황에서 영장류 보호를 위한 강력하고 장기적인 조치가 여전히 필요하게 되었다.

    산고릴라는 인간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에 관광 활동을 통해 전달되는 인간의 질병으로부터 위협을 받고 있다. 우간다 야생생물국은 이러한 위협들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면서, 이러한 위협을 줄이기 위해 이해 관계자들 및 NGO들과 협력하고 있다. 법적 조치와 모니터링 등을 통해 지속적인 보존의 강화가 요구된다.

    등재기준 :
    기준 (ⅶ) : 아프리카 대륙의 생물다양성 면에서 핵심적인 지역인 이 유산에는 풍부한 생물종들이 서식한다. 기준 (ⅹ)에서도 언급되듯이, 이곳의 높은 생물다양성은 아주 뛰어난 자연 현상으로 간주될 수 있다.

    기준 (ⅹ) : 브윈디 국립공원은 고도 1,160m부터 2,706m까지를 아우르는 다양한 서식지들, 알버틴·콩고 분지와 동아프리카 생태구역(ecological zones)들의 접점이라는 위치적 조건, 과거 홍적세의 피난처로서 기능했을 것이라는 사실 등으로 인해 우간다 동식물의 가장 중요한 서식지이며, 알버틴 단층 지역(Albertine Rift)의 많은 고유 생물종들을 포함하는 등 생물다양성이 높다. 이 숲은 과거에 우간다 서부, 르완다, 브룬디, 콩고민주공화국 동부를 널리 뒤덮고 있었던 거대한 삼림 중 아직 남아 있는 일부분으로 생각된다.

    이 유산은 동부아프리카에서 교목(10종의 고유종을 포함하여 200종 이상)과 양치식물(약 104종)이 가장 다양한 곳이며, 아프리카 산지삼림에 서식하는 나비(8종의 알버틴 고유종을 포함하여, 우간다 전체 84%인 202종의 나비가 서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삼림일 것이다. 이곳은 또한 위급종(Critically Endangered, CR)인 산고릴라의 주요 서식지로서, 전체 개체들의 거의 절반(약 340마리)이 이곳에 서식하고 있다. 또한 삼림 조류 347종 이상이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되는데, 알버트 단층 지역의 산지 삼림 조류(montane forest bird) 78종 중 최소 70종(36개의 고유종 중 22종 포함)이 이곳 삼림에서 발견된다.

    종합적으로 보면 브윈디 국립공원은 세계적으로 멸종이 우려되는 수많은 생물종들의 서식지로서 기능하는데, 그러한 종들로는 산고릴라, 침팬지, 로에스트긴꼬리원숭이, 아프리카코끼리 등 세간의 주목을 받는 포유류들과, 아프리카푸른넓적부리, 그라우어습지솔새, 터너에레모멜라(Turner’s Eremomela, Eremomela turneri), 차핀딱새, ‘Shelley’s crimson-wing(Cryptospiza shelleyi)’ 등의 조류들, 아프리카큰호랑나비, 크림띠호랑나비 등의 나비들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브윈디 천연 국립공원 [Bwindi Impenetrable National Park]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