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 /미국 /존 마셜의 줄호안 부시먼족 영화 및 비디오 컬렉션, 1950~2000(176)

eorks 2019. 11. 25. 00:13

세계기록유산 /미국 /존 마셜의 줄호안 부시먼족 영화 및 비디오 컬렉션, 1950~2000
[John Marshall Ju/’hoan Bushman Film and Video Collection, 1950-2000]

Political rally in Bushmanland

John Marshall at work

Ju/'hoan child and infant

John Marshall Ju/'hoan Bushman Film and Video Collection, 1950-2000


국가 : 미국(United States of America)
소장 및 관리기관 : 스미스소니언 협회, 인간학영화기록보관소(Human Studies Film Archives)
등재연도 : 2009년
“원주민과 그들의 영토 사이에 정신적으로 깊이 형성된 관계를, 신앙·관습·전통·문화에 대해서 만큼이나 그들의 존재에 근본이 되는 것으로 알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유네스코

스미스소니언 인문학 연구소 필름 보관소(Smithsonian Institution’s Human Studies Film Archives)에 소장되어 있는 ‘존 마셜의 줄호안 부시먼족 영화 및 비디오 컬렉션, 1950~2000(John Marshall Ju/’hoan Bushman Film and Video Collection, 1950-2000)’은 20세기 인류학 프로젝트의 중요한 시각 자료 중 하나이다. 50년에 걸쳐서 존 마셜이 만들어낸 영화필름과 비디오 및 오디오는 나미비아 공화국의 북동쪽, 칼라하리 사막(Kalahari Desert)의 줄호안시족(Ju/'hoansi)이라는 한 종족을 지속적으로 관찰한 시청각 기록 자료로서 아주 특별하다. 원주민들의 전통적 생활방식뿐만 아니라 나미비아의 독립 투쟁과 때를 같이하여 전개된 정치와 경제의 급격한 변화에 따른 생활방식의 변화에 대한 비견할 바 없는 역사적 기록물이다.

1950년대 줄호안시족은 전통적인 사냥과 수렵으로 자급자족하는 마지막 잔존 집단이었다. 그들은 칼라하리 사막의 니아에니아에(Nyae Nyae)라고 알려진 지역에 거주하면서 조상 전래의 샘 옆에서 삶을 이어나갔다. 이 시청각 기록 자료는 줄호안시족의 사냥과 수렵 생활의 마지막 몇 년, 그리고 뒤이어 수십 년간 그들의 생활이 현대화되어 가는 현실을 보여 준다. 그들이 영양부족과 알코올중독, 가정 내 폭력의 열악한 상황으로 타락해 가는 과정과 그들의 자결권, 문화적 정체성, 전통의 땅과 물에 대한 권리를 찾으려는 투쟁, 자급자족 농경과 혼합경제를 일구려는 시도, 풀뿌리 정치조직(grassroots political organizing)과 현대 지구촌 사회로의 진입을 보여 준다. 인접한 민족 집단의 이해와 요구의 충돌, 국제사회의 원조, 야생동물 보호, 새로 형성된 나미비아의 민주 행정을 배경으로 이런 급격하고 극단적인 변화가 생겨났다.

이런 비극적인 상실과 급격한 변화는 줄호안시족의 삶뿐만 아니라 토착 집단 전체에 일어나고 있다. 이 시각 기록 자료는 세계에 보여 주는 정적인 자료가 아니라 원주민의 권리와 원주민의 매체에 관해 필요한 대화를 알아내기 위해 계속해서 재해석하여 사용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존 마셜의 이야기는 민족지학적 다큐멘터리 영화의 역사에서 아주 특별하다. 그는 처음 스미스소니언과 하버드 피바디 박물관(Harvard Peabody Museum)의 공동 주관으로 결성한 아프리카 남부 칼라하리 사막 탐험대에 그의 부모와 함께 참가하였다(1950~1958). 이 탐험으로 존 마셜과 줄호안시족의 일생 동안의 관계가 시작되었다. 마셜은 20세기의 가장 유명한 인류학적 영화제작자로서 인정받고 있다.

줄호안시족과 함께한 그의 연구는 332시간의 영화와 433시간의 비디오, 309시간의 오디오 자료와 추가 지면 기록물뿐만 아니라 편집된 23편의 영화와 5부로 된 비디오 시리즈 「칼라하리 가족(A Kalahari Family)」(2002)으로 막을 내렸는데, 이것은 오랜 시간에 걸친 줄호안시족의 이야기와 마셜이 직접 발전시킨 혁신적인 영화제작 방식을 자세히 보여 준다. 또한 그가 개인적으로 줄호안시족에게 바친 헌신과 그들의 분투를 보여 준다. 마셜이 그들의 개발을 돕기 위한 재단을 만들고 그들을 옹호하는 데 대부분의 인생을 바쳤다는 점을 주목할 만하다. 마셜이 편집한 영화는 인류학을 가르치는 데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 분야에 끼친 그의 막대한 영향력은 상당한 양의 인류학적·민족지학적 영화 제작 문헌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컬렉션은 외부 세계와의 접촉이 거의 없는 문화적 고립집단의 연구에서부터 지역적·세계적 경제와 정치의 압박으로 인해 변화를 겪고 있는 문화에 이르기까지 인류학 연구의 점진적 발전을 반영하고 있다. 영화와 비디오 기술의 발전을 따르고, 그것이 시각적 포착에 영향을 미쳤다. 이 감동적인 영상들은 원주민에 관한 서양의 고정관념을 지속시키는 데뿐 아니라 그 원주민을 열렬하게 옹호하는 데까지 영화가 끼치는 사회 문화적 영향력을 보여 주는 훌륭한 예이다.

또한 관련이 있는 오디오테이프는 지리적 사용분포가 한정되어 있어 사라질 위기에 처한 언어 연구에 아주 귀중한 자료이다. 시청각 자료는 사회 배경과 관련하여, 그리고 언어와 관련된 몸짓이나 수행 부분을 통하여 언어를 연구할 수 있는 귀중한 기회를 제공한다. 줄호안시족은 줄호안어를 사용한다. 오랫동안 사용되어 온 다양한 문화적 표현 도구에는 쿵(!Kung)어가 있는데, 이것은 3가지 방언 그룹이 있는 어군이다. 그 그룹 중 하나가 줄호안시족이고, 나머지 두 그룹은 현재 줄호안시족이 부정적 의미가 내포된 것으로 간주하는 산(San)족, 줄호안시족이 아이러니컬하게도(이 말의 경멸적인 역사를 감안하면) 지금은 품격 있는 말로 선호하는 부시먼(Bushman)족이다(유타 대학교 인류학자이자 줄호안시족과 함께 생활한 연구자 폴리 위스너(Polly Wiessner) 박사의 설명). 케이프타운대학교에 소장된 ‘블리크 컬렉션(The Bleek Collection)의 공책‧어휘집‧사진’(2005-2006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과 함께 이들 두 기록물은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말까지 이루어진, 부시먼족의 무형 유산을 대표하는 놀라운 기록이다.

세계적 중요성‧고유성‧대체 불가능성 :
‘존 마셜의 줄호안 부시먼족 영화 및 비디오 컬렉션, 1950~2000’은 스미스소니언 협회 인간학영화기록보관소에만 있다. 보급용 다큐멘터리 교육 자료집에는 편집된 영화의 디지털 복사본이 있지만 원본 자료는 인문학 연구소에 소장되어 있다. 다른 어디에도 없는 이 컬렉션은 상태가 악화되어 소실되어 가고 있으며 대체가 불가능하다(다큐멘터리 교육 자료집에 소장된 디지털 복사본 제외).

이 컬렉션은 남아프리카의 칼라하리 사막에 살고 있는 원주민 줄호안시족이 전통적 생활방식을 유지하던 때부터 시작하여, 밀려들어오는 현대화에 의해 그들의 존재가 위협받게 된 시기까지의 50년을 시각적으로 보여 준다. 원주민의 생활방식을 기록한 초기의 기록물과 정치 조직과 농경의 노력을 보여 주는 후기의 장면들은 줄호안시족 전통의 땅을 지키려는 정치적 노력에 있어서 중요하였다. 이런 이유로, 이 기록유산은 줄호안시족의 현재와 미래의 전망, 그리고 과거에도 그랬지만 앞으로도 그들의 민족자결권에 큰 영향을 줄 것이다. 그러나 이 컬렉션은 독립한 나미비아 공화국으로 밀려들어온 외국의 원조와 비정부기구에 관한 기록으로도 중요하다. 그들의 이타적인 시각, 극복할 수 없을 것 같은 지역에 미치는 영향, 도전, 문제점은 원주민 보호와 함께 세계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문제들이다.

모든 다큐멘터리와 민족지학적 영화는 특정 시대와 장소의 사람들과 사건들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이 있다. 더 나아가 마셜 컬렉션과 같이 동족인 사람들과 사건들에 관한 장기적 기록도 마찬가지로 특수성이 있다. 줄호안시족 기록유산은 인류학 수업과, 특히 민족지학적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의 발전에 관한 논의에 아주 중요하다. 줄호안시족에 관한 마셜의 기록은 민족지학적 영화에 관한 거의 모든 문헌에서 다루고 있고, 편집된 그의 영화는 전 세계의 학교와 축제에서 볼 수 있다. 민족지학적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의 발전에 미친 그의 영향은 문헌에서 잘 다루어지고 있지만, 이 기록물은 그런 영향력 있는 영화제작자로부터 배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한다. 영화제작자이면서 지지자로서 마셜은 전 세계의 원주민 집단의 구상주의적 미디어 사업을 위한 역사적 전례 역할을 한다. 이 기록영화의 장면들은 분명히 줄호안시족이 앞으로 그들 자신의 고유한 매체를 개발하여 자기표현을 하는 데 빼놓을 수 없게 될 것이다.

또한 이 기록물의 범위를 고려하면 보건·의학·유전학·정치학·지리학·환경변화·음악·사회학, 그리고 영화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존 마셜의 줄호안 부시먼족 영화 및 비디오 컬렉션, 1950~2000 [John Marshall Ju/’hoan Bushman Film and Video Collection, 1950-2000]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