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 /바베이도스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의 기록물(178)

eorks 2019. 11. 27. 00:23

세계기록유산 /바베이도스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의 기록물
[The Federal Archives Fonds]

Federal Maple

Oath Books of the Federal Parliament

Original Black-to-White Photograph in the Federal Archives Photographic Col

The Original Flags of the West Indies Federation

The Coat of Arms of the Federal Supreme Court

The Administrative Files of the Federal Government

The Seal of the West Indies Federation

Watermark of the Coat of Arms of the West Indies Federation


국가 : 바베이도스(Barbados)
소장 및 관리기관 : 바베이도스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Federal Archives Centre)소(서인도제도대학교 케이브힐 캠퍼스(Cave Hill Campus))
등재연도 : 2009년
서인도제도 연방(1958~1962)은 영어를 사용하는 서인도제도 10개 지역의 정치적 연방이었다. 연방 형성은 제2차 세계대전 후 서인도제도 지역에 탈식민지화라는 새 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서인도제도의 역사는 아프리카·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캐나다·미국 등이 포함된 이전의 영국 식민지의 역사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 이들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의 기록물은 이들 역사의 상관성을 반영하며, 대영제국의 식민지였던 이들 지역이 처음으로 ‘정치적 힘’을 발휘하고 주권 국가가 되고자 하였던 20세기 역사의 결정적인 시기 가운데 하나를 기록하고 있다.

서인도제도 연방이 특히 헌법을 바탕으로 하는 개혁과 국가 중심의 이해관계 극복 같은 문제와 관련하여 동시대의 다른 연방들과 공통점이 있었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서인도제도 연방의 경험은, 지리적으로 바다에 의해서 영토가 분리된 섬나라로서의 특징이 있으며 역사적으로 영국과 개별적인 상호 관련이 있었던 결과 다른 연방들과 구별되고 특별하다. 또한 계약노동, 노예, 노동력 수입 등을 바탕으로 한 식민지 시대의 대농장 중심 경제 때문에 대내외적으로 이주가 많았던 영향도 있었다. 그러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서인도제도 연방을 구성하는 지역의 크기, 인구 구성, 경제 등이 다양하고 서로 달랐음에도 불구하고 연방이 아주 신속하게 수립되었다는 점이다.

서인도제도 연방은 자메이카(Jamaica), 안티과(Antigua), 바베이도스(Barbados), 트리니다드 토바고(Trinidad and Tobago), 그레나다(Grenada), 몬트세랫(Montserrat), 세인트키츠 네비스 앵귈라(Saint Kitts-Nevis, Anguilla: 앵귈라는 현재 영국 해외 영토로 귀속됨), 도미니카(Dominica), 세인트루시아(St. Lucia), 세인트빈센트(St. Vincent) 등 10개의 영토로 구성되었다. 영국령 기아나와 영국령 온두라스는 제휴 영토였다. 이 연방 기록물의 정보는 모두 이들 12개 영토에 관한 것이고, 연방을 형성한 당시에 영국령 서인도제도의 사회적·경제적·정치적·문화적 상황을 포괄적으로 보여 준다. 이뿐만 아니라 기록물들은 서인도제도 연방과 캐나다 사이의 유대관계를 보여 주기도 하는데, 캐나다는 서인도제도 연방정부에 ‘조언자’의 역할을 하였다. 캐나다 정부는 연방제의 과정을 거치면서 서인도제도가 직면한 유사한 어려운 문제들을 이미 겪어 왔기 때문에 대단히 중요한 지원을 해 줄 수 있었다. 이 기록물은 또 오스트레일리아와 같은 동시대의 기존 연방과도 연관을 맺었던 증거를 제공한다. 오스트레일리아 헌법의 규정은 새로운 연방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모델이 되었다.

연방제 시기에 서인도제도에서 선두 역할을 했거나 지도자였던 5명의 인물은 C.L.R. 제임스(C.L.R. James), 데렉 월콧(Derek Walcott), 아서 루이스 경(Sir Arthur Lewis), 에릭 윌리엄스(Eric Williams) 박사, 슈리다트 ‘소니’ 람팔 경(Sir Shridath ‘Sonny’ Ramphal)이었다. 이 사람들은 연방제가 시작되던 시기를 전후해서 서인도제도에서 태어나 자란 경험을 바탕으로 삶을 형성해 온 사람들이다. 궁극적으로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의 주요 기록물들은 세계 무대에서 극적인 변화가 일어나던 시기에 서인도제도 사람들의 결단과 정책, 계획과 전략, 희망과 포부를 드러내고 있다.

세계적 중요성·고유성·대체 불가능성 :
서인도제도 연방에 관한 포괄적 기록물은 세계의 다른 기록보관소에는 없다.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의 기록물과 관련한 문헌이나 컬렉션은 다수 있다. 서인도제도가 영국 식민지 지배 아래 있을 때부터 그 지역과 주고받은 행정기록들은 영국 국립기록보관소와 의회도서관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서인도제도연방의 모든 행정에 관한 시청각 자료는 서인도제도대학교(University of the West Indies) 케이브힐 캠퍼스(Cave Hill Campus)의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Federal Archives Centre)에서만 찾아볼 수 있다.

기록물에 포함되어 있는 원본 연방기, 총독부기, 선서용 책, 연방의회의 상징물, 하원의장의 의자, 문장 압인, 지도, 연방 전역의 도면 및 배치도, 서인도제도의 문장 등은 모두 대체 불가능한 ‘유례없는’ 자료로서 고유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서인도제도연방 기록물센터의 기록물 [The Federal Archives Fonds]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