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이란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Pahlevani and Zoorkhanei rituals]
요약 : ‘팔레바니(Pahlevani)’는 이슬람과 그노시즘(Gnosticism), 그리고 고대 페르시아 신앙의 여러 요소들을 결합한 이란의 무술 연행으로, 10명~20명의 남성들이 고대의 무기를 상징하는 도구를 휘두르면서 체조 동작으로 연행하는 의식이다. 팔레바니는 주르카네(Zoorkhane)라는 신성하게 여겨지는 돔형 구조물 안에서 거행하며, 그 안에는 팔각형으로 움푹 들어간 경기장과 경기장 둘레에 관중석이 있다.
사회자인 모르셰드(Morshed)가 팔레바니를 진행하는데, 서사시와 그노시즘 시를 낭송하며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자브(zarb)라 불리는 고블릿 드럼(goblet drum)을 친다. 그가 낭송하는 시는 윤리적·사회적인 가르침을 전달하는 주르카네이(Zoorkhanei) 문학의 일부이다. 팔레바니의 참여자는 다양한 사회적 계층에 속하거나 다양한 종교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각 그룹은 지역 공동체와 긴밀하게 연계하면서 불우한 사람에게 자선을 베푼다.
훈련 기간 동안에 전수생은 피쉬케스바트(Pīshkesvat, 챔피언)의 지도 아래 윤리적 가치관과 무사도적 가치관을 배운다. 개별 기술과 기법을 통달하고 종교적 원칙을 준수하며, 그노시즘의 윤리적·도덕적인 단계를 통과한 자는 팔레바니(영웅)라는 돋보이는 신분을 얻게 되고, 이는 공동체에서의 지위와 권위를 상징한다. 2009년 현재 이란에는 500개의 주르카네가 있으며, 각 주르카네에는 연행자, 설립자, 그리고 피쉬케스바트가 있다.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국가 : 이란(Iran (Islamic Republic of))
등재연도 : 2010년
지역 정보 : 이 의식은 ‘주르카네’라는 곳에서 치른다. 이란에는 약 500개의 주르카네가 있는데, 대부분 중부 지역에 있다.
본문 :
팔레바니와 주르카네 의식은 ‘주르카네’라고 불리는 성스러운 장소에서 펼쳐지는 율동 기예, 음악 및 극예술의 종합체이다. 이 의식에서는 10명~20명의 남자로 구성된 집단이 고대 무기를 상징하는 도구를 이용하여 음악에 맞추어 리듬감 있는 극적인 방식으로 의식 성격의 율동을 연행한다.
이란 역사상 이러한 요소는 서사시적 전설과 고대 이란의 윤리적 삼부작인 「선한 생각, 선한 행동, 선한 말씀(Good Thought, Good Deed, Good Speech)」에 근거한 세계관의 영향을 받았다. 그 기원은 3000년 전의 미트라교(Mithraism)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의식은 이란 대부분의 지역과 이웃 국가인 아프가니스탄·타지키스탄·아제르바이잔·이라크·파키스탄·인도의 일부 지역에서 고대부터 거행되었다.
팔레바니는 남성적인 특성이 있으며, 모든 계층의 사람이 연행자로 참여한다. 윤리적 가치와 무사도적 가치는 팔레반(Pahlavan, ‘챔피언’, 기법과 영웅적 윤리의 달인)의 지도 아래 모르셰드(사회자)가 낭독하는 서사시의 범주 내에서 전수된다. 이 과정에서 음악과 스포츠가 결합된 리듬감 있는 율동이 수반된다.
‘모르셰드’는 이란 전통 타악기인 ‘자브(Zarb)’를 연주하면서 서사시나 신비적인 시를 낭송하고, 가요를 음악과 스포츠와 같은 극적인 율동과 조화시키거나 가요의 앞부분에 음악과 율동을 붙인다. 모르셰드가 낭송하는 시는 주르카네이 문학의 일부이다. 의식 중간에는 스포츠와 유사한, 음악에 맞춘 곡예적인 율동이 공연된다. 마지막으로 의식은 국가 간의 평화와 친교를 확대하고 궁핍한 사람의 어려움이 해결되기를 바라는 기도로 끝을 맺는다.
이 의식의 부속적인 프로그램 중에는 ‘골리잔(Golrīzān)’ 행사가 있다. 이 행사는 선도자(피쉬케스바트), 달인, 인도자에게 경의를 표하며 가난한 사람, 병든 사람과 고아를 위한 기부금을 모금하기 위하여 개최한다. 이 행사에서는 성금을 요청하는 표시로 주르카네의 구석구석에 꽃이 놓이며, 모금된 성금은 비밀리에 신탁관리자에 의하여 필요한 자들에게 제공된다.
의식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특정한 운동복을 입는데, 주로 아라베스크 무늬로 장식된 반바지와 티셔츠 차림이다. 복장이나 일부 주르카네이 도구에서는 보티-제그게(Botee-Jeghghe, 굽어진 사이프러스 나무를 추상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겸손한 챔피언을 상징함)를 찾아볼 수 있다.
전승 정보 :
전승과 훈련에는 전통적 방법, 현대적 방법의 2가지 방법이 사용된다. 전통적인 방법에서는 기예, 예절 및 도덕을 스승이 전수생에게 일대일로 가르치며, 전수생은 참여하면서 보고 배우기도 한다. 현대적인 방법은 최근에야 인기를 얻게 되었는데, 선도자인 코치가 주르카네에서 훈련 과정을 가르친다.
• 전통적인 음악 훈련
관심 있는 학생이 이 훈련을 받으려면 적정한 가창 능력을 보유해야 한다. 학생은 처음에는 자브 연주 기법을 배우고, 그 후 가창법을 배워서 이란의 전통 음악 레퍼토리 체계 안에 있는 주르카네 문학의 서사시와 신비주의 시를 노래하거나 낭송한다. 더불어 학생은 신비주의 단계와 윤리적 단계를 거쳐야 모르셰드가 된다. 이 과정은 수년이 걸리고, 그동안 모르셰드는 의식과 사회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현대 음악 교육
관심 있는 개인은 주르카네에서 열리는 특별 강좌에 참여할 수 있다. 이란의 전통 음악을 배울 뿐만 아니라 강의 계획서에 따라 타악기 연주를 배운다.
• 전통적인 방법으로 배우는 기예
기예의 대부분의 과정은 참여하여 눈으로 보고 배우는 것이다. 초보자는 스승과-전수생 간의 전수 방법으로 배우고, 선도자의 지도 아래 배우기도 한다. 이 과정에서 팔레바니의 예절과 윤리를 전수생은 전승받는다.
• 주르카네
주르카네는 이 문화유산을 실행하는 장소로서 특별한 건축물이며, 미트라교 사원과 이슬람 사원이 조화를 이룬 건축물이다. 이 장소의 주요 부분은 돔, 경기장, 관중석, 그리고 모르셰드가 앉는 ‘사르담(Sardam)’이다. 경기장은 고우드(Gowd)라고 불리는 팔각형 형태의 70cm 깊이로 패인 곳인데, 의식이 진행되면 연행자가 나이와 연공서열에 따른 특정한 지점에 선다. 관중석은 고우드 경기장을 내려다보도록 되어 있다. 주르카네의 문은 낮게 만들어져 사람들이 들어올 때 몸을 구부려 성스러운 장소에 경의를 표하도록 한다. 주르카네의 도구, 장비, 복장은 테헤란(Tehran) 시와 마슈하드(Mashhad) 시의 솜씨 있는 장인이 만든다.
무형유산의 의미 :
- 팔레반은 특히 마을과 같은 공동체에서 사회 복지를 운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전국적으로 500개에 이르는 많은 수의 주르카네가 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 의식은 대중, 특히 청소년의 여가시간에 정신적 건강과 사회적 건전함을 전파할 수 있다.
- 이 의식을 거행하는 데 나이 제한이 없다는 점에서 아버지와 아들이 나란히 참가할 수 있으며, 이로써 세대 간의 격차를 줄일 수 있다.
- 사회적 특권을 무시하고 다양한 계급과 계층의 사람이 참여하며, 참여를 위한 유일한 요건은 무사도적인 특징과 연장자에 대한 존중이다. 이러한 측면은 평화와 윤리적 가치에 대한 존중을 증진할 것이다.
- 각 주르카네의 협의체는 소유자, 모르셰드, 운영자, 소수의 선도자와 참여자로 구성되며, 활동과 행사를 관리하고 개최한다. 필요한 예산은 대중의 지원금과 참여자의 기부금으로 충당한다.
- 모든 사회 계층(십대, 청년, 성인, 장년층, 도시 사람과 시골 사람, 대학생, 성직자, 다양한 길드와 직업 조직 가입자)은 의식에 모르셰드, 팔레반 또는 연행자로 참여한다. 참여에 있어서 종교적 제한은 없다.
- 의식에서 가장 중요한 계급은 ‘팔레바니’이며, 이들 각각은 개별적인 기예와 기술뿐만 아니라 더욱 중요한 팔레바니가 지녀야 할 높은 윤리적 가르침을 배운다. 따라서 팔레반은 공동체에서 높은 지위를 차지하며, 비공식적으로 가정 내의 문제와 지역 내의 문제를 종결할 권위를 가지면서 사회적 행동의 적정함을 판단할 기준을 제시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팔레바니와 주르카네이 의식 [Pahlevani and Zoorkhanei rituals]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