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형유산

세계무형유산 /에스파냐 /플라멩코(221)

eorks 2020. 1. 11. 00:14

세계무형유산 /에스파냐 /플라멩코
[Flamenco]
요약 : 플라멩코(flamenco)는 노래(칸테, cante), 춤(바일레, baile), 음악적 기교(토케, toque, 음악 연주)가 융합된 예술적 표현이다. 플라멩코의 중심지는 에스파냐 남부의 안달루시아(Andalusia)지만, 무르시아(Murcia)·엑스트레마두라(Extremadura) 등에서도 그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칸테(cante)는 플라멩코의 음성적 표현으로, 남성과 여성이 코러스 없이 대개 앉아서 노래한다. 플라멩코에서는 슬픔·기쁨·비통함·환희·공포 등과 같은 모든 감정과 심리 상태가 진정성과 표현력 있는 가사를 통해 나타난다. 가사는 단순하고 간결한 것이 특징이다. 플라멩코 바일레(baile)는 열정과 구애의 춤으로, 슬픔에서부터 기쁨에 이르기까지 풍부한 상황을 표현한다. 춤의 기법은 복잡하며, 연행자의 성별에 따라 다르다. 예를 들어 남성은 발을 더 많이 사용하며, 여성은 춤사위가 더욱 부드럽고 관능적이다. 토케(toque) 또는 기타 연주는 본래 반주로 쓰였으나 실제로는 더 많은 역할을 한다. 플라멩코에는 캐스터네츠, 박수, 발 구르기 등의 다른 악기도 사용한다.

플라멩코는 종교 축제, 의식, 교회 행사, 개인 행사에서 연행한다. 플라멩코는 수많은 공동체와 집단, 그중에서도 특히 집시 민족 공동체의 정체성을 나타내는데, 집시 공동체는 플라멩코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플라멩코는 공연단, 가정, 사회 집단, 플라멩코 클럽 등을 통해 전승되며, 이들은 모두 이 유산의 보존과 전파에 핵심 역할을 한다.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플라멩코

스페인의 보석 ‘파코 데 루씨아’ 연주 모습

스페인 플라멩코 기타리스트, 토마티토

스페인 플라멩코 기타리스트, 비센테 아미고

스페인 플라멩코 기타리스트, 비센테 아미고

플라멩코의 동작과 명칭

플라멩고

플라멩고

    국가 : 에스파냐(Spain)
    등재연도 : 2010년
    지역 정보 :
    안달루시아는 플라멩코의 중심지이다. 프라멩코 예술 양식을 만들고 해석하고, 플라멩코 노래·음악·춤이 발달하는 데 크게 기여한 사람들은 대부분 안달루시아 출신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플라멩코의 양식과 음악적 형태 중 많은 부분이 안달루시아에서 유래한 것이다. 그 예로는 말라게냐(malagueña)·알레그리아스 데 카디스(alegrías de Cádiz)·불레리아스 데 헤레스(bulerías de jerez)·그라나이나(granaína)·세비야나스(sevillanas)·판당고스 데 우엘바(fandangos de Huelva)·베르디알레스 데 로스 몬테스 데 말라가(verdiales de los montes de Málaga)·론데냐(rondeña)·탕고스 데 트리아나(tangos de Triana)·칸티냐스 데 코르도바(cantiñas de Córdoba)·타란타 데 리나레스(Taranta de Linares)·타란토 데 알메리나(Taranto de Almería) 등이 있다.
    본문 :
    예술적 표현으로서 플라멩코는 노래·춤·음악적 기교가 융합된 산물이며, 이 세 가지는 함께 연행할 수도 있으며 개별적으로 연행할 수도 있다. 플라멩코는 에스파냐 남부의 무형문화유산 중 가장 중요하고, 대표적이며, 특유한 문화적 현상이다. 무엇보다 세계적인 에스파냐 문화의 고유함을 나타내는 유산이다.

    칸테는 플라멩코의 음성적 표현으로, 관련된 개인과 공동체가 어떻게 받아들였는가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 및 구조로 만들어진다. 플라멩코는 기타 외에 다른 반주나 코러스 없이, 1인칭 화자가 대개 앉아서 독창을 한다. 노래는 청각적 예술이며, 유연한 형태로 표현된다. 노래를 부르는 형태는 남성과 여성이 동일하고, 구전되어 온 축적된 전통과 개인의 창의성이 어우러진다. 플라멩코는 ‘칸테’ 또는 ‘팔로(palo)’라고 하는 구조적 음악의 구성 요소, 또는 양식의 다양성에 기초하고 있다. 플라멩코의 노래 가사는 표현이 진솔하고, 간결함과 단순함이 특징이다. 이러한 가사를 통해 슬픔·기쁨·비통함·환희·공포 등 사람의 모든 감정과 심리 상태를 표현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플라멩코 바일레는 열정, 구애, 개인의 슬픔과 기쁨의 여러 상황을 춤으로 표현한다. 여기에는 고유한 미학이 있으며, 복잡한 기예가 쓰인다. 춤의 형태는 연행하는 사람의 성별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남성은 발을 더 많이 사용하며, 여성은 더욱 부드럽고 관능적으로 움직인다. 또한 플라멩코 바일레는 음악과 안무가 구성된 것인지 즉흥적인 것인지, 어떠한 지역 유파에 속하는지, 내용이 흥겨운지 극적인지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토크는 기타 연주 예술로, 본래는 노래와 춤에 반주를 하는 것이었으나, 시간이 흐르면서 토크는 이러한 보조적 역할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기타는 토카오르(tocaor, 플라멩코의 기타 연주자)의 예술에서 핵심적이며, 노래 반주·춤 반주·독주 등의 3가지 목적으로 연주할 수 있다. 플라멩코 토크에서는 캐스터네츠, 리듬봉(rhythm stick), 박수, 발 구르기, 손마디로 두드리기(knuckle-rapping)와 같은 다른 악기도 이용하며, 최근에는 피아노, 공명상자(sounding box), 플루트, 바이올린 등도 사용한다. 플라멩코는 숙달된 기본적인 공연 기술과 특정 민족을 구성하는 악기·의상·도구를 사용해 표현하며, 기타나 춤꾼의 신발과 의상 등을 제작하는 고유한 수공예 전통을 낳았다.

    예능보유자 / 기능보유자 :
    - 플라멩코는 과거의 전통인 동시에 현재에 전승되는 전통이다. 플라멩코는 예능인과 예능보유자의 창조와 해석을 통해 전승되고 재창조되어 왔다.
    - 플라멩코는 플라멩코 문화의 보유자 역할을 해온 공연단, 가정, 사회 집단을 통해 구전 전통으로 전승되고 학습된다.
    - 플라멩코를 미래에도 계속 보존하고 전승하는 데에는 어린이들이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데, 이들은 어머니를 통해 어릴 때부터 연행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 플라멩코는 문화적 요소로서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하게 연관되어 있으나, 특정한 개인만이 연행자가 될 수 있는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있다.
    - 연행자 외에도 연구자와 학계 종사자, 플라멩코 동호회(peñas) 회원, 일반인 열성팬, 출판사와 음반 제작사, 공공단체 등이 플라멩코와 관련된 사람들이며, 이들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자원으로 플라멩코 활동을 상당 부분 지원한다.
    - 동호회(peñas) 회원들은 플라멩코의 보존과 확산에서 핵심 역할을 한다. 이들은 훈련 강좌, 학술회의, 발표회를 연다. 또한 공연자와 대중 간의 관계와 교류를 증진시키고 이 문화에 더욱 친근하게 존중하도록 이끈다.
    - 가수·춤꾼·음악가라는 세 종류의 플라멩코 예술가와 연행자는 플라멩코의 다양한 형태를 연구하고, 해석하고, 기록함으로써 플라멩코를 보존하고 전파하는 데 특별한 역할을 한다.
    - 타블라오스(tablaos)는 플라멩코 전용 공연 장소이다.
    - 학계 종사자와 연구자는 특유한 문화적 요소로서 플라멩코의 이론적·역사적 기틀을 기록하고, 정의를 내리며, 분석한다.
    - 공공기관은 플라멩코를 보호하고 장려하는 정책을 통해 이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장래에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보장한다.
    - 출판사, 극장, 음반 제작사 등 플라멩코와 관계있는 문화 산업과, 일반 대중 및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매체는 플라멩코에 대한 인지도와 지식수준을 높인다.

    전승 정보 :
    - 플라멩코는 가족과 이웃, 개인적인 축하행사와 같은 특별한 의례 등을 통해 전파·학습·전승이 이루어진다.
    - 공연자들이 사립학교를 세우면서, 교사들은 학교에서 플라멩코를 전승한다.
    - 공공기관은 플라멩코 춤과 노래를 에스파냐 남부의 여러 도시에 있는 음악학교(conservatory)에서 배우는 학과목에 포함시켰다.
    - 최근 대학교에서 플라멩코를 대학원과 박사 과정에서 연구 과정으로 도입했다.
    - 안달루시아의 교육계에서는 플라멩코를 청소년의 교육 과정에 포함시킬 것을 고려하고 있다.

    플라멩코를 만들어 낸 문화적 교류의 원칙과, 플라멩코의 구성 요소 사이에 얽힌 인간적 관계를 고려할 때, 플라멩코는 기존의 국제 인권 관련 규정과 조화를 이루며, 지역사회·집단·개인 사이의 상호 존중은 물론 지속가능한 발전에 합치한다.

    무형유산의 의미 :
    - 이 유산은 플라멩코와 관련된 공동체, 집단, 개인에게 특유의 정체성을 불어넣는다.
    - 관련된 사람들의 사회적, 개인적인 삶 속에서 고유한 의례와 공연으로서 자리 잡고 있다. 예를 들자면, 크리스마스의 플라멩코 캐롤, 부활 주간의 사에타스(saetas), 종교적 행렬인 세비야나스(sevillanas)와 판당고(fandangos)와 같은 종교 축제, 결혼식 및 세례식 같은 교회 의식에서 플라멩코가 연행된다. 무엇보다도, 플라멩코는 가족 모임과 개인적인 기념행사에서 즉흥적인 감정을 분출함으로써 고유한 플라멩코 관습으로 발전했다.
    - 플라멩코는 고유한 어휘와 언어 표현을 수없이 많이 만들어 내는데, 이러한 어휘와 표현은 플라멩코의 음악과 예술에서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일상생활이나 다른 사회적 상황에서도 사용한다.
    - 플라멩코는 의사소통을 증진하고, 플라멩코를 행하는 공동체와 집단이 만나서 토론하는 기회를 만들어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플라멩코 [Flamenco]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인류무형문화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