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 /네덜란드, 퀴라소, 수리남 /미델뷔르흐 무역회사(MCC)의 기록물(239)

eorks 2020. 1. 29. 00:11

세계기록유산 /네덜란드, 퀴라소, 수리남 /미델뷔르흐 무역회사(MCC)의 기록물
[Archive Middelburgsche Commercie Compagnie (MCC)]

국가 : 네덜란드(Netherlands), 퀴라소(Curaçao), 수리남(Suriname)
소장기관 : 제일란트 기록보관소(Zeeuws Archief)
관리기관 : 교육문화과학부(OCW)
등재연도 : 2011년
‘미델뷔르흐 무역회사의 기록물(Archive Middelburgsche Commercie Compagnie, MCC)’은 고유한 동시에 전 지구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기록 유산 컬렉션이다. 18세기(1730~1800) 네덜란드 제일란트(Zeeland) 주의 주도인 미델뷔르흐로부터 대서양을 가로질러 형성되었던, 이른바 삼각무역(triangle trade) 형태를 통한 노예무역에 대해 심도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해 준다.

1720년 대서양 노예무역에 대한 특허권을 상실한 네덜란드서인도회사(WIC)가 쇠락하자 18세기 들어서는 제일란트 지방, 특히 미델뷔르흐 시가 네덜란드 공화국의 가장 중요한 노예무역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미델뷔르흐 무역회사의 기록물’은 노예무역에 관한 일반적인 이해를 확대하고, 좀 더 구체적으로는 노예무역의 상세한 내용을 강조한다. ‘미델뷔르흐 무역회사의 기록물’은 동종의 기록물 중 가장 완전하고 따라서 포괄적인 세트 중의 하나를 이루며, 노예무역 상인 및 그들이 취급했던 인간 화물의 ‘일상생활’에 관한 중요한 측면들을 탐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문화유산의 이 고유한 부분은 18세기 네덜란드의 대서양 노예무역에 대해 이해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 가치 수단을 제시한다.

국가적인 차원과 국제적인 차원 모두에서 이 기록물은 그 완전성 덕분에 노예무역에 관한 기록물 중 가장 잘 보존된 기록물 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이 기록물은 네덜란드 미델뷔르흐의 제일란트 기록보관소(Zeeuws Archief)에 보관되어 있다. 이 정부기관은 네덜란드 내에서 진행 중인 몇 가지 디지털화 프로그램과 일반 대중이 기록보관소에 더욱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고안된 여러 프로그램에 매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http://www.zeeuwsarchief.nl.). 2000년에 새로운 기반시설이 갖추어졌고, 전체 길이 27㎞에 이르며 수십만 점의 (기술) 도면과 지도를 저장할 수 있는 최첨단 기록물 보존 시설이 유서 깊은 미델뷔르흐의 중심지에 설립되었다.

범대서양 노예무역의 경제·사회·문화적 측면에 대해서 연구했던 학자들에게 ‘미델뷔르흐 무역회사의 기록물’은 1951년 그 목록의 발표(Het Archief der Middelburgsche Commercie Compagnie, Unger, W.S. / Ministerie van onderwijs, Kunsten en Wetenschappen/ 1951) 이후부터 매우 친숙해진 상황이다.

‘미델뷔르흐 무역회사의 기록물’은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퀴라소와 수리남에도 고유한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이 기록물은 이상의 두 지역의 역사 및 문서유산의 일부분이기도 하다.

그리고 내용이 매우 풍부한 국제적 기록 유산으로서 대체 불가능하다. 이 컬렉션은 세계의 다른 어떤 노예무역회사의 기록보다 완전하며 세부적인 내용이 풍부하다. MCC의 기록물은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대서양 횡단 노예무역의 희생자를 무언으로 웅변하는 세계적인 기념물이다. 따라서 수리남 내무부 장관, 퀴라소 문화부(Kas di Kultura) 장관 및 툴라 박물관(Museo Tula) 관장도 이 유산의 등재 추천에 동참하였다. MCC 기록물은 수리남의 탄생 및 식민화 과정뿐만 아니라 노예제도 및 대서양 횡단 노예무역의 역할까지도 조명한다.

퀴라소에 관한 한 등재의 정당성은 다음과 같다. ‘미델뷔르흐 무역회사의 기록물’은 연구자들이 퀴라소의 노예 역사에 대해, 다음에 관한 상세한 조사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이 기록물은 퀴라소의 입장에서 보편적 가치를 지닌다.

• 모든 항해는 1730년~1807년(최대 규모의 퀴라소 노예 반란이 일어났던 1795년을 포함하는 시기)에 퀴라소의 노예 거류지를 목적지로 이루어졌다. 얼마나 많은 수의 아프리카 노예들이 앙골라, 기니의 해안에서 퀴라소까지 옮겨졌는지, 경매 또는 사적 매매를 통해 이들 아프리카 노예를 얻고자 지불한 대가, 서아프리카에서 판매한 상품과 식민지에서 미델뷔르흐로 가져온 상품들에 관한 개관이 가능하다.

• 가장 중요한 사항으로서 연구자들은 특히 서한이나 일지를 통해 노예선에서의 일상생활, 선박당 죽은 사람의 수, 선내의 저항, 퀴라소에의 도착, 인간 화물을 대하는 노예선 선장의 태도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MCC 기록물은 놀라울 정도로 그 내용이 풍부한 대체불가능한 문서 유산이다. 본 컬렉션은 이 세계에서 다른 그 어떤 노예무역 회사가 남긴 기록물보다 더 완벽하고 그 상세함에 있어서 풍부하다.

• UNESCO가 특히 ‘침묵 깨기(Breaking the Silence)’ 프로젝트를 통해서 추구하는 목표 중의 하나는 다른 무엇보다 교육 프로젝트를 통한 범대서양 노예무역, 또는 삼각무역의 명분과 결과에 대한 인식 확대의 필요성이다. MCC 문서는 그 상세한 묘사 때문에 범대서양의 노예무역에 관한 교육적 프로젝트의 개발을 위한 매우 훌륭한 도구가 될 수 있다.

• 이 문서 기록은 이런 종류의 비인간적인 무역이 어떻게 또 왜 가능할 수 있었는지 설명한다. 본 문서는 오늘날 우리 모두에게 어떻게 관련되는지 그 맥락을 이해하고 인정하기 위한 모든 핵심적인 사안을 다루고 있다. 이 문서의 보편적 가치에 대해서 반드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세계적 중요성·고유성·대체 불가능성 :
미델뷔르흐 무역회사의 기록물을 연구했던 학자들은 이 문서유산이 지닌 놀라운 다양성, 완전성, 대체 불가능성을 확인하여 왔다. 이 기록물은 18세기 대서양 노예무역 역사를, 특히 제일란트 지방이 7개 연합 네덜란드 공화국이 수행한 노예무역 전반을 지배했던, 18세기 제일란트를 기점으로 한 삼각 노예무역의 역사를 포착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델뷔르흐 무역회사(MCC)의 기록물 [Archive Middelburgsche Commercie Compagnie (MCC)]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세계기록유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白頭大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