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시리아 /북시리아의 고대 마을
[Ancient Villages of Northern Syria]
요약 : 시리아 북서 지방의 8개 단지에 있는 40여 개 마을은 고대 후기와 비잔틴 시대의 전원생활을 보여 준다. 1세기~7세기에 건설된 이들 고대 마을은 8~10세기에는 관리가 되지 않았지만, 경관을 비롯하여 주거 지역, 토속 신앙 신전, 교회, 수조와 공중목욕탕 등과 같은 건축 유물을 잘 보존하고 있다. 현재 남아 있는 마을의 문화 경관은 로마 제국의 고대 토속 세계에서 비잔틴 기독교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 준다. 수력 조절 기술, 보호벽과 로마 농업 토지 계획 등의 흔적을 통해 과거 거주민들의 숙련된 농업 기술을 확인할 수 있다.
![](https://t1.daumcdn.net/cfile/cafe/992D0A375C8A04EA0F)
세르질리아 죽은 도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CD3375C8A04EB14)
세르질리아 죽은 도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EE3E375C8A04EB11)
세르질리아 죽은 도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9D25375C8A04EC1C)
세르질리아 죽은 도시의 목욕탕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F39375C8A04EC0A)
가까이서 본 세르질리아 죽은 도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F05B375C8A04EC19)
가까이서 본 세르질리아 죽은 도시
![](https://t1.daumcdn.net/cfile/cafe/99D10C375C8A04ED1A)
북시리아의 고대마을 아인 다라 사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8744375C8A04ED02)
북시리아의 고대마을 아인 다라 사원
![](https://t1.daumcdn.net/cfile/cafe/9940E43B5C8A04EE01)
자비야 산 설질라 고고학 유적지 파노라마
![](https://t1.daumcdn.net/cfile/cafe/99BB513B5C8A04EE11)
자비야 산 설질라 고고학 유적지 파노라마
국가 : 시리아(Syrian Arab Republic)
좌표 : N36 20 3,E36 50 39
등재연도 : 2011년
북시리아의 고대 마을 :
탁월한 보편적 가치
시리아 북서 지방의 광대한 석회암 지대에 있는 40여 개의 고대 마을은 고대 후기와 비잔틴 시대 전원 마을의 생활양식을 광범위하게 보여 준다. 8~10세기에는 버려져 있었으나 주거지, 토속 신앙 신전, 교회, 기독교 성소, 묘지, 공중목욕탕, 공공건물, 상업 및 공예 기술을 위해 사용된 건물 등 원래의 유적과 건물들이 대부분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되어 있다. 이곳 마을 공동체 내에서 동방의 기독교 발달을 보여 주는 가장 뚜렷한 또 하나의 예이기도 하며, 여덟 곳의 고고학적 단지가 모여 독특한 문화 경관을 이루고 있다.
완전성
이곳에는 건축물의 완전성이 충분히 나타나 있다. 유적지는 상당히 넓으며 많은 마을과 교회, 고고학적 증거들이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말해 준다. 경관도 우수하여 유산의 가치를 보여 주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최근 석회암 지대에 농업이 재정착하고 있어 특정 마을과 관련하여 건축물의 완전성에 영향을 끼칠 우려가 있다.
진정성
1,000년 동안 사람이 거주하지 않았고, 20세기에 돌을 재사용하지 않았으며, 복원활동도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유산과 주변 경관의 진정성이 상당히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최근 전원 마을로 이주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어 진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그러므로 고대 농업의 토지 계획을 지키며 이주하게 함으로써 진정성을 해치지 않고 경관을 되살리도록 해야 한다.
보존 및 관리체계
법적 보호 활동은 올바로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농촌과 도시의 발달은 이 유적의 고고학적 가치와 경관으로서의 가치가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진행되고 있다. 유적의 경관을 더 제대로 보호하려면 유물관리법(revision of the Antiquities Law)을 재정하여 보호를 강화해야 한다. 이 유산은 2010년 현재 유물 관리 및 박물관 종합부서(Directorate General of Antiquities and Museums, DGAM)에서 관리하고 있다.
유산의 최종 관리 체계를 살펴보면, 각각의 유적에 두 곳의 관리 센터와 문화재 관리국을 개설하여 전반적인 관리 및 통합 조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DGAM, 관광부, 주지사의 규제를 받고 있다. 이 단체들은 현재 개설 중이며, 자치 도시와 연계하여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보존할 수 있도록 경제와 사회 발전, 관광 발전을 감독하는 임무를 맡아야 하므로 반드시 필요하다.
등재기준
기준 (ⅲ) : 시리아 북부 지방의 고대 마을과 유적에서는 1~7세기에 지중해 기후 환경이었던 중동 지역의 석회암 산악 중턱에 발달한 농촌 문명의 생활양식과 문화적 전통을 볼 수 있다.
기준 (ⅳ) : 시리아 북부의 고대 마을과 유적에는 고전주의 시대의 끝과 비잔틴 시대에 지어진 전원의 가옥과 종교 건물들이 있다. 마을과 교회를 보면 고대 토속 세계에서 비잔틴 기독교 세계로 전환되는 과정을 알 수 있다.
기준 (ⅴ) : 시리아 북부의 고대 마을과 유적을 보면 세심한 토지 이용과 물, 석회암, 농작물 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1~7세기 동안 지속된 거주지의 모습을 알 수 있다. 이 거주지의 경제 기능, 수력 기술, 낮은 보호벽, 로마의 농경지 분할 계획은 당시 전원 마을의 생활양식을 뚜렷이 보여 준다.
[네이버 지식백과] 북시리아의 고대 마을 [Ancient Villages of Northern Syria]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m06wa.gif)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http://avimages.hangame.com/avgif/sb/sbf05ra.gif)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