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몽골 /몽골 알타이의 암각 예술군
[Petroglyphic Complexes of the Mongolian Altai]요약 : 세 지역에서 발견된 수많은 암각화와 추모비는 12000년에 걸친 몽고 문화의 발전을 보여 준다. 가장 오래된 암각화들은 기원전 11000년~기원전 6000년에 만들어졌는데, 이들 중 일부는 숲으로 뒤덮인 거대 수렵 지역이던 당시 계곡의 모습을 보여준다. 후기의 암각화들은 군집생활로 바뀌는 시기를 묘사하고 있다. 가장 최근의 암각화들은 유목 생활로 전환된 모습을 보여 주는데, 이 암각화들은 스키타이 시대(Scythian period)를 거쳐 기원후 7세기~8세기에 해당되는 투르크 후기시대(Turkic period)까지인 천 년 동안을 반영하고 있다. 몽고 알타이(Mongolian Altai)의 암각군은 북아시아 선사시대 공동체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몽골 알타이의 암각예술군
몽골 알타이의 암각예술군
몽골 알타이의 암각예술군
몽골 알타이의 암각예술군
몽골 알타이의 암각예술군
국가 : 몽골(Mongolia)
좌표 : N49 20 2,E88 23 43
등재연도 : 2011년
몽골 알타이의 암각 예술군 :
탁월한 보편적 가치
몽고 알타이의 암각 예술군은 세 곳의 암각 예술 유적의 부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울라안쿠스(Ulaankhus)의 사가안 살라아-바가 오이고르(Tsagaan Salaa-Baga Oigor)와 상 사가안 골(Upper Tsagaan Gol, 시베에트 산의 암각화), 센겔 소움 바얀-울길(Tsengel soum of Bayan-Ulgii)의 아랄 톨고이(Aral Tolgoi) 유적들이 그것이다. 대략 12000년에 걸쳐 이룩한 인류 문화의 발전과 연관된 암각들과 장례 기념물들이 세 곳에 밀집되어 있다.
가장 초기에 만든 암각화들은 약 기원전 11000년~기원전 6000년의 현세 중기 모습을 보여 준다. 당시 계곡이었던 이 지역은 일부가 숲으로 뒤덮인 거대 수렵 지역이었다. 이후의 암각들에서는 기원전 6000년~기원전 4000년에 해당되는 현세 중기 말의 모습을 엿볼 수 있다. 그 당시 알타이는 오늘날의 스텝 지역의 특성을 띠었으며, 여름에는 고지대에서 목축을 했을 만큼 목축이 지배적 삶의 방식이었다.
가장 최근의 암각화들은 유목 생활로 전환된 모습을 보여 준다. 이 암각화들은 초기 유목 시대였던 스키타이 시대를 거쳐 기원후 7세기~8세기에 해당하는 후기 투르크까지 천년 동안 조성된 것들이다. 우리는 암각화들을 통해 당시 사람들이 여름과 겨울 동안 고지대 계곡에서 가축을 풀을 먹여 길렀음을 알 수 있다. 이 암각화들은 중앙아시아와 북아시아가 교차하는 이 지역의 고대문화를 완벽하게 고스란히 보여 주는데, 바로 그 점 때문에 이 지역의 유산들은 역사적·문화적으로 상호 보완적이며,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다.
완전성
세 지역의 경계 내에 모든 중요 암각화들이 있다. 독특한 초기 암각화 군(群)을 보여 주는 아랄 톨고이 유적과 청동기 문화의 가장 재미있는 부분들을 반영하고 있는 나머지 두 지역은 어느 정도 서로 상호 보완적이다.
진정성
논의가 되는 암각화의 진위 여부에 지장을 줄 만한 어떠한 공정이나 작업은 없었다.
보존 및 관리체계
이 세 지역, 즉 울라안쿠스의 사가안 살라아-바가 오이고르와 상 사가안 골, 센겔 소움 바얀-울길의 아랄 톨고이 유적들은 2001년에 제정된 ‘몽고문화유산보호법’에 의거하여 2008년에 국가 역사 및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어 보호받고 있다. 또한 1994년에 제정된 ‘특별보호구역법’에 의거하여 아랄 톨고이 지역 전체와 상 사가안 골 복합단지의 절반가량이 알타이 타왕 보그드 국립공원에 포함되었다. 이로서 이 지역의 수자원을 포함한 자연생태가 보호받고 마을 개발과 목축을 위한 야영시설의 건설이 통제되었다. 몽고문화유산보호법의 개정안에는 국가 및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문화유산과 자연유산의 관리 조항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미 정부의 승인을 받은 이 개정안은 현재 국회의 승인을 앞두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몽골 알타이의 암각 예술군 [Petroglyphic Complexes of the Mongolian Altai]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