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문화유산 /피지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
[Levuka Historical Port Town]
요약 : 해변을 따라 심어진 코코넛 나무와 망고나무 사이에 나지막한 건물들이 늘어서 있는 레부카(Levuka)는 1874년 영국에 합병된 피지의 옛 수도이다.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Levuka Historical Port Town)’는 19세기 초부터 상업 활동의 중심지로서 미국인들과 유럽인들에 의해 개발되기 시작했다. 미국인들과 유럽인들은 남태평양의 섬 원주민들이 살던 마을 주변에 창고, 상점, 항만시설, 주택 및 종교·교육·사회 시설 등을 건설하였다.
원주민 지역사회는 레부카에서 계속 거주한 유럽 정착민보다 레부카의 발전에 더 많은 영향을 끼쳤는데 이렇게 해서 형성된 레부카는 후기 식민 항구 도시의 매우 드문 사례라고 할 수 있다. 19세기 후반 태평양에 있는 항구 정착지로서 탁월한 사례인 레부카는 해상 세력과 현지 원주민의 건축 전통을 통합한 매우 고유한 경관을 간직하고 있다.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레부카 항구 역사마을
국가 : 피지(Fiji)
좌표 : S17 41 0.16,E178 50 4.32
등재연도 : 2013년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 :
탁월한 보편적 가치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는 휴화산에 숲이 우거진 산등성이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거주지는 오발라우(Ovalau) 섬의 해변 곳곳에서 자라는 코코넛나무와 망고나무 사이사이에 발달하였다. 레부카 항구는 1820년대 이후부터 미국과 유럽 식민 국가들에 의해 상업 활동의 중심지로서 계속 개발되었다. 1874년에 피지 국왕(Tui) 세루 다콤바우(Seru Cakobau)는 피지를 영국에 평화적으로 할양하게 되면서 영국 식민지의 수도가 되었다.
돌과 콘크리트로 만든 방조 벽이 비치 스트리트(Beach Street)를 따라 길게 놓여 있고, 자연 그대로인 지면의 굴곡을 따라 도로와 골목길이 방사형으로 내륙을 향해 나아가도록 건설되었다. 내륙에 있는 유적은 원주민 마을이었던 두 개의 마을, 토토가(Totoga, Vitoga)와 나사우(Nasau)의 옛터로 이 마을들은 해안 평원의 비탈로 흐르는 세 개의 개천 가운데 하나를 따라 조성되었다. 코프라(Copra, 코코넛 과육을 말린 것) 작업장, 창고, 보세 상점, 항만시설, 상용 건물 등이 비치 스트리트를 따라 발달했으며, 주택과 종교·교육·사회 시설 등은 원주민 마을을 중심으로 발달했다.
이곳의 건축물은 대개 단층 또는 2층 구조로 되어 있으며, 자재는 골함석 또는 비막이 판자를 덧댄 목재를 사용하였고, 지붕의 모양은 모임지붕이나 맞배지붕을 얹었다. 1882년 피지의 수도가 수바(Suva)로 이전되었지만 여러 회사들은 레부카에 본부를 세우고자 했기 때문에 레부카는 남태평양 식민 도시의 발전 단계를 모두 거치며 계속해서 발전했다.
주요 유산은 토토가와 나사우 마을 옛터, 다콤바우 의사당(현재는 유럽 기념관) 옛터, 모리스 헤드스트롬(Morris Hedstrom) 보세 상점, 바바(Baba) 연한(年限) 계약 노동자 마을, 헤닝스(Hennings) 주택, 로비 선장(Captain Robbie)의 방갈로, 1860년대에 지어진 성심(聖心) 성당과 사제관, 1860년대 말에 처음 세워진 로열 호텔(Royal Hotel), 주권 이양의 현장 유적, 옛 정부(나소바, Nasova) 청사 유적, 항만청, 우정국과 관세청 건물 및 부두로 이어지는 전차궤도의 흔적, 옛 감리교 교회 및 선교단, 레부카 공립학교, 시청, 프리메이슨 집회소, 오발라우 클럽, 볼링 클럽, 노동자 숙소, 조개 단추 공장 유적 등이다.
완전성
레부카가 지닌 탁월한 보편적 가치라는 관점에서, 관련된 주제 및 가치를 전범위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모든 요소들은 이 유산에 포함되어 있다. 1973년, 처음으로 이 도시의 역사적 가치가 인지된 이후로 충분한 주의를 기울인 덕분에 건물들은 훼손되지 않고 놀라울 정도로 잘 보존되었다. 다만 일부 상업용 건물들은 사용하지 않거나 유지보수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부족한 소방시설 때문에 취약한 상태이다. 유산의 환경을 어떻게 보존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폭풍우로 인한 피해 및 관광 개발로 취약해진 도시 뒤편 절벽을 얼마나 철저하게 보호할 것인가에 달렸다.
진정성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를 구성하는 유산 요소 전체는 자재와 형태, 배치 및 기능의 관점에서 지식의 원천으로서 지니는 높은 수준의 생득적(生得的) 진정성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해외기록 보관소와 피지에 있는 문서 및 사진 자료로 뒷받침되고 있다. 주요 도로 및 골목길, 다리, 오솔길, 계단 등은 지형에 따라 건설되었고, 최초에 계획된 이래로 거의 변함없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지어진 건축물의 용도는 대체로 본래의 용도대로 유지되고 있다.
보존 및 관리체계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는 2013년 4월 내각이 승인한 2013년 피지 세계유산시행령에 따라 보호를 받게 되었다. 이 시행령은 피지 세계유산협의회(Fiji World Heritage Council)가 시 의회 및 도농 기획부장과 협력하여 집행한다. 피지내셔널트러스트(The National Trust of Fiji)는 규제의 권한은 없지만,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는 국가유산등록부를 관리하고 있다. 피지내셔널트러스트는 그 규제의 책무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시 의회, 도농 기획부, 환경부 등과 반드시 협의하여야 한다.
피지 도시 계획법(Fijian Town Planning Act)에 의거한 레부카 도시기획제도(Levuka Town Planning Scheme)는 레부카 도시 경계 내에서 새로운 건물의 신축 및 기존 건물 개축을 규율하는 가장 중요한 법적 장치이며, 이 기획제도에 따라 외관의 변경, 건물 해체 및 신축은 레부카 시 의회, 레부카 역사·문화 협회, 시 및 군 기획부, 피지내셔널트러스트로 구성된 검토위원회의 심사를 거쳐야만 하며, 개발 제안에 대한 승인, 예를 들어 고고학적 관리 계획 또는 고고학 사전 조사의 실시와 같은 피지내셔널트러스트 또는 피지 박물관(Fiji Museum)이 제시하는 권고를 기준으로 한 제 조건의 대상이 될 수 있다.
관광 개발은 잠재적으로 유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위험에 해당하므로 엄격하게 규제되어야 하며, 따라서 관광 개발을 승인할 때에는 신중하게 기획하고,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지침(2011)에 따라 유산영향평가의 평가를 받아야만 한다. 환경법은 문화 및 역사 자원에 피해를 입힐 수 있는 활동뿐 아니라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 또는 항구 도시의 해상이나 육지 안의 토지나 수질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는 모든 활동을 규제하고 있다.
고고학 및 고생물학 관심물 보존에 관한 법률(The Preservation of Objects of Archaeological and Palaeontological Interest Act)에 의거하여 피지 박물관은 고고학적 관심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대상물이 있는 경우 어느 토지에 대해서라도 기념물로 선언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받았다. 해상 유산까지 포괄하고 필요한 보호 장치를 규정하기 위해 본 법에 대한 수정이 현재 검토되고 있다.
피지 세계유산시행령에 따라 관련 부처, 규제 당국 및 NGO를 대표하는 총 13명으로 구성되고 ‘교육, 국가유산, 문화 및 예술부’ 사무차관이 의장이 되는 세계유산협의회는 피지 내셔널트러스트, ‘국가유산, 문화 및 예술국’, 피지 박물관, 레부카 시 의회, 로마이비티(Lomaiviti) 지방 의회, 레부카 유산 협회(Levuka Heritage Society), 레부카 및 오발라우 관광협회(Levuka and Ovalau Tourism Association), 필요에 따라 기타 다른 기관 대표자들로 구성된 ‘레부카 및 오발라우 관리 포럼의 핵심 그룹(Core Group of the Levuka and Ovalau Management Forum)’을 감독한다. 핵심 그룹은 ‘관리 계획’을 시행하고 피지 세계유산협의회에 그 내용을 보고한다.
레부카 역사 도시 및 오발라우 섬을 위한 ‘관리 계획’은 2009년 11월부터 2010년 7월 사이에 작성된 후 이해 당사자의 참여에 따라 2013년 2월에 수정되고 교육·국가유산·문화 및 예술부 장관의 승인을 받은 바 있다.
등재기준
기준 (ⅱ) :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는 태평양 제도라는 지문화적(geo-cultural) 지역에서 19세기 동안 유럽 해상세력이 팽창한 과정에서 나타난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류와 문화적 접촉을 보여 주고 있다.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는 후기 식민 항구 도시의 드문 사례로서 태평양 지역의 비정착 지역사회의 문화적 혼종성(cultural hybridity)을 보여주며, 식민지 기준으로 현지 주거 전통을 통합시킨 도시 계획을 보여주고 있다. 이와 같이, 레부카는 해양 자원의 채취와 수출을 바탕으로 한 후기 식민지 과정, 식민지 산업화의 단계를 그대로 보여 주고 있다.
기준 (ⅳ) :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의 도시 유형은 19세기 유럽이 피지를 식민지화 하기 위한 시설들과 당시의 전지구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다. 레부카는 해양 식민지화 과정 중 19세기 후기의 단계를 보여주는 태평양 연안의 항구 도시라는 구체적 유형에 속한다. 이 유산은 유럽 해상 세력이 특정한 대양에서 형성된 사회·문화·지형 환경 등에 적응하면서 표현된 통찰을 반영하고 있다. 현지의 건축 전통과 통합된 식민지 정착촌의 유형은 태평양의 항구 도시 경관으로서 특별한 유형을 창조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레부카 역사적 항구 도시 [Levuka Historical Port Town]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유산센터(영/불어 원문))
......^^백두대간^^........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