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풍수용어 해설 - [ㅁ] [ㅂ]

eorks 2022. 11. 9. 06:09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용어 해설 - [ㅁ] [ㅂ]
•명당(明堂)
혈을 포함한 주변의 평평한 땅으로 생기가 응결된 지점이다. 즉 혈이나 혈장보다는 좀더 넓은 개념으로 쓰인다.

•명당수(明堂水)

산이 흘러내려온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물이 흐르는 것이며, 일명 '역수(逆水)'라 한다. 즉 혈을 향해 몰려오는 물길이다.

•명사(明師)

풍수가 중에서 학문과 인격이 최고의 경지에 오른 사람을 일컫는다.

•목국(木局)

음양오행 상 수구가 패철의 정미(丁未), 곤신(坤申), 경유(庚酉) 방 즉, 남서방에 있는 경우이다. 봄에 해당하고 색깔은 청색이다.

•목산(木山)

형태가 삼각형을 이루나 정상이 모나지 않고 평평한 산이다. 형기론에서 목산은 덕성, 관운이나 발전에 관여하는 산으로 여긴다.

•목성수(木星水)

혈 앞을 '一'처럼 곧게 흘러가는 물의 형상을 말한다. 성품이 강한 자손이 대대로 이어진다.

•목욕(沐浴)

12포태법 상에서 태어나 보니 지저분한 것도 잇는 유아기를 말한다. 음란함을 뜻한다.

•목욕룡(沐浴龍)

물이 가득찬 내룡으로 무덤에는 잔디 대신 억새풀이나 물풀이 가득 들어찬다. 수국은 건해룡(乾亥龍), 목국은 간인룡(艮寅龍), 금국은 곤신룡(坤申龍), 화국은 손사룡(巽巳龍)이 목욕룡에 해당한다. 형기론에서 명당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은 산천형세를 가졌다.

•묘(墓)

장(葬), 고(庫)라고도 하며, 12포태법 상에서 모든 활동이 중지되고 다시 자연으로 돌아간 상태이다.

•박환(剝換)

암석이 물과 바람에 의해 기계적 풍화가 되거나 화학적 풍화 등 으로 흙으로 변해가는 것을 가리킨다. 박환이 잘 된 내룡이어야 생기가 왕성한 것으로 본다.

•반궁수(反弓水)

물이 둥글게 흐를 경우 그 바깥쪽을 말한다. 즉, 물이 직접 흘러 들러드는 곳으로 땅 속은 물이 가득 차고, 이런 곳에 마을이 들어서면 집집마다 패절한다.

•배합(配合)

내룡이 뻗어 온 방향을 패철로 격정할 때, 내룡의 중심선이 간지(干支)의 중심선 상에 놓인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내룡의 중심선이 임(壬)와 자(子) 자 사이에 놓이면 배합되었다고 말한다.

•백두대간(白頭大幹)

국토를 산줄기와 물줄기를 근간으로 질서와 체계를 가지고 해석한 한국 고유의 지리사상이다.

•백보전란(百步轉欄)

향의 135m 앞에서 물이 전방으로 곧게 빠지지 말고 굽어 서 빠지는 물길이 더 이상 보이지 않아야 한다.

•백호(白虎)

혈의 우측으로 뻗어내려 혈을 감싸는 산줄기로 혈의 생기를 보호하고 바람을 막아준다.

•범안(凡眼)

풍수가의 실력이 산수의 형세를 매우 상식적으로 이애하는 단계이다.

•법안(法眼)

내룡이 뻗어온 산세를 일일이 집어보고 용맥의 꿈틀거림의 정도와 방위를 풍수 이론에 맞추어서 혈을 잡는 수준이다

•병(病)

12포태법 상에서 기운이 쇠하여 병이 든 것으로 젊은 날의 기상은 없어지 고 죽을 날만 가다리니 흉하다.

•병기맥(病氣脈)

내룡을 다섯 구획으로 구분할 때 우측의 두 번째 구획을 말한다. 중심은 쇠기맥(衰氣脈)이고 그곳에서 각각 70∼90cm씩 떨어트려 좌측으로 생기맥(生氣脈), 사기맥(死氣脈)이며, 우측으론 왕기맥(旺氣脈)과 병기맥이다.

•복응천(卜應天)

당나라 때의 유명한 풍수가로 풍수 경전인 『설심부(雪心 賦)』를 지었다.

•봉요학슬(蜂腰鶴膝)

과협의 형태가 벌의 허리처럼 잘록하고, 학의 무릎처럼 매듭진 것을 제일로 친다.

•봉침분금(縫針分金)

패철 9층을 말하며, 시신이 생기를 받을 수 있도록 마지막으로 시신의 좌향을 잡는데 사용한다.

•부룡(富龍)

용맥이 웅장하면서 살이 찐 듯 통통하고 곁가지를 겹겹으로 뻗어 생기가 왕성한 내룡이다.

•부모(父母)

주산에서 아래로 1∼2절 내려온 산줄기가 약간 도툼해지며 강한 기운을 맺은 곳이다. 형기론은 주산에서 혈까지 이어지는 내룡의 모양새 즉 부모→태(胎)→식(息)→잉(孕)→육(育)의 첫번째이다.

•불배합(不配合)

내룡이 뻗어 온 방향을 패철로 격정할 때, 내룡의 중심선이 간지(干支)의 중심선 상에 놓이지 않은 상태이다. 예를 들어 내룡의 중심선이 해(亥)와 임(壬), 혹은 자(子)와 계(癸) 자 사이에 놓이면 불배합으로 잠룡(潛龍)이라 한다.

•비기(秘記)

이인(異人)이나 선지자(先知者)들이 장래의 길흉을 예언한 기록들.

•비보풍수(裨補風水)

비보방살(裨補防殺)이라 하여 우리의 전통적인 지리 사상이다. 즉 국토가 허하고 병이 들면 그곳에 절을 짓거나 탑을 세웠고, 바람을 막기 위해 방풍림을 심었다.

•빈룡(貧龍)

용맥이 곁가지가 없이 밋밋하게 뻗은 모양이다.

......^^백두대간^^........

'풍수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풍수용어 해설 - [ㅇ]  (1) 2022.11.11
풍수용어 해설 - [ㅅ]  (1) 2022.11.10
풍수용어 해설 - [ㄴ] [ㄷ]  (0) 2022.11.08
풍수용어 해설 - [ㄱ]  (0) 2022.11.07
한국의 풍수 열풍  (0) 2022.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