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진달래꽃의 효능

eorks 2023. 5. 22. 03:50
                진달래꽃의 효능



▶진달래는 진달래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관목으로 우리나라 및 만주 지방의 산간
   양
지바른곳에 잘자라는 진달래는 이른봄부터 온산을 붉게 수놓아 봄의 정취를
   한층
돋보이게 하는 꽃이다.

참꽃 또는 (두견화)라고도 한다.

▶전국의 50~2,000m 높이의 산야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높이는2∼3m이고  줄기 윗부분에서 많은 가지가 갈라지며, 작은 가지는 연한갈
   색이고 비늘조각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 모양의 바소꼴 또는 거꾸로 세운 바소꼴이며 길이가 4∼
   7
cm이고 양끝이 좁으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잎표면에는 비늘조각이 약간있고, 뒷면에는 비늘조각이 빽빽이 있으며 털이없
   고,
잎자루는 길이가 6∼10mm이다.



▶꽃은 3~4월에 잎보다 먼저피고색깔은 약간 자줏빛이 도는 붉은색  이다.
 
  화관은 벌어진 깔때기 모양이고 지름이 4∼5cm이며 겉에 털이 있으며 끝이 5개
  로 갈라진다.

  수술은 10개이고 수술대 밑 부분에 흰색 털이 있으며, 암술은 1개이고 수술보다
  훨씬 길다.
 
▶열매는 삭과이고 길이 2cm의 원통 모양이며 끝부분에 암술대가 남아  있다.

   관상용으로 심기도하고, 꽃은 이른봄에 꽃전을 만들어 먹거나 술 또는 음식을
   만
들어 먹었는데 특히 꽃과 뿌리를 섞어 빚은 두견주(杜鵑酒)가 유명하다.
 
   한방에서는 꽃을 영산홍(迎山紅)이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수·기관지염·감기로
   인
한 두통에 효과가있고, 이뇨작용이 있다.


한국·일본·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주로 꽃과 잎 뿌리가 약용으로 쓰입니다 다만 약용시 꽃의 꽃술은 제거하고 드시길 권합니다.



◈진달래의효능◈
▶ 강압작용, 거담작용, 진해작용, 억균작용, 진통작용, 기침, 천식, 급성 및 만성
    기
관지염, 관절염, 고혈압, 화혈(和血), 혈액순환  촉진, 지혈(止血), 거풍(祛
    風),
토혈, 코피, 월경불순, 자궁출혈, 직장 궤양 출혈, 이질, 류마티스성 관절
    염, 통풍,
두통, 해수,  타박상, 감기에 효험있는 진달래입니다.
 
▶진달래꽃 채취는 꽃이활짝 피어있을때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진달래꽃은 맛은 시큼하고 달며 성질은 평하거나 따뜻하고 독이 없다.
 
▶화혈(和血)하고 월경을 고르게하며 풍습을 없앤다. 월경 불순, 무월경, 자궁출
   혈,
타박상, 류마티즘, 토혈, 코피를 치료한다.



▶진달래 뿌리는 일년 내내 아무때나 채취하여 깨끗히 씻고 썰어서 햇볕에 말린
   다.


   맛은 시큼하고달며 성질은평하고 따뜻하며 독이없다.

 
   화혈(和血),혈액순환촉진, 지혈(止血), 거풍(祛風)하고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
   이
있다.

   토혈, 코피, 월경 불순, 자궁 출혈, 직장 궤양 출혈, 이질, 류마티즘, 타박상을 치

   료한다.

   하루 18.5~37.5그램을 물로 달여서 먹거나 술에담가 먹는다.


   외용시 짓찧어 바른다.



◈진달래꽃 약용 방법◈
 ▶꽃을 말려서 가루로 만든것을 꿀에개어 환을 만듭니다.

   이것을 하루 서너 알씩 먹으면 오래된 기관지염을 다스립니다.


   한방에서는 기관지염, 고혈압, 기침에 좋고 혈압을 내려주며, 신경통 루머티즘
   을
낫게한다고 했습니다. (진달래꽃 성분 가운데서 안드로메토톡신이란 성분은
   혈압
을 내리는 작용이 있다고합니다.)
 
▶진달래꽃을 따다 꽃술을 따내고 독에 담고 찹쌀 고두밥과 누룩을 버무려 그위에
   켜켜이 넣는다.

   100일 쯤 지나면 향기가 물씬 풍기는 두견주(되강주)가 됩니다.

 
▶진달래꽃을 따다가 찹쌀가루에 반죽하여 둥근떡을 만들고 기름에 지져 화전(花
   煎)을 만듭니다.



⊙진달래의 전설⊙
 ▶옛날 중국 촉나라의 망제는 이름이 '두우'였는데 위나라에 망한후 밤낮으로 복
    위
를 꿈꾸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억울 하게 죽어 그 넋이 두견새가 되었다고 한
    다.


   두견새가된 망제는 밤낮으로 "귀촉,귀촉"(歸蜀) (고향인 촉으로 돌아가고파)
   하
며 우지진다고하여 두견새를 '귀촉도(歸蜀道)'라고도 한다고 하는데 그후 망
   제의
혼인 두견새가 억울해서 피를 토하고 그피를 삼키면서 울다가피가 떨어
   곳에 진
달래 꽃이 피었다고 한다.


......^^백두대간^^......

 

'산야초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수수의 효능  (0) 2023.05.24
살구의 효능  (0) 2023.05.23
참돌꽃(홍경천)의 효능  (1) 2023.05.21
제비꽃의 효능  (1) 2023.05.20
톱풀의 효능  (1) 2023.05.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