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연(龍淵)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용연(龍淵) 고려시대 장사랑(張仕郞) 영태(永泰)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광대놀이를 잘하였다. 한 절에서 겨울인데도 용연에 뱀이 나타나자 절간의 중들이 용의 새끼라며 가져다 길렀다. 이에 영태가 전신에 오색 용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31
불언단처(不言短處)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불언단처(不言短處) 조선 중종 때 상진(尙震)이란 사람이 있었다. 문과에 급제하고 검열관이 되어 고향에 돌아갈 때다. 시골길을 지나가자니 소 두 마리가 있었다. 심심풀이 삼아 물어보기를, "어떤 소가 더 일을 잘합..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30
사향노루의 향기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사향노루의 향기 세상에는 희한한 약재도 많다. 그러나 어떤 약재가 어떻게 만들어지는지 모르는 채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이라는 것은 소에서 추출하는 것으로서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궁궐에서만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9
녹피(鹿皮에 가로 왈(曰)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녹피(鹿皮에 가로 왈(曰) 사슴 가죽에 쓴 글자를 가지고 하는 말. 사슴 가죽에 날 `일(日)`자를 써놓고 이 자가 무엇이냐고 물으면 대답하는 사람마다 다 다르다. 왜냐하면 가죽을 가로로 늘릴 때와 세로로 늘릴 때마다..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8
서희의 삼촌설(三寸舌)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서희의 삼촌설(三寸舌) 거란 장수 소손녕이 청천강을 건너 안주 지역으로 침입해 와서 항복하라고 윽박질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담판을 지어야 했다. 그러나 죽음을 각오하고 선뜻 나설 자가 없었다. "누가 적진에 들어..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7
삶은 암탉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삶은 암탉 옛날에 봇짐장수가 주막에서 암닭 한 마리를 잡아 먹고 그 이튼날 길을 떠나면서 말했다. "돌아올 때 숙박료와 닭값을 계산하겠소!" 그 후 석 달이 지난 어느 날 봇짐장수가 돌아와 계산을 하려하자 주막 주인이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6
통찰(洞察)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통찰(洞察) 서경덕은 당성 사람이니 자는 가구(可久)요, 호는 화담(花潭)이다. 문벌이 보잘것없고 미천하여 농업과 양잠을 업으로 삼았다. 어릴 때에 부모가 그로 하여금 봄이 다 갈 무렵에 나물을 밭사이에서 캐 오게..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5
생(生)과 사(死)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생(生)과 사(死) 어느 임금이 신하 중에 권세욕에 가득 찬 간악한 대신과 매사에 공정하고 현명한 대신이 있었다. 현명한 대신을 미워하던 간악한 대신이 임금을 해치려 한다고 거짓 고자질을 했다. 포악한 임금은 즉시 무슨..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4
지혜 겨루기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지혜 겨루기 한 서당의 훈장이 큰 제자와 작은 제자의 지혜를 시험해 보고 싶었다. 곰곰이 생각하던 훈장은 땅콩이 가득 든 주머니 두 개를 내놓으면서 두 제자에게 말했다. "내 오늘 너희들의 지혜를 시험해 보겠느니라. 그..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3
시새(施賽)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시새(施賽) 시시덕(施時德)과 새침덕(賽沈德)은 두 사람 모두 서울 출신이나 그 집안의 계통은 자세하지 않다. 두 사람이 서로 친하여 대부분 같이 놀았던 바, 어떤 때는 음식을 같은 그릇_一器_에 나누는 일까지도 있었으나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