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왕후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정순왕후 오색찬란한 비단옷으로 치장을 한 재상가의 따님들이 수놓은 방석 위에 앉아서 영조의 간택을 기다리고 있었다. 온갖 준비가 다 되었음을 알리자 영조는 좌우에 사신들을 거느리고 아름다운 처녀들을 간택하기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1
여자 나이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여자 나이 여자의 나이 열여섯을 파과(破瓜)라 한다. 이는 외_오이_`과(瓜)`자를 깨뜨리면 여덟 팔(八) 자가 둘이 나오므로 그렇게 말하는 것이다. 곧 이(2) 곱하기 팔(8)이면 십육(16)이라는 말이다. 또 여자 나이 파과인 열여섯..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20
유자생녀(有子生女)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유자생녀(有子生女) 조선 말기 어느 대갓집 일이다. 시집 온 며느리가 몇 년이 지나도 여전히 아들을 못 낳았다. 딸만 다섯을 내리 낳았다. 집안에서는 난리가 났다. 딸을 다섯 낳은 것은 좋은데 아들 없으니 큰일이다..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9
그것은 바로 면화(棉花)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그것은 바로 면화(棉花) <대동기문(大東奇聞)>이라는 책은 우리나라에 내려오는 기이한 일들을 엮어놓은 책이다. 거기에 나오는 이야기, 영남의 어떤 선비가 과거시험을 보러 가다 한 산을 지나는데 거인을 만나게 되었..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8
담파고(淡巴菰)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담파고(淡巴菰) 담파고란 영어식 발음을 우리말로 바꾼 것으로 `담배`라고 한다. 성호 이익(&#63969;瀷)의 <성호사설(星湖僿說)>에 의하면 담배는 광해군 말년부터 성행하였다고 한다. 그런데 그것은 남해양(南海洋)에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7
생강(生薑)의 약효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생강(生薑)의 약효 생강(生薑)의 원산지는 열대 아시아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초기부터 재배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강을 깨끗이 씻어서 즙을 짜내면 약으로 쓸 수 있다. 생강의 뿌리를 씻어 겉껍질을 긁어버..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6
출두천(出頭天)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출두천(出頭天) 우스갯소리다. 출두천이란 지아비 `부(夫)`자를 일컫는다. 남편의 은어(隱語)다. 하늘 `천(天)`자의 꼭대기가 뾰족하게 튀어나오면 지아비 `부(夫)`자가 되기 때문이다. 내친김에 한두 가지 더 해본다. 키 작은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5
용양(龍驤)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용양(&#63940;&#39524;) 용양이란 용같이 뛰어오른다는 말이다. 용솟음 친다는 말과 비슷하다. 신라 문성 대왕 11년에 당나라 사자가 서울에 와서 한 달 동안 머물다가 돌아갔다. 그들이 돌아간 다음날 두 여인이 내정에 와..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4
이상한 관상쟁이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이상한 관상쟁이 어떤 관상쟁이가 있었는데 어디서 왔는지도 모르며, 상서(相書)도 읽지 않고 이상하게 관상을 보므로 사람들이 `이상한 관상쟁이`라 불렀다. 그는 부티 나는 사람을 보고는, "당신은 얼굴이 매우 여위었으..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3
신구(申具)와 신구(新舊)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슬기로운 이는 순시(順時)에 이룬다~ 신구(申具)와 신구(新舊) 조선시대 세조 때 신숙주(申叔舟)가 영의정에 구치관(具致寬)이 우의정에 각각 올랐다. 하루는 세조가 두 정승을 내전으로 불렀다. "오늘 내가 경들에게 물을 것이 있으니 대답을 하면 그만둘 것이..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