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의야행(錦衣夜行)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금의야행(錦衣夜行) 초패왕(楚覇王) 항우(項羽)가 군대를 이끌고 서쪽으로 향하여 진(秦)나라의 도읍지인 함양으로 쳐들어갔다. 그러나 그곳에는 유방(劉邦)이 먼저 점령하고 있었기 때문에 항우로서는 그냥 입성만 했을 뿐이..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3.08
추상(秋霜)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추상(秋霜) 가을은 떨어지는 계절이다. 만물은 봄에 나서 여름에 성장하고 가을이면 다 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가을이라고 하면 물든 단풍을 보고 즐거워하기보다는 오히려 쓸쓸함과 무상함을 느끼는 것이 당연하다. 이를 오행으..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3.07
12율려(十二律呂)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12율려(十二律呂) 피리 소리로 표준을 잡는 음계를 말한다. 상고시대 황제 때 영윤(怜倫)이란 사람이 대나무를 쪼개 통을 만든 피리가 있는데, 이 피리 길이의 장단으로 소리의 청탁(淸濁), 고하(高下)를 분별한다. 여기..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3.06
추고마비(秋高馬肥)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추고마비(秋高馬肥) 중국인에게 가장 두려운 존재는 말을 타고 너른 들판을 마음껏 달리는 기마병이었다. 특히 진시황에게는 더 말할나위 없이 두려운 존재가 그들이었다. 그들은 터키 계통의 적이었다고도 하고, 고구려를 말한다..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3.05
황계(黃鷄)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황계(黃鷄) 예로부터 전해오는 말에 금기어(禁忌語)가 대단히 많다. 밤중에 피리를 불지 말라는 둥, 문지방을 밟지 말라는 등이 그것이다. 그 중에 한 밤에 우는 닭소리는 불길하다고 하며, 이 때에 천하가 어지러워진다는 얘기가 전..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3.03
달팽이 뿔의 싸움 -와각지쟁(蝸角之爭)-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달팽이 뿔의 싸움 -와각지쟁(蝸角之爭)- 대진인(戴晋人)이란 도사가 임금에게 다음과 같이 물었다. "임금께서는 달팽이라는 놈을 아십니까?" 임금이 안다고 했더니 대진인이 말했다. "달팽이에게는 두 뿔이 있는데 그놈들이 서로 싸..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3.02
두우 울음소리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두우 울음소리 두견새를 다른 말로 두우(杜宇)라고도 한다. 중국 송(宋)나라에 소강절(邵康節)이란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그가 낙양에 있는 천진교(天津橋)를 지나가는데 갑자기 두우 소리가 나는 것이 아닌가. 소강절은 깜짝 놀라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3.01
위나라 여인의 질투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위나라 여인의 질투 위나라 왕이 초나라 왕에게 미녀를 선사하자 초나라 왕은 그 미녀를 귀여워했다. 정수(鄭袖)는 왕이 새 사람을 좋아하는 것을 보자 그녀가 원하는 것을 모두 해 주며 왕보다도 더 귀여워했다. 왕이 그것을 보고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28
투향(偸香)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투향(偸香) 향을 훔친다는 뜻으로 남녀 간에 사사로이 정을 통함을 말한다. 진나라의 가충(賈充)의 딸이 향을 훔쳐서 미남인 한수(韓壽)에게 보내어 정을 통한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가충이 손님들과 술을 마실 때면 그의 딸은 푸른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27
하백의 제물 .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하백의 제물 위의 문후(文侯) 때 서문표(西門豹)가 업현(鄴縣)의 현령(縣令)이 되었다. 서문표는 부임해서 업현에 도착하자 장군들을 모아놓고 백성들이 괴로워하고 있는 게 무엇인지 물었다. 장로들이 말했다. "하백(河伯)에..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