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鳳)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봉(鳳) 중국 진나라 때 해강(嵆康)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 사 람의 이름을 혜강이라고도 하나 원래 `혜`자는 `해`라고 읽는다 고 한다. 그가 만든 악기를 해금(嵆琴)이라고 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물론 해금을 다른 사..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5
높이 있으면 위태롭다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높이 있으면 위태롭다 작위불의태성 태성즉위(爵位不宜太盛 太盛則危) 능사불의진필 진필즉쇠(能事不宜盡畢 盡畢則衰) 행의불의과고 과고즉방흥이훼래(行誼不宜過高 過高則謗興而毁來) 벼슬자리는 마땅히 너무 높지 말아야..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4
웅덩이를 채우지 않으면 물은 흐르지 않는다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웅덩이를 채우지 않으면 물은 흐르지 않는다 류수지위물야 불영과 불행(流水之爲物也 &#63847;盈科 &#63847;行) 흐르는 물은 웅덩이를 채우지 않고는 결코 흐르지 않는다. <맹자> `진심` 편에 있는 말이다. 물 가운데 가장 큰 것은 바다 요, 산..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3
처음은 있으나 끝은 없다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처음은 있으나 끝은 없다 어떤 사람이 진나라 무제(武帝)에게 간곡히 말했다. "대왕께서는 혹시 제나라와 초나라를 가볍게 보시고 한나라 를 업신여기시지 않나 해서 걱정이됩니다. 왕자(王者)의 군사는 이기고도 거만하지 않고, 패주(覇主)의 군..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2
평온하고 여유 있는 기운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평온하고 여유 있는 기운 맹자가 제나라에 갔을 때, 공손축(公孫丑)이라는 사람이 제자 로 들어왔다. 공손축은 스승이 제나라의 국정에 참여하여 관중 과 안자처럼 제나라를 강국으로 이끌어 줄 것을 기대했다. 그 러나 맹자는 관중, 안자 등의 힘..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1
청빈한 삶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청빈한 삶 공자의 제자는 3천, 그 중에서도 고제(高第)는 77인, 세상에서 흔히 이를 `칠십자(七十子)`라고 하지만, 이 칠십자 중에서도 공자가 `현(賢)`, `인(仁)`이라 하여 그의 완벽한 인격을 갖춘 인 물로서 가장 신뢰하고 있는 것이 안회(顔回)이다...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1.31
대(大)와 소(小)의 다른 점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대(大)와 소(小)의 다른 점 `붕정만리(鵬程萬里)`는 붕새를 타고 만 리를 난다는 뜻으로, 앞길이나 앞날이 크게 열려 있음을 뜻한다. `붕(鵬)`이란 상상 의 세계에 있는 새의 이름이다. 이 새에 대하여 쓰인 가장 대표 적인 문장은 <장자>의 첫머..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1.30
여러 개의 갈림길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여러 개의 갈림길 양자(楊子)의 이웃 집에서 양 한 마리가 도망을 쳤다. 그 동네사 람들까지 모두 나서고 양자의 집에서도 아이까지 나서서 양을 찾으러 다녔다. 양자가, "단 한 마리의 양을 어찌 그렇게 많은 사람들이 뒤를 쫓아가 는고." 하고 물..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1.29
군자유(君子儒)와 소인유(小人儒)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군자유(君子儒)와 소인유(小人儒) 어느 날 제자 자공(子貢)이 공자에게 물었다. "자장(子張)과 자하(子夏) 어느 쪽이 현(賢)이오니까?" 사실 이 두 사람은 퍽 대조적인 성격의 소유자였던 모양이다. <논어>에도 이런 이야기가 실려 있다. 어느 날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1.28
공자가 말하지 않은 것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수련과 성찰~ 공자가 말하지 않은 것 공자는 괴력난신(怪力&#63771;神), 즉 괴이(怪異)와 무용(武勇)과 세 상의 어지러움과 신(神)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고 했듯, 괴 (怪)와 신이라는 초월자에 대해서는 순종하는 태도 이외에는 취하지 않았다. 더구나 공자..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