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자(晏子)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안자(晏子) 안자(晏子)가 왕궁에 온 후 초나라 왕이 안자를 놀려 주려고 별렀다. 초왕은 왕좌에 앉아 안자를 힐끔 내려다보고는 비웃으며 말했다. "당신네 제나라에는 사람이 없는 모양이구려. 어찌 당신과 같은 사람을 사신으로 보..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15
거위와 바꾼 글씨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거위와 바꾼 글씨 산음 땅의 어떤 도사가 왕희지의 글씨를 좋아하는 열렬한 팬이었으나, 그 글씨를 얻기가 어떻게나 어려웠던지 우선 한 쌍의 흰 거위를 기르기 시작하였다. 왕희지는 흰 거위를 무척 좋아한다는 소문이 있어서였다...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14
지갈지계(止渴之計)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지갈지계(止渴之計) 목마름을 그치게 한다는 뜻으로 <삼국지>에 나온다. 위나라 조조가 원소와 싸우다가 크게 패해 달아날 때다. 오랜 싸움에서 지친 군사들은 목이 말라서 죽을 지경이다. 조조는 걱정이 태산이다. 싸움에 진 것..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13
이태백의 과장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이태백의 과장 당(唐)나라 현종(玄宗)이 전국의 시인들을 초청해 놓았는데 자기의 생일을 자축하는 자리에 이태백이 없었다. 현종은 신하들에게 그를 찾아오라고 명령했다. 얼마 후 술집에 있는 이태백이 신하의 등에 업혀 들어왔다..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12
지음(知音)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지음(知音) 마음으로 알아주는 사람을 가리켜 지음(知音) 이라고 한다. <열자>에 나오는 이야기. 백아(伯牙)가 어느 날 거문고를 타고 있었다. 높은 산을 머리에 떠올리며 한참을 타고 있으려니 친구인 종자기(種子期)가 말했다.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11
문왕의 지혜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문왕의 지혜 세상엔 어려운 지경에 있을 때에 무언가 생산적인 일이 생겨나는 법이다. 주나라의 문왕(文王) 이야기는 이런 면에서 단연 본받을 만하다. 은나라 마지막 왕인 주(紂)는 서쪽 땅의 제후_西伯_인 문왕이 정치를 잘한다고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10
유왕의 불장난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유왕의 불장난 주나라 제 12대 임금. 즉위한 지 3년 만에 포사(褒&#22994;)라는 여자에게 빠져 왕비 신후(申后)를 폐하고 포사를 왕비로 앉혔다. 뿐만 아니라 포사가 백복(伯服)을 낳자 태자를 폐하고 백복을 그 자리에 앉혔다. <사..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9
순임금, 바다로 도망가다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순임금, 바다로 도망가다 역사상 최고의 성인군자를 들라면 당연히 순(舜)임금을 들 것이다. 그 순임금도 바닷가로 도망을 간 적이 있다. 그러나 그것은 순전히 자기 아버지의 잘못을 감추고 아버지를 살리기 위해 한 행위로써 전해..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8
항아리를 깨뜨리다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항아리를 깨뜨리다 세상에는 희한한 성씨도 많다. 사마(司馬) 씨가 있다. 우리나라에도 있기는 하나 여기서는 사마 씨 성을 가진 광(光)의 이야기를 해 본다. 사마광의 지혜를 담은 이야기다. 사마광이 어렸을 때 일이다. 여느 아이들..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7
금곡주(金谷酒) 고전(古典)에서 길을 찾다 ~진실로 어리석기는 어렵다~ 금곡주(&#63754;谷酒) 중국 진나라 때 석숭(石崇)이란 사람이 있었다. 그는 형주 지방 관리로 있으면서 해상 무역을 하여 대단히 많은 재산을 모았다. 그의 집이 얼마나 넓었던지 십 리가 넘는다고 한다. 그 길에 비단을 깔아놓고는 .. 고전에서 길을 찾다 2017.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