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야초의 효능 1715

솜나물의 효능

솜나물의 효능 솜나물 : 국화과(Compositae) 학 명 : Leibnitzia anandria (L.) Turcz. 이 명 : 대정초(大丁草), 부싯깃나물, 까치취 꽃 색 : 흰색 계 절 : 봄 분포-지리 : 전국 각지 분포-지형 : 산기슭 메마른 바늘잎나무 숲 생육상 : 다년생초본(여러해살이풀) 높 이 : 10~20cm 개화기 : 5월 ~ 9월 결실기 : 9~10월 열매의 형태 : 수과(여윈열매) 용 도 : 관상용, 식용(잎) 기 타 : 1년에 봄, 가을 꽃이 두번 피며 가을에 피는 꽃이 열매를 맺는다. 관리법 양지에서 자라는 식물이기 때문에 햇볕을 많이 받는 화단에 심으며, 물관리는 1~2일에 한 번 한다. 먹는 방법 어린 잎을 살짝 데쳐 무쳐 먹는다. 나물을 뜨거운 물에 데쳐 햇볕에 말려 묵나..

산야초의 효능 2023.09.03

솔채꽃의 효능

솔채꽃의 효능 솔채꽃 솔채꽃은 색상도 넘 이쁘며 피어있는 모습도 한눈에 쏘옥 들어옵니다. 흔하지 않은 꽃이기에 더 귀히 여겨지며 몇장의 사진을 블로그에 올려봅니다.​ 꽃모습도 특이하게 생겼으며 다른꽃과 비교되는 솔채꽃의 자태입니다.​ 꽃말은 이루어질수 없는사랑 이외도 또 있습니다. 모든것을 잃었다 이며 꽃말이 모두 절망스런 말입니다. 아마도 양치기소년의 마음을 ​담은 꽃말이지만 이와 무관하게 꽃모양은 넘넘 ​아름답기만합니다. ​주변에는 다른꽃들도 무수히 피어있지만 유난히 눈에띄는 꽃이며 나도모르게 감탄을 합니다. 주로 야생에서 피며 지금은 화원과 정원등지에서도 볼수 있습니다.​ 분포지는 우리나라와 중국등지에서 자생하며 내한성이 좋아 비교적 추운지방에서도 잘 자란답니다. 그래서인지 낮은 지역보다는 고산지에..

산야초의 효능 2023.09.02

솔나물의 효능

솔나물의 효능 솔나물 학명 : Galium verum var. asiaticum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들 번식 : 씨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봉자채(蓬子菜) 키 : 70~100cm 과 : 꼭두서닛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6~8월(개화기)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차며, 쓰고 약간 맵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온포기 8~10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솔나물의 효능 큰솔나물·송엽초·황미화·봉자채라고도 한다. 들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70∼100cm이며 줄기는 곧게 서고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8∼10개씩 돌려나고 줄 모양이며 뒷면에는 마디·꽃이삭과 더불어 털이 있다. 꽃은 6∼8월에 노란색으로 피고 잎겨드랑이와 원..

산야초의 효능 2023.09.01

속새의 효능

속새의 효능 1. 속 새 (Common Scouring Rush, Common Hyemale) ♣ 학명 : Equisetum hyemale ♣ 분포지역 : 제주도, 강원도 ♣ 자생지역 : 고산 지대의 습한 그늘 ♣ 번식 : 분근 ♣ 약효 부위 : 온포기 ♣ 생약명 : 목적(木賊) ♣ 키 : 30~60cm ♣과 : 속샛과 ♣ 생활사 : 상록 여러해살이풀(양치식물) ♣ 채취기간 : 여름~가을 ♣ 취급요령 : 그늘에 말려 쓴다. ♣ 특징 : 평온하며, 달고 쓰다. ♣ 독성여부 : 없다. ♣ 1회 사용량 : 온포기 4~6g ♣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분 류 양치식물 > 속새강 > 속새목 > 속새과 > 속새속 ♣속 명 목적초, 좌초, 절절초, 절골초, 찰초, 무심초 ♣분 포 강원도 등지의 산, 습..

산야초의 효능 2023.08.31

세뿔석위의 효능

세뿔석위의 효능 세뿔석위 학명 : Pyrrosia tricuspis 분포지역 : 중남부 지방 자생지역 : 산지의 바위 번식 : 뿌리줄기·포자 약효 부위 : 온포기·뿌리 생약명 : 석위(石葦) 키 : 15~20cm 과 : 고란초과 생활사 : 상록 여러해살이풀(양치식물) 채취기간 : 봄~가을 취급요령 : 잔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서늘하며, 달고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4~6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석위·애기석위의 온포기·뿌리 석위의 효능 잎을 말려 약용으로도 쓴다. 민간에서는 석위, 세뿔석위, 애기석위의 잎과 뿌리를 석위(石韋) 라 하여 약용하는데, 그 기미는 서늘한(량)성질과 단맛(감)쓴맛(고)이 있어 폐경, 방광경으로 들어가 이뇨, 청폐,..

산야초의 효능 2023.08.30

수선화의 효능

수선화의 효능 수선화 학명 : Narcissus tazetta var. chinensis 분포지역 : 남부 지방 자생지역 : 습지에서 재배 번식: 비늘줄기·분주 약효 부위 : 비늘줄기·꽃 생약명 : 수선화(水仙花)·수선근(水仙根) 키 : 20~40cm 과 : 수선화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봄·가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따뜻하며, 약간 맵다. 독성여부 : 있다. 1회 사용량 : 2~3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잎 잎은 늦가을에 자라기 시작하고 4-6개이며 길이 20-40㎝, 폭 8-15mm로서 긴 선형이고 끝이 둔하며 백록색을 띠고 두껍다. 열매 꽃핀 후 결실치 않으므로 종자의 모양은 불투명하다. 꽃 꽃은 12-3월에 피며 통부는 길이 18-20mm, 화경(..

산야초의 효능 2023.08.29

쇠서나물의 효능

쇠서나물의 효능 쇠서나물 속명 : 모련채. 쇠세나물 분포지 : 전국의 산 낮은 데부터 높은 산 개화기 : 6 - 9 월 꽃색 : 노란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90 cm 안팎 특징 : 전체에 갈색 털이 퍼져 있어 거칠다. 용도 : 식용. 약용 생육상 : 두해 살이 풀 먹는 방법 : 봄에 어린순을 삶아 나물로 먹거나 국을 끓 여 먹는다. 쇠서나물은 국화과 쇠서나물속의 두해살이풀입니다. 다른 이름 : 모련채, 참모련채, 조선모련채, 털쇠서나물 의 꽃의 모양만 보면 씀바귀나 고들빼기와 아주 유사합니다. 하지만 줄기나 잎에 까실까실한 가시가 있어서 소의 혀와 같은 느낌을 줍니다. 그래서 소의혓바닥(쇠서) 나물이어서 쇠서나물로 불린답니다. 쇠서나물은 개마쇠서나물과 털쇠서나물로 분류합니다. 이와 비슷한 꽃모양..

산야초의 효능 2023.08.28

쇠별꽃의 효능

쇠별꽃의 효능 쇠별꽃 학명 : Stellaria aquatic 분포지역 : 전국 각지 자생지역 : 밭과 들의 다소 습한 곳 번식 : 씨 약효 부위 : 온포기 생약명 : 우번루(牛繁縷) 키 : 20~50cm 과 : 석죽과 생활사 : 두해살이 또는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7~8월(개화기) 취급요령 : 날것으로 쓴다. 특징 : 평온하며, 달고 약간 짜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15~20g 주의사항 :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동속약초 : 별꽃 잎 마주나며 길이 1~6cm, 나비 8~30mm의 달걀꼴로서 표면의 잎맥이 쑥 들어가고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밑 부분의 잎은 잎자루가 있으나 위로 올라갈수록 잎자루가 짧아져서 줄기를 둘러싼다. 꽃 5~6월에 백색의 오판화가 가지 끝과 잎겨드..

산야초의 효능 2023.08.27

우슬(쇠무릎)의 효능

쇠무릎(우슬)의 효능 쇠무릎 학명 : Achyranthes japonica 분포지역 : 황해도 이남 자생지역 : 산·들·길가의 다소 습한 곳 번식 : 씨 약효 부위 : 뿌리 생약명 : 우슬(牛膝) 키 : 50~100cm 과 : 비름과 생활사 :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 가을~이듬해 봄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특징 : 평온하며, 쓰다. 독성여부 : 없다. 1회 사용량 : 뿌리 6~10g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쇠무릎의 효능 잎 마주나며 길이 10~20cm의 타원형 또는 거꿀달걀꼴이다. 양 끝이 좁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털이 약간 있다. 잎자루는 짧다. 꽃 8~9월에 엷은 녹색의 오판화가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수상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양성화이다. 꽃은..

산야초의 효능 2023.08.26

섬말나리의 효능

섬말나리의 효능 섬말나리 * 분 류 : 현화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 * 생약명 : 백합(百合) * 다른이름 : 섬나리, 성인봉나리, 합상백합 * 이름유래 : 말라리중 울릉도와 독도에서만 자라고 있어 붙여진 이름. * 꽃 말 : 순진, 순결, 변함없는 귀여움 * 특 징 : 1) 줄기 : 높이 100cm 정도 자라며, 비늘줄기는 달걀 모양으로 약간 붉은색을 띠고 관절이 없다. 2) 잎 : 줄기의 아랫부분에 잎이 6∼10개씩 층층이 돌려나고 줄기의 윗부분에는 작은 잎들이 어긋나며, 돌려나는 잎들은 긴 타원형 이고 어긋나는 잎들은 위로 갈수록 점점 작아져 윗부분의 포와 연결되며, 잎은 윤이 난다. 3) 꽃 : 6~7월 주황색 꽃이 원줄기와 가지 끝에 한 개씩 아래를 향해 달리며, 꽃잎은 ..

산야초의 효능 2023.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