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순례 마지막 순례 유태인들은 일단 생활이 안정되면 자식들에게 "탈무드"공부를 계속 하게 한다. 그러기 위해 유태인 선생을 구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생활의 차이가 심해 마음먹는대로 잘 되지가 않아 애를 태우는 유태인들을 놀리는 말이 있다. 유태인 선생을 피하는데 첫째는 어린 아이들.. 탈무드 2017.03.07
유태인의 웃음 - 갈수록 태산 유태인의 웃음 - 갈수록 태산 장학관이 일선 초등학교 수업 시간을 참관하였다. 장학관이 한 학생에게 물었다. '지구의는 왜 기울어져 있는지 말해 봐요.' '제가 망가뜨린게 아닙니다.' 학생의 대답이 이렇자 장학관은 어처구니가 없어 담임 선생님을 나무랬다. 그랬더니 선생이 머리를 긁.. 탈무드 2017.03.06
오만함을 없애기 오만함을 없애기신의 천지 창조의 마지막 날 인간을 만드신 것은 인간의 오만함을 없애기 위해서였다. 성서에 의하면, 하나님은 광명과 암흑, 하늘과 땅, 물, 그리고 모든 생물을 만드신 뒤 비로소 최초의 인간인 아담을 창조하시었다. 하나님은 여섯 번째 날에 인간을 만드시고 다음날인.. 탈무드 2017.03.05
잘못된 교육 잘못된 교육예루살렘의 멸망은 잘못된 교육 때문이다. 유태 민족들은 시도했던 일이 실패로 끝나면 먼저 자기들의 교육이 잘못되었다고 생각한다. 그것은 배움 바체가 곧 신을 찬양하는 일이었고, 그래서 배움에 의해 신을 존경하고 신에게 가까워진다고 여겼다. 예루살렘이 로마군에 .. 탈무드 2017.03.03
조화로운 생활 조화로운 생활 인간이 유연하고 여유롭게 살아간다는 것에는 커다란 의미가 있다. 신이 인간을 만들 때에는 흙이라는 한 가지 재료로 만들었지만, 한 사람 한 사람이 모두 다르다. 그러므로 다른 사람들과 조화로운 생활을 하기 위해서 는 유연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 것이다. 자기 혼자.. 탈무드 2017.03.02
적당히 어리석은 자 적당히 어리석은 자적당히 어리석은 자가 완전히 어리석은 자보다 더 어리석다. 탈무드에는 이런 비유가 있다. '바다 속에 완전히 가라앉아 버린 배는 항해하는 다른 배에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그러나 절반쯤 물에 잠긴 배는 다른 배에 장애가 된다.' 물론 다른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가.. 탈무드 2017.03.01
0에서 1까지의 거리 0에서 1까지의 거리0에서 1까지의 거리가 1에서 100까지의 거리보다 길다. 사람들 중에는 1000을 구하려 한 나머지 1을 대수롭게 여거 0 밖에 얻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단번에 많은 재물을 얻으려고 해서는 안된다. 1을 만드는 데에는 인내력이 필요하다. 에서 1을 만들고 이를 소중히 여긴.. 탈무드 2017.02.28
마음을 먼저 보고... 마음을 먼저 보고...신은 인간의 마음을 먼저 보고, 그 다음 그의 두뇌를 본다. 참된 인간은 그가 지닌 마음에서 좌우되므로 먼저 착한 마음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식이란 그 다음의 것이다. 남다르게 많은 학문을 닦은 학자라 해도 그가 지닌 마음이 가난하고 어두우면 마음이 고운 .. 탈무드 2017.02.27
선행에 대한 가장 큰 댓가는 무엇인가? 선행에 대한 가장 큰 댓가는 무엇인가? 또다른 선행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죄악을 두려워하던 사람도 한 번 악을 저지르고 나면 그 다음은 쉬운 것이다. 그런 다음에는 아주 간단하게 악의 포로가 되어서 악의 구렁텅이로 빠져 버린다. 인간의 적응력은 높다. 잠시동안 못 보는 사이에 .. 탈무드 2017.02.26
가장 아름다운 행위는 감사 바라지 않는것 "가장 아름다운 행위는 감사 바라지 않는것"환자에게 문병을 가면, 그 환자의 병은 60분의 1쯤 낫는다. 그러나 60명이 한꺼번에 문병을 간다 해서 환자의 병이 단번에 완쾌되지는 않는다. 죽은 사람의 무덤을 찾아가는 것은 가장 고상한 행위이다. 문병에 대해서는 환자가 나으면 그로부터 .. 탈무드 2017.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