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5)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5) 잉(孕) : 息을 지나 산줄기가 다시 살짝 솟아올라 하나의 정점을 이룬 곳으로 父母→胎→息→孕→育의 네 번째 段階이다. 자연 황천(自然黃泉) : 自然의 흐름이 거꾸로 循環하는 境遇로 外堂이 左旋水인데 內堂이 右旋水이던.. 풍수지리 2020.02.02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4)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4) 음기(陰基) : 遺骸를 갈무리하는 方法으로 땅에묻는 陰宅, (墓所 ,墓地, 墓터,) 음택(陰宅) : 죽은사람이 묻힌 무덤 음택론(陰宅論) : 죽은 사람의 氣가 後孫과 感應하여 福이나 禍를 미친다는 風水說로 보통은 墓地를 잡거나 葬.. 풍수지리 2020.02.01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3)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3) 용상팔살(龍上八殺) : 무덤 속으로 물이 스며드는 것으로 佩鐵 1層에 方向이 표시되어 있고 墓 중에서 잔디를 심어도 뿌리를 내리지 못하고 黃土가 드러나면 龍上八殺에 걸린 경우가 많다. 우각(牛角) : 소뿔을 比喩한말로 뿔.. 풍수지리 2020.01.31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2)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2) 옥인(玉印) : 墓 周圍에 있는 큰 바위 건물 등을 말한다. 옹종(擁腫) : 龍의 모양이 粗雜하여 端正치 못하고 군데군데 불그러진 암석으로 露出되여 흡사 몸에 종기가 난 듯한 모양세. 와혈(窩穴) : 穴場의 모양을 부르는 말로, 소.. 풍수지리 2020.01.30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1)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1) 양택(陽宅) : 사람이 살아가는 터를 이르는 말로 집터. 마을. 城郭. 양택론(陽宅論) : 快適한 生活環境을 제공하기 위하여 住居地를 決定하는 風水理論. 양풍(陽風) : 溪谷에서 自然的으로 發生하는 陰風과 對比되는 바람으로 .. 풍수지리 2020.01.29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0)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20) 안대(案對) : 무덤의 方向을 잡을 때 案山이나 朝山의 봉우리와 무덤의 向을 一致시키는 坐向法. 안산(案山) : 穴 앞 낮게 엎드린 산으로 主人이 책상에 앉아 시종을 부리는 역할을 하며 눈썹 과 심장 위치에 보여야 좋다. 암장(.. 풍수지리 2020.01.28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9) 승금(乘金) : 風水學 에서 金이라고 하면 둥근 모양을 말한다. 그러므로 둥근모양을 올라탄다는 의미이나 혈장이 둥그런 모양을 짓고있음이며 도두의 둥그런 모양이다. 혈판이 微突하여 둥그런 모양을 이루어야만 천광하여 .. 풍수지리 2020.01.27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8)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8) 속기(束氣) : 氣運을 묶어 잘록하고 둥근모양으로 볼록하게 만들어진곳 잘록한 부분이 속기처 이다. 쇠(衰) : 胞胎法 에서 老年期에 접어든 時期로 비록 氣運은 衰하였으나 쌓인 경륜이 있어 後學을 指導하는 狀態. 쇠기맥(衰.. 풍수지리 2020.01.26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7)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7) 생기(生氣) : 宇宙와 自然을 變化시키고, 天地 萬物을 創造하고 生育하는 太陽, 水, 酸素, 營養分, 溫度 등이 複合된 氣運으로 自然의 狀態에선 흙 속에 머문다. 생기맥(生氣脈) : 來龍을 다섯 區劃으로 區分할 때 左側의 첫 번.. 풍수지리 2020.01.25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6)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용어해설(風水地理用語解說)(16) 삼길육수(三吉六秀) : 震,庚,亥 는 三吉 方位로서 豊滿 秀麗한 봉우리가 있으면 子孫이 富貴 福祿을 누리고 長壽하며, 艮.丙.巽.辛.兌.丁여섯 方位에 빼어난 봉우리가 있으면 吉하다. 巽 과 辛, 艮 과 丙, 兌 와丁 이 마주보면 貴.. 풍수지리 2020.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