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수지리 1703

精通 明理學(정통명리학)(3)

풍수지리(風水地理)精通 明理學(정통명리학)(3)3장 음양의 창조 음양과 창조 태초에 암흑과 혼돈의 허공인 우주에 태음의 초신성이 빅뱅을 일으키며, 블랙홀이 북극성과 남십자성과 은하수로 이루어진 별들의 세상을 창조했다. 태양이 천지개벽하며 음양의 소용돌이 태극이 일어나 사상으로 나뉘어졌다. 하늘과 땅 사이에는 하나의 기가 있을 따름이다. 오직 동함과 정함이 있기에 음양으로 나누어지며, 가볍고 청한 양기는 하늘로 올라 가고, 무겁고 탁한 음기는 땅으로 내려 온다. 빛과 그림자의 음양은 노와 소가 있기에 사상으로 나누어진다. 노란 기의 동함과 정함이 극에 달하였을 때, 태양과 태음이 된다. 소란 동함과 정함이 시작할 때 소음과 소양이 되는 것인데, 이것이 사상이며, 오행이 그 안에 갖추어진다. 수란 태음이며,..

풍수지리 2018.09.15

精通 明理學(정통명리학)(2)

풍수지리(風水地理)精通 明理學(정통명리학)(2)2장 명리학의 역사 반만년전에 삼황 오제의 한 분인 복희씨가 하늘의 운행하는 천문을 건곰감리 손간진태의 팔괘로 길흉화복의 점을 치며 역술의 효시가 되었다. 기원 전 1734년에 하늘에 목성과 화성과 토성과 금성과 수성의 오행성이 오성취루를 이루며, 금이 목을 극하며 목극토 화극금 토극수 수극화의 오행이 상극하는 스타 모양이 생겼다. 기원전 18세기 중국 하나라에서 오행 상생의 용마가 승천하고 하도에 오행이 상극하는 하도낙서의 거북이 출현하며, 인간의 길흉화복을 점치는 역술이 발달하였다. 기원전 12세기 주나라 문왕이 64효의 역술을 체계화하여 주역으로 발전시켰다. 춘추전국 시대의 무덤에서 이미 五星占이 출토된 바 그 당시에도 역법 관측이 성행하고 있었다. 명..

풍수지리 2018.09.14

精通 明理學(정통명리학)(1)

풍수지리(風水地理)精通 明理學(정통명리학)(1)1장 명리학의 정의 우주 삼라만상은 자연 법칙에 따라 인간의 생노병사(生老病死)와 흥망성쇠(興亡盛衰)가 상대적으로 비례하여 작용하는 원리를 인간 생활에 적용시키는 학문을 명리학이라고 한다. 명리(命理)란 자연의 음양과 오행(五行)의 원리를 人間에게 적용하여 태어난 시간의 별자리 위치에 사주를 대입하여 年月日時의 사주 팔자로 표기한다. 10 천간과 12 지지의 배합과 오행의 조화를 팔자로 분석하여, 다가올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십년간의 대운과 일년간 세운을 사주 명국에 대입하여, 개인 미래의 부귀빈천(富貴貧賤)과 길흉화복(吉凶禍福)을 예측하여 미리 인지하는 과학적 학문이며, 일본서는 추명학이라고 한다. 동양 철학의 근간이 되는 천인합일(天人合一) 사상에서 명리학..

풍수지리 2018.09.13

간편한 이름풀이

풍수지리(風水地理)간편한 이름풀이간편한 이름풀이(姓名學) 성명이란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 평생동안 타인에게 불리며, 일생의 운명중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요람에서 무덤까지 따라다니는 중요한 글자이다. 그렇다고 일부러 호적(戶籍)의 이름을 힘들게 바꿀 필요까지는 없고, 개명은 도장이나 명함에 사용하면 된다. 작명시 유의할 점은 아래와 같다.1. 음양의 조화가 가장 중요하다. 한자 획수가 홀수이면 양이며 ,짝수이면 음이다. 성명의 최상급 배열은 음음양, 양양응, 음양양, 양음음의 순이다. 상급 배렬은 량음양, 음양음이고, 하급 배열은 음음음, 양양양의 편중된 순서이다. 2. 족보(族譜)의 항렬(行列)은 목화토금수(木火土金水)의 순서로 나간다.木변이면 1대나 6대이고, 불 火변이면 2대나 7데이고, 흙 土..

풍수지리 2018.09.12

나경의 사용법(使用法)

풍수지리(風水地理) *나경의 사용법(使用法)나경은 음택(陰宅)이나 양택(陽宅)에 있어 좌와 향의 관계,용맥 에너지의 흐름, 배합과 불 배합의 관계 등을 알고자 할 때 사용한다.이때 바늘의 한쪽이 구멍이 있거나 적색으로 되어 있는데 이러한 쪽이 북쪽이 되니 자(子)와 오(午) 중에 자(子) 즉, 북쪽으로 맞추어 일직선상으로 놓는다.그렇게 되면 남북이 결정되고 나경을 보면서 오른쪽이 동쪽이 되면 왼쪽은 서쪽이 되는 것이다.또한 나경의 좌향(坐向)을 읽을 때는 가까운 곳에 철제로 된 제품이 있는가, 방바닥의 보일러용 쇠파이프 등이 들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언제나 쇠붙이는 자력을 갖고 있는 나경의 바늘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아울러 자동차 안에서는 정확한 방향을 측정할 수 없으니 차 밖으로 나와서 측정하는 습..

풍수지리 2018.09.11

간단한 풍수지리(風水地理)

풍수지리(風水地理)간단한 풍수지리(風水地理)편리한 풍수지리 풍수지리[風水地理]란 바로 삶의 근본 이치를 아는 것이며, 자연의 섭리를 깨닫는 이치다. 지수화풍이 지구의 지기(地氣)인 중력과 바람의 풍기(風氣)의 전자력과 불의 화기(火氣) 핵의 양기력과 물의 수기(水氣) 음기력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 과학자들이 과학적 실험을 통하여 지수화풍이 만물의 기본 원소임을 증명하고 있다. 풍수지리라 하면, 일반적으로 음택인 묘지를 생각한다. 풍수지리를 학문적으로 가상학[家相學]이라 하며, 양택[陽宅]과 음택[陰宅]으로 구분된다. 옛날에는 음택인 묘자리를 중요시한 것은 마을과 인접하고, 교통이 불편해 한 곳에 모여 집단으로 살았기 때문이다. 현대같이 교통이 발달해 전국이 반 나절이면 종횡무진하고, 한달이면 세계를 동..

풍수지리 2018.09.10

자연법칙(自然法則)을 이해해야 풍수(風水)가 보인다.

풍수지리(風水地理)자연법칙(自然法則)을 이해해야 풍수(風水)가 보인다.◎자연(自然)과 생명에너지풍수지리학에서 있어서 근본이 되는 것이 바로 생태계를 이루는 자연 법칙이라 할 수 있다. 모든 생물이 공기와 물, 온도, 햇빛, 흙 등의 환경 속에서 서로간에 기운을 주고받으며 살아가는 이 자연법칙이야말로 생명에너지를 창출(創出)하는 기본원리라 할 수 있다,.여러 가지 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생태계에서 인간은 말할 것도 없고 모든 동식물의 바람직한 성장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관찰해야할 부분들이 있다 첫째는 땅(地)이며 둘째는 물(水), 셋째는 태양을 비롯한 천체의 빛과 열에너지(火), 넷째는 바람(風), 다섯째는 에너지 흐름에 따른 방위(方位)인데 각부분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땅: 흙으로 구성되는 땅은 육지..

풍수지리 2018.09.09

지도 정치(地圖政治)를 해야 한다.

풍수지리(風水地理) *지도 정치(地圖政治)를 해야 한다.그 다음은 패철을 지도위에 올려놓고, 패철의 자북과 지도의 북쪽을 맞춘다. 그러면 지도에서 어떤 자리를 볼라치면 패철이 가리키는 방위와 지도와 현장에서의 방위는 모두 같아진다. 이기론 풍수는 패철과 방위로 땅을 판가름하는 방법이 매우 발달해 있기 때문에 지도를 보고서도 충분히 땅의 길흉을 판단할 수 있다.형기론과 물형론으로는 이런 세련된 방법을 구사하기 어렵다. 형기론자나 물형론자처럼 지도에 용맥을 그리지 않은 채 무작정 산으로 들어가는데, 앞산이 도대체 어느 산에서 뻗어 온 산자락인지, 산의 앞뒤가 어디인지 도통 알 수가 없다. 그래서 지도위에 등고선을 따라 용맥을 그리고, 땅의 길흉을 어느정도 판단한 다음에 산을 올라야 명당을 찾아 이산, 저산을..

풍수지리 2018.09.08

지도(地圖)가 없다면?

풍수지리(風水地理)*지도(地圖)가 없다면? 용맥이 흘러간 이치는 참으로 정교하고 미묘하여 알기가 어렵다. 솟는가 싶으면 엎드리고, 뻗는가 싶으면 되돌아 나간다. 우리의 조상들 역시 산에 마음을 빼앗겨 구름처럼 바람처럼 이산 저산을 누비고 다녔다. 당시는 개인이 지도를 소지하기 힘들어서, 산을 직접 오르지 않고서는 용맥의 흐름을 알 수 없었다. 교통마저 불편하고, 산에는 맹수가 득실거렸으니 명당을 구하기가 얼마나 힘들었을까. 그런 상황에서도 풍수사들은 산천을 답사하여 천장지비(天藏地秘)한 대지를 색출하고 이것을 후손에게 도면 또는 비결(秘訣)로 남겼다*좌견천리(坐見千理).좌견만리(坐見萬理)할 수 있다.지도에 용맥을 그릴 때면, 스스로 등산한다는 기분으로 마음을 굳세게 먹는다. 산줄기는 천태만상으로 휘고, ..

풍수지리 2018.09.07

지도(地圖)의 쓰임새(필요성)은?

풍수지리(風水地理) *지도(地圖)의 쓰임새(필요성)은?지도는 일종의 실존하는 땅의 모습을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한눈에 굽어보는 그림으로, 다양한 사물을 한 폭에 모두 그릴 수 없으니 사용 목적에 따라 필요 요소만을 그린다. 또 문명이 발달하면서 지도는 점점 다양한 목적으로 제작되고, 제작 방법도 비약적으로 발전하였다. 어떤 시기에는 지도 제작이 한 나라의 문화 내지 기술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로 비추어졌다. 지도는 국토의 효율적인 이용과 개발, 그리고 보전에 매우 필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그 시대의 문화, 사회 상황 등까지 파악할 수 있는 종합 자료이기 때문이다.지도를 보면 도로, 산림, 물길은 기본이고 농지, 도시, 각종 지형 물들이 상세하게 표시되어 있다. 남한은 2만 5천 분의 1 축척 지도가 91..

풍수지리 2018.09.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