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물 아래에 돌을 떨어뜨린다는 뜻으로 다른 사람이 재앙을 당 하면 도와주기는 커녕 오히려 더 큰 재앙이 닥치도록 하는 것을 말함.
이 성어는 당송 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한유(韓愈)가 친 구 유종원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묘지명 가운데 나온다.
"아! 선비는 자신이 어려움에 처했을 때 비로소 그 지조를 알게 된 다. 지금 어떤 사람들은 컴컴한 골목에 살면서 서로 사랑하고 술 과 음식을 나누어 먹고 놀면서 즐겁게 웃으며, 자기의 심장이라도 꺼내 줄 것처 럼 친구라고 칭하며, 하늘과 땅을 가리키며 죽음과 삶을 함께할 것이 라고 아주 간절하게 말한다. 그러나 머리털만큼 이나 작은 이익이라 도 있는 문제가 발생하면 서로 눈을 부릅뜨고 사람을 구분할 줄도 모 른다. 당신이 만일 다른 사람에 의해 함정 에 빠지게 된다면, 당신을 구해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돌 을 들어 당신에게 던지는 그런 사람이 매우 많다. 이처럼 개화되 지 않아 금수와 같은 사람들은 어째 서 직접 가서 일을 하지 않으 면서 자기들의 행동이 옳다고 생각하는가?"
한유는 유종원이 소인배들의 모함으로 기개를 펼치지 못하고 저 승으 로 먼저 간 것을 애도하는 마음에서 이 글을 지었다.
유종원은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고 문장을 잘 쓰기로 명성이 자자 했던 인물이다.
그는 순종이 즉위한 뒤 왕숙문 등이 주도하는 정치 개혁에 적극 가담 하였으나, 혁신 정치가 실패하여 귀양살이를 하다가 47세에 세상을 떠 났다.
그는 고문 운동을 영도한 인물로서 '도를 밝힌다'는 것을 문학관 의 강령으로 삼고 저술 작업을 했다. 아울러 그의 정치 활동에 있 어서 도 '도'에 부합되는 행동을 하려고 노력했다.
만일 우물에 빠진 삶에게 튼튼한 밧줄을 내려 주기는 커녕 오히려 돌을 던진다면 어떻게 되겠는 가? 우물에 빠진 사람은 생사의 기 로에 서 있는 절박한 처지에 놓여 있 어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심정이다.
그렇지만 돌을 던진다면 그는 생 사의 기로에서 죽음으로 떨어지 고 말 것이다.
우리는 친구나 주위 사람 들이 평온 하고 안락한 생활을 할 때는 물론이고 어려운 처지에 놓이게 되었을 때, 더욱 구렁 속으로 밀 어 넣는 행동을 결코 해서는 안되며 그 동안 쌓아 온 신뢰 속에서 온정의 손길을 뻗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