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일모도원(日暮途遠) 日:날 일, 暮:저물 모, 途:길 도, 遠:멀 원
나이가 늙어서도 할 일이 많음. 날은 저물고 갈 길은 멀다.
楚의 平王 때 오사는 太子 건의 태부였고, 비무기는 소부로 있었다.
費無忌는 간신이었다. 한 번은 太子를 위하여 秦에서 데려온 여자를 平 王에게 권하고 아첨하여 王의 신임을 얻었다.
이 사실을 안 太子의 보복이 두려워 太子를 참소하였다. 여자에 빠져 버 린 平王은 費無忌의 말만 곧이 듣고 太子를 국경으로 쫓아 버렸다.
또 平王은 太子가 반기를 든다는 거짓말을 믿고 이 번에는 太傅 伍奢를 꾸짖자 伍奢는 도리어 王의 그릇됨을 諫하였다.
이 때문에 伍奢는 유폐되고, 太子는 宋으로 도망 갔다. 伍奢의 두 아들의 보복이 두려워진 費無忌는 太子의 음모는 그 두 아들의 조정이라 참언하 였다.
그래서 伍奢와 맏아들은 잡혀 죽고 둘째 아들 오자서는 吳로 도 망 쳤다. 그로부터 伍子胥는 복수의 날을 기다렸다.
吳王과 公子 광 을 뵙고난 伍子胥는 公子가 왕위를 넘겨다 보고 자객 을 구함을 알고 전제라는 자객을 소개하였다.
楚에서는 平王이 죽고 費無忌가 平王에 천거한 여자의 소생 진이 소 왕이 되었다.
그후 內分으로 費無忌는 피 살되고, 내분을 틈타 楚를 치던 吳王은 칼에 맞아 죽고, 公子 光이 왕위에 오르니 이가 吳王 합려다.
그후 伍子胥는 楚에 쳐들어가 平王의 묘를 파헤치고 시체에 3백번의 매 질을 가함으로써 아버지와 형의 원한을 풀었다.
이 사건에 대해 지나치다고 비난하자 伍子胥는 말했다.
"나는 나이가 늙었어도 할 일은 많다(吾 日暮途遠)."
[출 전]《史記》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