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일명경인(一鳴驚人)

eorks 2010. 4. 12. 07:03
故 事 成 語


일명경인(一鳴驚人)


一:
한 일. 鳴:울 명. 驚:놀랄 경. 人:사람 인

 평소에 묵묵이 있던 사람이 갑자기 사람을 놀라게 할 만한 일을
          해내는 것을 말함.                                                                                  


     전국 시대 제(齊)나라의 위왕(威王)30살이 채 못 되는 젊은 나이에 즉위
     하여 득의만면했다.

     그는 국사를 내팽개치 고 매일매일 주연을 벌여 밤을 지새며 마시는 일도
     있었다.

     조정에 나갈 시각이 되어서야 겨우 잠자리에 들어 자연 신하 도 깨우는 것
     을 삼갔다.

     이렇게 3년이 지났다. 정치는 혼란한 데다 국경은 자주 침범당해 나라 꼴이
     엉망이었다.

     신하들은 이대로 가면 나라가 망한다며 걱정했지만 아무도 감히 왕에게 간
     하려고 하지는 않았다.

     보다못한 대부 순우곤(淳于곤)이 어 느 날 왕을 배알했다. 순우곤은 몸집은
     작지만 재치있는 변설에 능한 사람이었다.

     "이 나라에 큰 새가 한 마리 있습니다. 3년간 날지도 않고 울 지도 않습니
     다. 무슨 새인지 아십니까?"


     왕은 그의 말을 이해했다.

     此鳥不飛則已(차조불비즉이)이 새는 날지 않으면 그뿐이지만
     一飛沖天(일비충천)한번 날면 하늘에 오르며
     不鳴則已(불명즉이)울지 않으면 그뿐이지만
     一鳴驚人(일명경인)한번 울면 사람을 놀랜다

     순우곤이 말을 마치자마자 왕이 술잔을 내던졌다. 그리고 많은 신하를 이
     끌고 국내 순시에 나섰다.

     먼저 즉묵(卽墨: 산동성)에 갔더니 논밭은 잘 경작되어 작황도 순조로우며,
     백성의 생활도 풍요로운 데에 만족했다. 왕은 즉묵의 대부를 불러

     "이만큼 잘 다스려지고 있는데, 그대를 비난하는 소리가 높은 것은 내 측근
     에게 뇌물을 보 내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다."
하고 칭찬하며, 즉시 1만호의
     봉토(封土)를 주었다.

     다음에 간 아(阿)는 논밭이 황폐해져 있었고 백성들의 얼굴 도 어두웠다.

     왕이 대부를 불러 내어 꾸짖었다.

     "이런 모양 인데도 그대를 칭찬하는 소리가 내 귀에 따갑게 들린 것은 측근
     에게 뇌물을 보내고 있기 때문일시 분명하다."


     귀경한 위왕은 전국 72현의 현령을 소집하고 신상필벌의 평정을 내렸다.

     마지막으로 아의 대부는 특히 악질이라 하 여 솥에 삶아 죽이는 팽형(烹刑)
     에 처하고 그를 칭찬한 자 도 같은 죄라 하여 처단했다.

     그 후로 제나라는 잘 다스려지고 백성의 생활도 안정되었다. 또 위(魏)나라
     를 공격해 토지를 할양받았다.

     이후 제나라는 몰라볼 정도로 변화되었다. 위왕은 일명경인(一鳴驚人)
     것 이다.


     [출 전]《史記》<滑稽列傳(골계열전)>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사천리(一沙千里)  (0) 2010.04.12
일모도원(日暮途遠)  (0) 2010.04.12
일망타진(一網打盡)  (0) 2010.04.11
일거양득(一擧兩得)  (0) 2010.04.11
인생조로(人生朝露)  (0) 2010.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