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조명시리(朝名市利) 朝:아침 조, 名:이름 명, 市:저자 시, 利:이로울 이 명성은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저자[市場]에서 다투라는 뜻으로, 무슨 일이든 적당한 장소에서 행하라는 말.
진(秦)나라 혜문왕(惠文王) 때(B.C. 317)의 일이다. 중신 사마조(司馬錯)는 어전에서 '촉(蜀)의 오랑캐를 정벌 하면 국토도 넓 어지고 백성들의 재물도 쌓일 것이므로, 이 야말로 일거양득(一擧兩得)'이 라며 촉으로의 출병을 주장 했다.
그러나 종횡가(縱橫家) 출신의 재상 장의(張儀)는 그와는 달리 혜문왕에 게 이렇게 진언했다.
"진나라는 우선 위(魏) 초(楚) 두 나라와 우호 관계를 맺고, 한(韓)나라의 삼천(三川) 지방으로 출병한 후 천하의 종실인 주(周)나라의 외곽을 위협 하면, 주나라는 스스로 구정 [九鼎:천자(天子)를 상징하는 보물]을 지키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반드시 그 보물을 내놓을 것이옵니다.
그때 천자를 끼고 천하에 호령하면 누가 감히 복종하지 않겠나이까? 이것 이 패 업( 業)이라는 것이옵니다.
그까짓 변경의 촉을 정벌해 봤자 군사와 백성을 피폐(疲弊)케 할 뿐 무슨 명리(名利)가 있겠나 이까? 신(臣)이 듣기로는 '명성은 조정에서 다투고 이익은 저자에서 다툰다[朝名市利]'고 하옵니다.
지금 삼천 지방은 천하의 저 자이옵고 주나라 황실(皇室)은 천하의 조정이 옵니다.
그런데 도 전하께서는 이것을 다투려 하지 않고 하찮은 오랑캐의 촉 을 다 투려 하시옵니다. 혹, 패업을 멀리 하시려는 것은 아니 옵나이까?"
그러나 혜문왕은 사마조의 진언에 따라 촉의 오랑캐를 정벌하 고 국토를 넓히는 데 주력했다.
[주]장의 : 전국 시대 말엽의 종횡가. 위(魏)나라 사람. 합종책 (合縱策)으 로 6국의 재상을 겸임했던 소진(蘇秦)과 함께 수수께끼의 종횡 가인 귀곡 선생(鬼谷先生)에 게 종횡의 술책을 배움. 위나라의 재상으로 있다가 진(秦)나라 혜문왕(惠文王)의 신임 을 받아 진나라 의 재상이 됨. 소진이 제(齊)나라에서 살해되자 (B.C. 317) 6국을 순방, 유세 (遊說)하여 소진의 합 종책을 깨고 연횡책을 성사시켜 6국으로 하여금 개 별적으로 진나라를 섬기게 함. 혜문왕이 죽은 후 참 소(讒訴)를 당하여 위나라에서 객사(客死)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