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事 成 語
조삼모사(朝三暮四) 朝:아침 조. 三:석 삼. 暮:저물 모. 四:넉 사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라는 뜻. 곧 ① 당장 눈앞의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 간사한 잔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송나라에 저공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저란 원숭이를 뜻한다.
그 이름이 말해 주듯이 저공은 많은 원숭 이를 기르고 있었는데 그는 가족의 양 식까지 퍼다가 먹일 정도로 원숭이를 좋아했다.
그래서 원숭이들은 저공을 따 랐고 마음까지 알았다고 한다.
그런데 워낙 많은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먹이를 대는 일이 날로 어려워졌다.
그래서 저공은 원숭이에게 나누어 줄 먹 이를 줄이기로 했다.
그러나 먹이를 줄이면 원숭이들이 자 기를 싫어할 것 같아 그는 우선 원숭이들 에게 이렇게 말했다.
"너희들에게 나누어 주는 도토리를 앞으로는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朝三 暮四]'씩 줄 생각인데 어떠냐?"
그러자 원숭이들은 하나같이 화를 냈다. '아침에 도토리 세 개로는 배가 고프 다'는 불만임을 안 저공은 '됐다' 싶어 이번 에는 이렇게 말했다.
"그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朝四暮三]씩 주마."
그러자 원숭이들은 모두 기뻐했다고 한다. 조삼모사나 朝四 暮三이나 합쳐보면 하루에 도토리 일곱 개씩으로 두 경우 똑 같은데 원숭이들은 아침의 먹이가 세 개에서 네 개로 늘어 나는데 만족한 것이다.
[출 전]《列子》《莊子》
![](https://t1.daumcdn.net/cfile/cafe/171F28234C07CF6F01) ......^^백두대간^^........白頭大幹 ![](https://t1.daumcdn.net/cfile/cafe/2061F84E4FE87AC02C)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