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형설지공(螢雪之功)

eorks 2010. 8. 4. 06:04
故 事 成 語


형설지공(螢雪之功)


螢:
개똥벌래 형. 雪:눈 설, 之:어조사 지, 功:공 공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열심히 공부함.


    中國 역사상 12열국 중 하나인 東晋(동진)은 귀족 문화가 어느 나라 보다도 개
    화한 나라였다.

    詩에서는 유명한 도잠(陶潛-陶淵明), 繪畵 (회화)에는 고개지(顧愷之), 書에는
    왕희지(王羲之) 등이 활약하여 훌륭한 문화 업적을 남긴 나라이다.

    이 東晋에 차윤(車胤)이라는 선비가 있었다. 字(자)가 武子(무자)라 했는데, 그
    는 어려서부터 태도가 공손하고 부지런하여 온갖 책을 많 이 읽었다.

    그러나 집안이 가난하여 독서할 때 밝힐 등불의 기름을 구하지 못하는 형편이
    었다.

    그래서 車胤은 여름이 되면 깨끗한 비단 주머니를 만들어 그 속에다 수십 마
    리의 개똥 벌레(螢)를 잡아 넣고 밤이 되면 이것으로 책을 비추어 가며 읽기를
    계속했다. 4

    그 결과 후에 벼슬이 尙書郞(상서랑:皇帝의 측근에서 조서를 맡음)에 이르렀
    다.

    또 같은 시대에 손강(孫康)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젊어서부터 性情(성정)이 말고 깨끗하여 세상 사람들과 어울림에 잡스런
    데가 없었다.

    그러나 집안 형편이 어려워 등불을 밝힐 기름이 없었다.

    할 수 없이 겨울이면 눈(雪)에 비추어서 책을 부지런히 읽었다.

    그 결과 뒤에 벼슬이 御史大夫(어사대부:대사헌)에 이르렀다.

    현재 책 상을 雪案(서안)이라 함은 여기에서 유래한다.




    [출 전]《 晉書》<車胤·孫康傳>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가호위(狐假虎威)  (0) 2010.08.06
혜전탈우(蹊田奪牛)  (0) 2010.08.05
형 처(荊妻)  (0) 2010.08.03
혁 명(革命)  (0) 2010.08.02
행불유경(行不由徑)  (0) 2010.0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