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호구지계(狐丘之戒)

eorks 2010. 8. 7. 00:02
故 事 成 語


호구지계(狐丘之戒)


狐:
여우 호. 丘:언덕 구, 之:어조사 지, 戒:경계할 계

호구의 경계라는 뜻으로, 다른 사람으로부터 원망을 사는 일이 없도록
      하라는 말.                                                                                             


    초(楚)나라에 호구(狐丘之)에 사는 한 영감이 손숙오(孫叔敖)에게 말했다.

    "사람들은 세 가지 원망의 대상이 있습니다. 혹시 그걸 아십니까?"

    "무슨 말씀이신가요?"

    "사람들은 직위가 높은 사람을 투기하고, 임금은 벼슬이 높은 사람 을 미워하
    며, 녹을 많이 받는 사람은 세인의 원망을 듣습니다."

    그러자 손숙오가 이렇게 말했다.

    "저의 직위가 올라갈수록 저의 뜻은 낮추고, 제 벼슬이 높아질수록 저의 마음
    을 작게 가지며, 저의 녹이 많아질수록 베풀기를 넓게 한 다면 이 세가지 원망
    으로부터 자유로워질 수 있겠지요?"

    세월이 흘러 손숙오는 병이 들어 죽어갈 때 아들에게 이렇게 훈계했 다.

    "임금이 나를 자주 봉(封)하려 했지만 내가 받지 않았다.
    내가 죽으
면 임금께서는 분명 네게 땅을 봉해 주실 것인즉 너는 절대 이로운
    땅을 받지 말아라.
    초나라와 월나라 사이에 침구(寢丘)라는 지방이 있으니 이곳은 이롭지도 않
    고 명성이 아주 나쁘다. 초나라 사람들은 귀신을 믿고 월나라 사람들은 상서
    를 믿으니 오래도록 차지할 수 있 는 곳은 이곳뿐이다."

    손숙오가 죽자 임금은 과연 기름지고 아름다운 지방을 그의 아들에 게 분봉
    하려 했으나 그의 아들은 부친의 유언대로 이를 사양하고 침 구지방을 받아
    그곳에서 자손들이 오래도록 살았다.




    [출 전]《列子》<설부(說符)편>

......^^백두대간^^........白頭大幹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시탐탐(虎視耽耽)  (0) 2010.08.09
호사유피 인사유명(虎死留皮 人死留名)  (0) 2010.08.08
호가호위(狐假虎威)  (0) 2010.08.06
혜전탈우(蹊田奪牛)  (0) 2010.08.05
형설지공(螢雪之功)  (0) 2010.08.04